Datasets:
Dataset Viewer
problem_type
stringclasses 5
values | context
stringlengths 0
34.5k
| prompt
stringlengths 2
32.8k
| options
stringlengths 0
3.75k
| answer
stringlengths 1
1.28k
| reference
stringlengths 0
21.4k
| benchmark_name
stringclasses 11
values | mcqa_meta
stringlengths 0
317
⌀ | original_category
stringclasses 220
values | additional_info
stringlengths 2
34.7k
| split
stringclasses 2
values | task_type
stringclasses 5
values | target_type
stringclasses 8
values | subject_type
stringclasses 875
values |
---|---|---|---|---|---|---|---|---|---|---|---|---|---|
MCQA | 다음 사례에 대한 분석 및 추론으로 옳은 것은? (단, (가),(나)는 각각 전형적인 대통령제와 의원 내각제 중 하나이다.)E_x0000_涀_x0000__x0000__x0000_ﶠ_x0000__x0000__x0000_豱_x0000_翐_x0000_搠_x0000_ȼ_x0000__x0000__x0000_酐_x0000_摀_x0000_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衁_x0000_衙_x0000_摰_x0000_Ʌ_x0000_촠_x0000__x0000__x0000_撐_x0000_Ɉ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撰_x0000_Ɋ_x0000_擀_x0000_Ⱥ_x0000__xFFFF__x0000__xFFFF__x0000_擠_x0000_ɍ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ꚱ_x0000_ୀ_x0000__x0001__x000C__x0006_7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ª耀ª① 선거 결과 다수당의 횡포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② 선거 실시 후 여소야대 상황으로 행정부와 의회의 대립이 심화될 것이다.
③ 선거 실시 후 갑국 행정부는 의회에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다.
④ (가)는 입법부와 행정부의 권력이 융합된 정부 형태이다.
⑤ (나)의 입법부는 행정부를 불신임할 수 없다._x0001__x000C__x0016_7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1__x0000_i_x0000_ª耀ª① 선거 결과 다수당의 횡포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② 선거 실시 후 여소야대 상황으로 행정부와 의회의 대립이 심화될 것이다.
③ 선거 실시 후 갑국 행정부는 의회에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다.
④ (가)는 입법부와 행정부의 권력이 융합된 정부 형태이다.
⑤ (나)의 입법부는 행정부를 불신임할 수 없다._x0001__x000C__x0006_7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ĺ耀ÿOO신문
무면허 상태에서 외제차를 몰다가 사고를 낸 20대 남성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 받았다. △△북부지법 형사단독 ○○○판사는 <word start>(ㄱ) 도로교통법<word end> 위반(무면허 운전) 혐의로 기소된 갑(21세)에게 징역 8개월의 실형을 선고했다. 갑은 이번 무면허 운전 이전에도 여러 차례 도로 교통법을 위반하여 <word start>(ㄴ) 기소 유예<word end>와 <word start>(ㄷ) 집행 유예<word end>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무면허 운전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재차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_x0001__x000C__x0016_7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㲑൲⺹ᷞ✀廿翸_x0000_搀_x001A_怀_x0000__xDCE0_Ğ怀_x0000_✀廿翸_x0000_✀廿翸_x0000_㲑൲⺹ᷞ✐廿翸_x0000_슀Ʒ怀_x0000_怣璕_xD9D3_ᵿ潃璕_xD9D3_ᵿ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ǭ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艀Ŀ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Ʒ怀_x0000_磀_x001A_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戣璕_xD9D3_ᵿ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夀娼習_x0000_ᢐĝ怀_x0000_✐廿翸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변NJ怀_x0000_ẠǑ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㹰Ǒ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Ǒ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Ǒ怀_x0000_♠Ǒ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煰NJ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Ǒ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Ǒ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㮰Ǒ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ⰰǑ怀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鈀㬏翸_x0000_ꏇᯥ翹_x0000_ࠁ㬄翸_x0000_幗ᯢ翹_x0000_㬔翸_x0000_ঢ᮪翹_x0000_옃㬙翸_x0000_랗᯦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DA05_㬔翸_x0000_失ᯢ翹_x0000_㬑翸_x0000_ꋱ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ꠈ㬅翸_x0000_©ᮋ翹_x0000_㬔翸_x0000_ﻨᯭ翹_x0000_㰊㬔翸_x0000_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訌㬕翸_x0000_竳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긎㬘翸_x0000_賒᯦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㬑翸_x0000_ျᮩ翹_x0000_鐔㬖翸_x0000_瓜ᮩ翹_x0000_ﰖ㬕翸_x0000_夫ᯧ翹_x0000_퀗㬌翸_x0000_씙ᯥ翹_x0000_ᘕ㬑翸_x0000_芠᯦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DA1A_㬜翸_x0000_齹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琝㬎翸_x0000_敪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蠡㬎翸_x0000_憏ᯢ翹_x0000_䈢㬒翸_x0000_ខᮩ翹_x0000_㰣㬒翸_x0000_鳘᯦翹_x0000_﨤㬕翸_x0000_腮᯦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㬅翸_x0000_苲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츨㬗翸_x0000_藞᯦翹_x0000_옩㬙翸_x0000_轱ᯭ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Ⱞ㬙翸_x0000_ദ᯦翹_x0000_谯㬕翸_x0000_羛ᯢ翹_x0000_爰㬖翸_x0000_㑞ᮩ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ళ㬐翸_x0000_ᵜ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к㬒翸_x0000_酕ᮨ翹_x0000_ᘺ㬑翸_x0000_赢ᯭ翹_x0000_⨼㬙翸_x0000_㥄翹_x0000_⠼㬕翸_x0000_돪ᯥ翹_x0000_樺㬋翸_x0000_沢ᯥ翹_x0000_㬓翸_x0000_竾ᮩ翹_x0000_㱀㬒翸_x0000_봮ᯥ翹_x0000_⑀㬐翸_x0000_䛱ᮩ翹_x0000_࠼㬏翸_x0000_ᤁ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끆㬏翸_x0000_泵ᯥ翹_x0000_롇㬖翸_x0000_碎ᮩ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摉㬏翸_x0000_硅ᯢ翹_x0000__xDC4A_㬑翸_x0000_鳳ᮨ翹_x0000_汊㬜翸_x0000_ᄁᯭ翹_x0000_큌㬓翸_x0000_똪᯦翹_x0000_㬌翸_x0000_箐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䁐㬐翸_x0000_꘣ᯥ翹_x0000_P㬎翸_x0000_Җ᯦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䉓㬖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豖㬕翸_x0000_蘳ᮨ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ﱙ㬎翸_x0000_ⳕᯪ翹_x0000_ᑙ㬗翸_x0000_䠶᮪翹_x0000_≙㬗翸_x0000_蓔ᮨ翹_x0000_䡚㬗翸_x0000_殆᯼翹_x0000_湚㬋翸_x0000_汓ᯥ翹_x0000_롞㬐翸_x0000_饯᯦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繡㬐翸_x0000_休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䉨㬒翸_x0000_ঔ᮪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㬕翸_x0000_놮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陰㬍翸_x0000_婾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㬔翸_x0000_繪ᯟ翹_x0000_ᡵ㬕翸_x0000_氊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깹㬞翸_x0000_媄ᯧ翹_x0000_홺㬍翸_x0000_薵᯦翹_x0000_摻㬐翸_x0000_䴘ᯪ翹_x0000_멼㬚翸_x0000_㠭ᯪ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咄㬒翸_x0000_叽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岈㬖翸_x0000_ꭝᮒ翹_x0000_庉㬒翸_x0000_縡ᯢ翹_x0000_ᚉ㬑翸_x0000_莂᯦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ᒌ㬗翸_x0000_賾᯦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몎㬝翸_x0000_抝ᯧ翹_x0000_ʎ㬒翸_x0000_顀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芒㬜翸_x0000_蟲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窚㬆翸_x0000_汯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㬘翸_x0000_懦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㬑翸_x0000_⸤ᮩ翹_x0000_⺥㬞翸_x0000_丳ᯪ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庨㬒翸_x0000_鿘ᮨ翹_x0000_㬕翸_x0000_멖ᯥ翹_x0000_袨㬚翸_x0000_⽪ᯬ翹_x0000_뢫㬓翸_x0000_ꡆᯥ翹_x0000_ګ㬄翸_x0000_ᯭ翹_x0000_貭㬄翸_x0000_兺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窱㬌翸_x0000_撍ᮩ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㬑翸_x0000_戇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벹㬎翸_x0000_띇᯦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梻㬔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㬏翸_x0000_ğᮩ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廃㬒翸_x0000_肈ᮨ翹_x0000_嫄㬒翸_x0000_渉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㬒翸_x0000_稅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㛌㬔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ビ㬐翸_x0000_耸ᮨ翹_x0000_棔㬚翸_x0000_墏ᯭ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諜㬘翸_x0000_ᣟᮩ翹_x0000_퓜㬑翸_x0000_駔ᮨ翹_x0000_盜㬚翸_x0000_泡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㬐翸_x0000_繠ᯢ翹_x0000_㬔翸_x0000_ᕜᯨ翹_x0000_⫣㬓翸_x0000_紤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磩㬏翸_x0000_睲ᯢ翹_x0000_ꃪ㬅翸_x0000_蝛ᯥ翹_x0000_૪㬒翸_x0000_拈ᯧ翹_x0000_盫㬏翸_x0000_몕᯦翹_x0000_ˬ㬎翸_x0000_哃ᯢ翹_x0000_⣭㬙翸_x0000_翹_x0000_绫㬜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䋱㬖翸_x0000_ಈ᯦翹_x0000_⓲㬒翸_x0000_穅ᯢ翹_x0000_㬑翸_x0000_煂ᮩ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蛶㬞翸_x0000_岯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糸㬚翸_x0000_륥ᯥ翹_x0000_⋹㬐翸_x0000_ㇻ翹_x0000_㬔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锂㬍翸_x0000_舿᯦翹_x0000_㬐翸_x0000_駡ᯩ翹_x0000_焂㬚翸_x0000_䥠ᯥ翹_x0000_ſt㬕翸_x0000_窘ᯧ翹_x0000_贄㬄翸_x0000_빡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㬅翸_x0000_叜ᯢ翹_x0000_䄊㬔翸_x0000_㏇ᯪ翹_x0000_उ㬏翸_x0000_䱹ᯪ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꼎㬘翸_x0000_啦ᯢ翹_x0000_贎㬚翸_x0000_郌ᯭ翹_x0000_茎㬄翸_x0000_᫈ᮩ翹_x0000_蜐㬄翸_x0000_诿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缓㬞翸_x0000_ꈠᯥ翹_x0000_䤔㬌翸_x0000_ꅦ᯽翹_x0000_켕㬗翸_x0000_걂ᮁ翹_x0000_딖㬆翸_x0000_顪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ܛ㬑翸_x0000_鲩ᮨ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꼝㬑翸_x0000_爷ᮩ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焟㬚翸_x0000_绔ᯢ翹_x0000_眠㬏翸_x0000_纯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ἣ㬓翸_x0000_珘ᯢ翹_x0000_ᴤ㬑翸_x0000_版ᯢ翹_x0000_⌥㬐翸_x0000_ㅋ翹_x0000_촤㬖翸_x0000_喸ᯢ翹_x0000_넧㬖翸_x0000_挊ᯢ翹_x0000_䌤㬒翸_x0000_ឣᮩ翹_x0000_伤㬜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ጫ㬗翸_x0000_爈ᯢ翹_x0000_ᜬ㬑翸_x0000_ᛠᮩ翹_x0000_㼭㬕翸_x0000_竏ᮩ翹_x0000_伮㬝翸_x0000_鹣ᯥ翹_x0000_茯㬚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봱㬒翸_x0000_汀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㬎翸_x0000_墀ᯧ翹_x0000_㬜翸_x0000_汮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崷㬐翸_x0000_蟿᯦翹_x0000_문㬙翸_x0000_餸᯦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錽㬓翸_x0000_骋ᮎ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DF3F_㬙翸_x0000_廵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㬖翸_x0000_ﴋ᮪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㬛翸_x0000_ﲍ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e㬑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흊㬑翸_x0000_璀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鵑㬕翸_x0000_妃ᯧ翹_x0000_핒㬏翸_x0000_猪ᯢ翹_x0000_ꝓ㬇翸_x0000_Ҁ᯦翹_x0000_㬊翸_x0000_蓈᯦翹_x0000_ﭕ㬕翸_x0000_燯ᯢ翹_x0000_쥔㬖翸_x0000_䠾᮪翹_x0000_⅗㬙翸_x0000_塗j_x0000__x0000_嵘㬑翸_x0000_ﴬἑ翹_x0000_嵘㬒翸_x0000_㝆翹_x0000_뵓㬒翸_x0000_沶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㬅翸_x0000_豾ᯥ翹_x0000__xDD5D_㬑翸_x0000_脔ᮨ翹_x0000_䥝㬌翸_x0000_ﳁᯭ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땣㬜翸_x0000_⯣f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ꕮ㬕翸_x0000_ꆳ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絰㬙翸_x0000_噓ᯢ翹_x0000_楰㬔翸_x0000_ᗴᮩ翹_x0000__xDD72_㬑翸_x0000_懅ᯢ翹_x0000_덳㬒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㭶㬐翸_x0000_竁ᯧ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㬏翸_x0000_䶓ᮩ翹_x0000_佸㬗翸_x0000_蜃᯽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㬏翸_x0000_萴᯦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㬐翸_x0000_阙ᮨ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꾇㬉翸_x0000_澎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톉㬏翸_x0000_喡ᯢ翹_x0000_䞊㬌翸_x0000_挍ᯧ翹_x0000_잋㬖翸_x0000_蓚ᯥ翹_x0000_ꖊ㬕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㬏翸_x0000_滷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뎒㬕翸_x0000_鬒ᮨ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랕㬓翸_x0000_뫸ᯥ翹_x0000_㬗翸_x0000_㦊ᯪ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ᶘ㬙翸_x0000_ன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趟㬑翸_x0000_倈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玧㬖翸_x0000_坕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얫㬙翸_x0000_俬翹_x0000_榫㬐翸_x0000_쑜翹_x0000_잭㬙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㬔翸_x0000_子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䮵㬗翸_x0000_뷅᯦翹_x0000_瞶㬏翸_x0000_悸ᯢ翹_x0000_䎶㬖翸_x0000_껐ᯭ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얺㬐翸_x0000_㥇ᯪ翹_x0000_鮻㬏翸_x0000_ᠩ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㬑翸_x0000_鳄ᮨ翹_x0000_㬏翸_x0000_遺ᮨ翹_x0000_寄㬙翸_x0000_ꞛᯤ翹_x0000_헅㬌翸_x0000_塉ᯭ翹_x0000_ퟄ㬓翸_x0000_뎦ᯥ翹_x0000_秄㬝翸_x0000_巊ᯢ翹_x0000_ꗃ㬐翸_x0000_農ᮨ翹_x0000_짊㬜翸_x0000_填ᯢ翹_x0000_쏋㬌翸_x0000_亃ᯪ翹_x0000_⏌㬙翸_x0000_㟡翹_x0000_痋㬚翸_x0000_囝j_x0000__x0000_⿃㬔翸_x0000_㈘ᯪ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輪㬖翸_x0000_씿ᯬ翹_x0000_诘㬕翸_x0000_䱨ᯪ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姚㬚翸_x0000_紭ᯢ翹_x0000_퇛㬏翸_x0000_コᯭ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㯝㬒翸_x0000_姫ᯧ翹_x0000_엝㬐翸_x0000_Ѻ᯦翹_x0000_矝㬏翸_x0000_挺ᯧ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㬔翸_x0000_ﮝ᮪翹_x0000_⟢㬕翸_x0000_蝼ᮨ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㬈翸_x0000_뾑ᯥ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㬐翸_x0000_痘ᮩ翹_x0000_ߩ㬈翸_x0000_匨ᯢ翹_x0000_৩㬄翸_x0000_圞ἑ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䇱㬖翸_x0000_ח᯦翹_x0000_㬅翸_x0000_濧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췶㬏翸_x0000_烲ᯢ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㬝翸_x0000_瞽翹_x0000_그㬌翸_x0000_뗍ᯥ翹_x0000_㯺㬒翸_x0000_悞ᯢ翹_x0000_ꟺ㬅翸_x0000_媣ᯧ翹_x0000_쿻㬑翸_x0000_ꃽᯥ翹_x0000_㬐翸_x0000_㓈翹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1__x0000__x0000__x0000_ 吺習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ꀈ㬘翸_x0000_犐䁙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ᰋ㬐翸_x0000_㟈䂦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䐍㬚翸_x0000_쫃䁞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怕㬌翸_x0000_dž䂦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㬛翸_x0000_䂦_x0000__x0000_И㬙翸_x0000_䒫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尛㬖翸_x0000_燽䀌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객㬖翸_x0000_罊䁙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鸡㬞翸_x0000_䁖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ਦ㬎翸_x0000_炔䁙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ꨨ㬖翸_x0000_秴䁙_x0000__x0000_㬖翸_x0000_҂䂦_x0000__x0000_퐪㬛翸_x0000_쀆䁞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븮㬐翸_x0000_鄭䃏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ሱ㬔翸_x0000_읥䃈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㬐翸_x0000_ㅟ䂦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ﰶ㬘翸_x0000_䒄䀌_x0000__x0000_尶㬖翸_x0000_煣䀌_x0000__x0000_渷㬕翸_x0000_𢡊䁙_x0000__x0000_갹㬖翸_x0000_瞑䁙_x0000__x0000_⸺㬔翸_x0000_覤䁘_x0000__x0000_︺㬖翸_x0000_譳䁘_x0000__x0000_఼㬍翸_x0000_䁘_x0000__x0000_࠶㬒翸_x0000_儷䃈_x0000__x0000_퐾㬛翸_x0000_䁗_x0000__x0000_昻㬑翸_x0000_ㄧ䁞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㬑翸_x0000_漆䁐_x0000__x0000_≂㬗翸_x0000_竊䁍_x0000__x0000_ᡃ㬒翸_x0000_遽䁘_x0000__x0000_聄㬓翸_x0000_ኣ䂦_x0000__x0000_م㬄翸_x0000_諴䒪_x0000__x0000_䙁㬒翸_x0000_눜䁘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ᡈ㬄翸_x0000_䒫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_x0000_ꩌ㬖翸_x0000_犮䁙_x0000__x0000_桍㬒翸_x0 | ["선거 결과 다수당의 횡포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선거 실시 후 여소야대 상황으로 행정부와 의회의 대립이 심화될 것이다.", "선거 실시 후 갑국 행정부는 의회에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다.", "(가)는 입법부와 행정부의 권력이 융합된 정부 형태이다.", "(나)의 입법부는 행정부를 불신임할 수 없다."] | (C)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C)"} | csat_law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aw"]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전쟁을 다룬 소설 중에는 실재했던 전쟁을 제재로 한 작품들이 있다. 이런 작품들은 허구를 매개로 실재했던 전쟁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가령, 박씨전 의 후반부는 패전했던 병자호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던 조선 사람들의 욕망에 따라, 허구적 인물 박씨가 패전의 고통을 안겼던 실존 인물 용골대를 물리치는 장면을 중심으로 허구화되었다. 외적에 휘둘린 무능한 관군 탓에 병자호란 당시 여성은 전쟁의 큰 피해자였다. 박씨전 에서는 이 비극적 체험을 재구성하여, 전화를
피하기 위한 장소인 피화당(避禍堂)에서 여성 인물과 적군이 전투를 벌이는 장면을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간의 대립 구도 하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는 조선 사람들의 슬픔을 위로하고 희생자를 추모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연대감을 강화하였다. 한편, 시장과 전장 은 한국전쟁이 남긴 상흔을 직시하고 이에 좌절하지 않으려던 작가의 의지가, 이념 간의 갈등에 노출되고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을 통해 허구화되었다. 이 소설에서는 전장을 재현하여 전쟁의 폭력에 노출된 개인의 연약함이
강조되고, 무고한 희생을 목도한 인물의 내면이 드러남으로써 개인의 존엄이 탐색되었다.
우리는 이런 작품들을 통해 전쟁의 성격을 탐색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는 외적의 침략이나 이념 갈등과 같은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전쟁이 폭력적인 것은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죽기 때문만은 아니다. 전쟁의 명분은 폭력을
정당화하기에, 적의 죽음은 불가피한 것으로, 우리 편의 죽음은 불의한 적에 의한 희생으로 간주된다. 전쟁은 냉혹하게도 아군 이나 적군 모두가 민간인의 죽음조차 외면하거나 자신의 명분에 따라 이를 이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폭력성을 띠는 것이다. 두 작품에서 사람들이 죽는 장소가 군사들이 대치하는 전선만이 아니라는 점도 주목된다. 전쟁터란 전장과 후방, 가해자와 피해 자가 구분되지 않는 혼돈의 현장이다. 이 혼돈 속에서 사람들은 고통 받으면서도 생의 의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쟁은 비극성을 띤다. 이처럼, 전쟁의 허구화를 통해 우리는 전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다.
<par/>
<par>
(나)
문득 나무들 사이에서 한 여인이 나와 크게 꾸짖어 왈, “무지한 용골대야, 네 아우가 내 손에 죽었거늘 너조차 죽기를 재촉하 느냐?” 용골대가 대로하여 꾸짖어 왈, “너는 어떠한 계집이완데 장부의 마음을 돋우느냐? 내 아우가 불행하여 네 손에 죽었지만, 네 나라의 화친 언약을 받았으니 이제는 너희도 다 우리나라의 신첩(臣妾)이라. 잔말 말고 바삐 내 칼을 받아라.”
계화가 들은 체 아니하고 크게 꾸짖어 왈, “네 동생이 내 칼에 죽었으니, 네 또한 명이 내 손에 달렸으니 어찌 가소롭지 아니리오.” 용골대가 더욱 분기등등하여 군중에 호령하여, “일시에 활을 당겨 쏘라.” 하니, 살이 무수하되 감히 한 개도 범치 못하 는지라. 용골대 아무리 분한들 어찌하리오. 마음에 탄복하고 조선 도원수 김자점을 불러 왈, “너희는 이제 내 나라의 신하라. 내 영을 어찌 어기리오.” 자점이 황공하여 왈, “분부대로 거행 하오리다.”
용골대가 호령하여 왈, “네 군사를 몰아 박 부인과 계화를 사로잡아 들이라.” 하니, 자점이 황겁하여 방포일성에 군사를 몰아 피화당을 에워싸니, 문득 팔문이 변하여 백여 길 함정이 되는지라. 용골대가 이를 보고 졸연히 진을 깨지 못할 줄 알고
한 꾀를 생각하여, 군사로 하여금 피화당 사방 십 리를 깊이파고 화약 염초를 많이 붓고, 군사로 하여금 각각 불을 지르고, “너희 무리가 아무리 천변만화지술이 있은들 어찌하리오.” 하고 군사를 호령하여 일시에 불을 놓으니, 그 불이 화약 염초를 범하매 벽력 같은 소리가 나며 장안 삼십 리에 불길이 충천하여 죽는 자가 무수하더라.
박씨가 주렴을 드리우고 부채를 쥐어 불을 부치니, 불길이 오랑캐 진을 덮쳐 오랑캐 장졸이 타 죽고 밟혀 죽으며 남은 군사는 살기를 도모하여 다 도망하는지라. 용골대가 할 길 없어, “이미 화친을 받았으니 대공을 세웠거늘, 부질없이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 공연히 장졸만 다 죽였으니, 어찌 분한(憤恨)치 않으리오.” 하고 회군하여 발행할 제, 왕대비와 세자 대군이며 장안 미색을 데리고 가는지라.
박씨가 시비 계화로 하여금 외쳐 왈, “무지한 오랑캐야, 너희 왕 놈이 무식하여 은혜지국(恩惠之國)을 침범하였거니와, 우리 왕대비는 데려가지 못하리라. 만일 그런 뜻을 두면 너희들은 본국에 돌아가지 못하리라.” 하니 오랑캐 장수들이 가소롭게
여겨, “우리 이미 화친 언약을 받고 또한 인물이 나의 장중(掌中)에 매였으니 그런 말은 생심(生心)도 말라.” 하며, 혹 욕을 하며 듣지 아니하거늘, 박씨가 또 계화로 하여금 다시 외쳐 왈, “너희가 일양 그리하려거든 내 재주를 구경하라.”하더니, 이윽고 공중으로 두 줄기 무지개 일어나며, 모진 비가 천지를 뒤덮게 오며, 음풍이 일어나며 백설이 날리고, 얼음이 얼어 군마의 발굽이 땅에 붙어 한 걸음도 옮기지 못하는지라. 그제야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하여 아무리 생각하여도 모두 함몰할지라. 마지못하여 장수들이 투구를 벗고 창을 버려, 피화당 앞에 나아가 꿇어 애걸하기를, “오늘날 이미 화친을 받았으나 왕대비는 아니 뫼셔 갈 것이니, 박 부인 덕택에 살려 주옵소서.” 박씨가 주렴 안에서 꾸짖어 왈, “너희들을 모두 죽일 것이로되, 천시(天時)를 생각하고 용서하거니와, 너희 놈이 본디 간사하여 외람된 죄를 지었으나 이번에는 아는 일이 있어 살려 보내나니, 조심하여 들어가며, 우리 세자 대군을 부디 태평히 모셔 가라.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내 오랑캐를 씨도 없이 멸하리라.”
이에 오랑캐 장수들이 백배 사례하더라.
- 작자 미상, 박씨전 -
<par/>
<par>
(다)
“피란 안 갔다고 야단맞지 않을까요?”
윤씨가 걱정스럽게 묻는다. 김씨 댁 아주머니의 얼굴도 잠시 흐려진다. 그러나 이내 쾌활한 목소리로,
“쌀 배급을 주는데 야단을 치려구요? 세상에 불쌍한 백성을 더 이상 어쩌겠어요?”
“그래도 댁은…… 우린 애아범이 그래 놔서…… 전에도 배급을 못 타 먹었는데.”
“이 마당에서 그걸 누가 알겠어요? 어지간히 시달려 놔서 이젠 그렇게들 안 할 거예요.”
둑길을 건너서 인도교 가까이 갔을 때 노량진 쪽에서 사람들이 몰려온다. 어느 구석에 끼여 있었던지 용케 죽지도 않고, 스무 명가량의 사람들이 떼 지어 간다. 김씨 댁 아주머니는,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하고 물었으나 그들은 미친 듯 뛰어갈 뿐이다.
“여보,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다시 물었으나 여전히 그들은 뛰어간다. 윤씨와 김씨 댁 아주머니도 이제 더 이상 묻지 않고 그들을 따라 뛰어간다. 그들이 간 곳은 한강 모래밭이었다. 강의 얼음은 아직 풀리지 않았다.
그곳에는 여남은 명가량의 사람들이 몰려 있었다. 사실은 배급이 아니었다. 밤사이에 중공군과 인민군이 후퇴하면서 미처 날라 가지 못했던 식량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갈가마귀떼처럼 몰려들어 가마니를 열었다. 그리고 악을 쓰면서 자루에다 쌀과 수수를 집어넣는다. 쌀과 수수가 강변에 흩어진다. 사람들은 굶주린 이리떼처럼 눈에 핏발이 서서 자루에 곡식을 넣어 짊어지고 일어섰다. 쌀자루를 짊어지고 강변을 따라 급히 도망쳐 가는 사나이들, 쌀자루에 쌀을 옮겨넣는 아낙들, 필사적이다. 그야말로 전쟁이다. 김씨 댁 아주머니와 윤씨도 허겁지겁 달려들어 쌀을 퍼낸다. 그리고 떨리는 손으로 자루 끝을 여민 뒤 머리에 이고 일어섰다. 그 순간 하늘이 진동하고 땅이 꺼지는
듯 고함 소리, 총성과 함께 윤씨가 푹 쓰러진다. 윤씨는 외마디 소리를 지르며 쌀자루 위에 얼굴을 처박는다. 거무죽죽한 피가 모래밭에 스며든다.
(중략)
김씨 부인이,
“애기 엄마…….”
하고 소리쳐 부른다. 지영은 그냥 쫓아간다.
“큰일 나요! 큰일 나, 지금 가면 안 돼요! 애기를 어쩌려고
그러는 거요.”
지영은 언덕길을 미끄러지는 듯 달려간다. 둑길을 넘었다.
강변에는 아무도 없었다. 강물도 하늘도 강 건너 서울도 회색빛 속에 싸여 있었다. 지영은 윤씨를 내려다본다. 쌀자루를 꼭 껴안고 있다. 쌀자루는 피에 젖어 거무죽죽하다. 지영은 윤씨를
안아 일으킨다. 그리고 들춰 업는다. 그는 한 발 한 발 힘을 주며 걸음을 옮긴다. 윤씨를 업고 벼랑을 기어오른다. 아무것도 기억할 수가 없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얼마나 오랜 시간이 흘렀는지 그는 둑길까지 나왔다. 둑길에서 저 멀리 과천 으로 뻗은 길을 바라본다. 길은 외줄기…… 멀리멀리 뻗어 있다. 지영은 집으로 돌아왔다.
- 박경리, 시장과 전장 -
<par/>
### 질문:
(가)를 바탕으로 (나)에 대해 <학습 활동>을 수행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학습 활동>
병자호란에 대한 백성들의 욕망을 담은 박씨전 과 다음의
임장군전 을 읽고 전쟁 체험이 소설에 반영된 양상을 살펴
봅시다.
상께서 왈, “길이 막혀 인적이 통하지 못하니 경업이
어찌 알리오. 목전의 형세가 여차하여 아무리 생각하여도
항복할 밖에 다른 묘책이 없으니 경들은 다시 말 말라.”
하시고, 앙천통곡하시니 산천초목이 다 슬퍼하더라. 병자년
12월 20일에 상이 항서를 닦아 보내시니, 그 망극함을 어찌
측량하리오.
용골대가 송파장에 결진하고 승전고를 울리며 교만이
자심하여 승전비를 세워 거드럭거리며, 왕대비와 중궁을
돌려보내고 세자 대군을 잡아 북경으로 가려 하더라.
- 작자 미상, 임장군전 -
### 선택지:
(A) (나)에서 용골대를 꾸짖는 계화와 박씨가 등장하는 것에는 병자호란 때에 있었으면 좋았을 인물에 대한 백성들의 소망이 반영되었겠군.
(B) 임장군전 에서 항서를 보낸 것에 대해 서술자도 슬픔을 토로하는 것은 패전한 나라의 백성이라는 연대감이 반영된 것이겠군.
(C) (나)와 임장군전 에서 모두 용골대가 부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진 데에는 백성들이 겪었던 패전의 고통이 반영되었겠군.
(D) (나)에서는 박씨의 용서를 통해, 임장군전 에서는 용골대의 승전비 건립을 통해, 조선 백성들의 희생에 대한 추모 의식이 반영되었겠군.
(E) 임장군전 과 달리 (나)에서 박씨의 승전을 통해 왕대비가 볼모로 가지 않게 된 과정이 형상화된 것은 패전의 상실감을 위로받고자 하는 백성들의 욕망이 반영된 결과이겠군.
### 정답: | ["(나)에서 용골대를 꾸짖는 계화와 박씨가 등장하는 것에는 병자호란 때에 있었으면 좋았을 인물에 대한 백성들의 소망이 반영되었겠군.", "임장군전 에서 항서를 보낸 것에 대해 서술자도 슬픔을 토로하는 것은 패전한 나라의 백성이라는 연대감이 반영된 것이겠군.", "(나)와 임장군전 에서 모두 용골대가 부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진 데에는 백성들이 겪었던 패전의 고통이 반영되었겠군.", "(나)에서는 박씨의 용서를 통해, 임장군전 에서는 용골대의 승전비 건립을 통해, 조선 백성들의 희생에 대한 추모 의식이 반영되었겠군.", "임장군전 과 달리 (나)에서 박씨의 승전을 통해 왕대비가 볼모로 가지 않게 된 과정이 형상화된 것은 패전의 상실감을 위로받고자 하는 백성들의 욕망이 반영된 결과이겠군."] | (D)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D)"}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ko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그 골목이 그렇게도 짧은 것을 그가 처음으로 느낄 수 있었을
때, 신랑의 몸은 벌써 차 속으로 사라지고, 자기와 차 사이에는
몰려든 군중이 몇 겹으로 길을 가로막았다. 이쁜이 어머니는
당황하였다. 그들의 틈을 비집고,
‘이제 가면, 네가 언제나 또 온단 말이냐? ……’
딸이 이제 영영 돌아오지 못하기나 하는 것같이, 그는 막
자동차에 오르려는 딸에게 달려들어,
“이쁜아.”
한마디 불렀으나, 다음은 목이 메어, 얼마를 벙하니 딸의 옆
얼굴만 바라보다가, 그러한 어머니의 마음을 알아줄 턱없는
운전수가, 재촉하는 경적을 두어 번 울렸을 때, 그는 또 소스라
치게 놀라며, 그저 입에서 나오는 대로,
“모든 걸, 정신 채려, 조심해서, 해라 ……”
그러나 <word>(ㄱ) 자동차의 문은 유난히 소리 내어 닫히고, 다시 또
경적이 두어 번 운 뒤, 달리는 자동차 안에 이쁜이 모양을, 어
머니는 이미 찾아볼 수가 없었다.<word/> 그는 실신한 사람같이, 얼마
를 그곳에 서 있었다. 깨닫지 못하고, 눈물이 뺨을 흐른다. 그
마음속을 알아주면서도, 아낙네들이, 경사에 눈물이 당하냐고, 그
렇게 책망하였을 때, 그는 갑자기 조금 웃고, 그리고, 문득,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그대로 그곳에서 혼도해 버리고 말 것 같은
극도의 피로와, 또 이제는 이미 도저히 구할 길 없는 마음속의
공허를, 그는 일시에 느꼈다.
제6절 몰락
한편에서 이렇게 경사가 있었을 때―(그야, 외딸을 남을 주고
난 그 뒤에, 홀어머니의 외로움과 슬픔은 컸으나 그래도 아직
그것은 한 개의 경사라 할 밖에 없을 것이다)―, 또 <word>(ㄴ) 한편
개천 하나를 건너 신전 집에서는, 바로 이날에 이제까지의 서
울에서의 살림을 거두어, 마침내 애달프게도 온 집안이 시골로
내려갔다.<word/>
<sent>
[A]
독자는, 그 수다스러운 점룡이 어머니가, 이미 한 달도
전에, 어디서 어떻게 들었던 것인지, 쉬이 신전 집이 낙향을
하리라고 가장 은근하게 빨래터에서 하던 말을 기억하고
계실 것이다. 이를테면 그것이 그대로 실현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다만 그들의 가는 곳은, 강원도 춘천이라든가
그러한 곳이 아니라, 경기 강화였다.
<sent/>
이 봄에 대학 의과를 마친 둘째 아들이 아직 취직처가 결정
되지 않은 채, 그대로 서울 하숙에 남아 있을 뿐으로―(그러나,
그도 그로써 얼마 안 되어 충청북도 어느 지방의 ‘공의’가 되어
서울을 떠나고 말았다)―, 신전 집의 온 가족은, 아직도 장가를
못 간 주인의 처남까지도 바로 어디 나들이라도 가는 것처럼,
별로 남들의 주의를 끄는 일도 없이, 스무 해를 살아온 이 동리
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한번 기울어진 가운은 다시 어쩌는 수 없어, 온 집안사람은,
언제든 당장이라도 서울을 떠날 수 있는 준비 아래, 오직 주인
영감의 명령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므로, 동리 사람들도
그것을 단지 시일 문제로 알고 있었던 것이나, 그래도 이 신전
집의 몰락은, 역시 그들의 마음을 한때, 어둡게 해 주었다.
그러나 오직 그뿐이다. 이 도회에서의 패잔자는 좀 더 남의
마음에 애달픔을 주는 일 없이 무심한 이의 눈에는, 참말 어디
볼일이라도 보러 가는 사람같이, 그곳에서 얼마 안 되는 작은
광교 차부에서 강화행 자동차를 탔다. 천변에 일어나는 온갖
일에 관<word>찰을 게을리하지 않는 이발소 소년 이, 용하게도 막,
그들의 이미 오래 전에 팔린 집을 나오는 일행을 발견하고 그래
이발소 안의 모든 사람이 그것을 알았을 뿐으로, 그들이 남부
끄럽다 해서, 고개나마 변변히 못 들고 빠른 걸음걸이로 천변을
걸어 나가, 그대로 큰길로 사라지는 뒷모양이라도 흘낏 본 이는
몇 명이 못 된다. <word>(ㄷ)얼마 있다, 원래의 신전은 술집으로 변하
고, 또 그들의 살던 집에는 좀 더 있다, 하숙옥 간판이 걸렸다.<word/>
- 박태원, 천변풍경 -
<par/>
<par>
(나)
#68. 산비탈 길
뚜벅뚜벅 걷고 있는 철호.
#69. 피난민 수용소 안(회상)
담요바지 철호의 아내가 주워 모은 널빤지 조각을 이고 들어와
부엌에 내려놓고 흩어진 머리칼을 치키며 숨을 돌리고 있다.
철호?E * : 저걸 저토록 고생시킬 줄이야.
담요바지 아내의 모습 위에 ― O L* ―
여학교 교복을 입고 강당에 서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 그
시절의 아내. 또 O L되며 신부 차림의
아내가 노래를 부르고
있다. 그 옆에 상기되어 앉아 있는 결혼 피로연 석상의 철호.
노래는 ‘돌아오라 소렌토’.
#70. 산비탈
철호가 멍하니 시가지를 내려다보고 섰다. 황홀에 묻힌 거리.
#71. 자동차 안
해방촌의 골목길을 운전수가 땀을 빼며 빠져나와서 뒤를 돌아
보고
운전수 : 손님! 이상 더 올라가지 못하겠는데요.
영호 : 그럼 내립시다. 시시한 동네까지 몰구 오느라고 수고했소.
천 환짜리 한 장을 꺼내 준다.
운전수 : (공손히) 감사합니다.
#72. 철호의 방 안
철호의 아내가 만삭의 배를 안고 누더기를 꿰매고 있다. 옆에서
콜콜 자고 있는 혜옥.
영호 : (들어오며) 혜옥아!
(중략)
#73. 철호의 집 부엌 안
민호가 팔다 남은 신문을 끼고 들어와 신들메를 끌르며
민호 : 에이 날씨도 꼭 겨울 같네.
철호?E : 어쨌든 너도 인젠 정신을 차려야지! 군대에서 나온 지도
이태나 되잖니.
영호?E : 정신 차려야죠. 그렇잖아도 금명간 판결이 날 겁니다.
철호?E : 어디 취직을 해야지.
#74. 철호의 집 방 안
영호 : 취직이요. 형님처럼 전차 값도 안 되는 월급을 받고 남의
살림이나 계산해 주란 말에요? 싫습니다.
철호 : 그럼 뭐 뾰죽한 수가 있는 줄 아니?
영호 : 있지요. 남처럼 용기만 조금 있으면.
철호 : 용기?
영호 : 네. 분명히 용기지요.
철호 : 너 설마 엉뚱한 생각을 하고 있는 건 아니겠지.
영호 : 엉뚱하긴 뭐가 엉뚱해요.
철호 : (버럭 소리를 지르며) 영호야! 그렇게 살자면 이 형도
벌써 잘살 수 있었단 말이다.
영호 : 저도 형님을 존경하지 않는 건 아녜요. 가난하더라도
깨끗이 살자는 형님을……. 허지만 형님! 인생이 저 골목에서
십 환짜리를 받고 코 흘리는 어린애들에게 보여 주는 요지경
이라면야 가지고 있는 돈값만치 구멍으로 들여다보고 말 수도
있죠. 그렇지만 어디 인생이 자기 주머니 속의 돈 액수만치만
살고 그만둘 수 있는 요지경인가요? 형님의 어금니만 해도
푹푹 쑤시고 아픈 걸 견딘다고 절약이 되는 건 아니죠. 그러니
비극이 시작되는 거죠. 지긋지긋하게 살아야 하니까 문제죠.
왜 우리라고 좀 더 넓은 테두리까지 못 나가라는 법이 어디
있어요.
영호는 반쯤 끌러 놨던 넥타이를 풀어서 방구석에 픽 던진다.
철호가 무겁게 입을 연다.
철호 : 그건 억설이야.
영호 : 억설이오?
철호 : 네 말대로 꼭 잘살자면 양심이구 윤리구 버려야 한다는
것 아니야.
영호 : 천만에요.
#75. 철호의 집 골목
스카프를 두르고 핸드백을 걸친 명숙이가 엿듣고 있다.
철호?E : 그게 바루 억설이란 말이다. 마음 한구석이 어딘가
비틀려서 하는 억지란 말이다.
영호?E : 비틀렸죠. 분명히 비틀렸어요. 그런데 그 비틀리기가
너무 늦었단 말입니다.
- 이범선 원작, 이종기 각색, 오발탄 -
* ?E : 효과음(effect). 화면에 삽입된 음향.
* O L(overlap) : 하나의 화면이 끝나기 전에 다음 화면이 겹치면서
먼저 화면이 차차 사라지게 하는 기법.
<par/>
### 질문:
<보기>를 바탕으로 (가)의 (ㄱ)~(ㄷ)과 (나)의 ‘#71~#75’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작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모든 상황을 서술하
지는 않는다. 일련의 상황이나 사건들 중 작가의 시선에 의해
특정한 부분이 부각되어 서술되는 것이다. 즉, 서사는 시간과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사건의 선택과 결합을 통해 구성된다.
선택이란 시간과 공간을 분할한 후 의미 있는 부분을 선택
하는 것을, 결합이란 이렇게 선택된 시간과 공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하여 새롭게 사건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서사는 다양한 사건 구성의 방식을 통해 인간의 문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고민을 담고 있다.
### 선택지:
(A) (ㄱ)에서는 두 인물 사이에서 발생한 여러 상황에서 몇 개의 상황만을 선택적으로 제시하여 그 상황에 대한 인물의 심리를 암시하고 있고, #71과 #72에서는 서로 다른 두 공간을 동일 인물의 등장으로 연결하여 인물의 공간 이동을 나타내는군.
(B) (ㄴ)에서는 같은 날에 서로 다른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사건이 일어났음을 밝혀 (ㄴ)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ㄱ)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결합하고 있고, #73과 #74의 서로 다른 공간은 동일한 인물들의 이어지는 대화를 통해 서로 결합하고 있군.
(C) (ㄴ)에서는 일련의 상황을 선택적으로 제시하면서 인물들에 대한 감정을 서술하고 있고, #73∼#75에서는 두 인물의 대화를 매개로 서로 다른 공간을 결합함으로써 #73과 #75의 장면에 등장하는 인 물들이 #74의 상황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군.
(D) (ㄱ)과 (ㄴ)의 연결은 같은 날에 서로 다른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연결이라는 점에서는 #74와 #75의 연결과 유사하지만, 인물의 목소리를 활용하는 #74와 #75의 연결과 비교하면 연결 방식에서 구별되는군.
(E) (ㄷ)은 시간의 흐름을 분할하고 대상의 특징적인 변화를 선택 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75와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두 공간 의 결합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75와 구별되는군.
### 정답: | ["(ㄱ)에서는 두 인물 사이에서 발생한 여러 상황에서 몇 개의 상황만을 선택적으로 제시하여 그 상황에 대한 인물의 심리를 암시하고 있고, #71과 #72에서는 서로 다른 두 공간을 동일 인물의 등장으로 연결하여 인물의 공간 이동을 나타내는군.", "(ㄴ)에서는 같은 날에 서로 다른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사건이 일어났음을 밝혀 (ㄴ)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ㄱ)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결합하고 있고, #73과 #74의 서로 다른 공간은 동일한 인물들의 이어지는 대화를 통해 서로 결합하고 있군.", "(ㄴ)에서는 일련의 상황을 선택적으로 제시하면서 인물들에 대한 감정을 서술하고 있고, #73∼#75에서는 두 인물의 대화를 매개로 서로 다른 공간을 결합함으로써 #73과 #75의 장면에 등장하는 인 물들이 #74의 상황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군.", "(ㄱ)과 (ㄴ)의 연결은 같은 날에 서로 다른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연결이라는 점에서는 #74와 #75의 연결과 유사하지만, 인물의 목소리를 활용하는 #74와 #75의 연결과 비교하면 연결 방식에서 구별되는군.", "(ㄷ)은 시간의 흐름을 분할하고 대상의 특징적인 변화를 선택 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75와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두 공간 의 결합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75와 구별되는군."] | (E)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E)"}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전쟁을 다룬 소설 중에는 실재했던 전쟁을 제재로 한 작품들이 있다. 이런 작품들은 허구를 매개로 실재했던 전쟁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가령, 박씨전 의 후반부는 패전했던 병자호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던 조선 사람들의 욕망에 따라, 허구적 인물 박씨가 패전의 고통을 안겼던 실존 인물 용골대를 물리치는 장면을 중심으로 허구화되었다. 외적에 휘둘린 무능한 관군 탓에 병자호란 당시 여성은 전쟁의 큰 피해자였다. 박씨전 에서는 이 비극적 체험을 재구성하여, 전화를
피하기 위한 장소인 피화당(避禍堂)에서 여성 인물과 적군이 전투를 벌이는 장면을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간의 대립 구도 하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는 조선 사람들의 슬픔을 위로하고 희생자를 추모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연대감을 강화하였다. 한편, 시장과 전장 은 한국전쟁이 남긴 상흔을 직시하고 이에 좌절하지 않으려던 작가의 의지가, 이념 간의 갈등에 노출되고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을 통해 허구화되었다. 이 소설에서는 전장을 재현하여 전쟁의 폭력에 노출된 개인의 연약함이
강조되고, 무고한 희생을 목도한 인물의 내면이 드러남으로써 개인의 존엄이 탐색되었다.
우리는 이런 작품들을 통해 전쟁의 성격을 탐색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는 외적의 침략이나 이념 갈등과 같은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전쟁이 폭력적인 것은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죽기 때문만은 아니다. 전쟁의 명분은 폭력을
정당화하기에, 적의 죽음은 불가피한 것으로, 우리 편의 죽음은 불의한 적에 의한 희생으로 간주된다. 전쟁은 냉혹하게도 아군 이나 적군 모두가 민간인의 죽음조차 외면하거나 자신의 명분에 따라 이를 이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폭력성을 띠는 것이다. 두 작품에서 사람들이 죽는 장소가 군사들이 대치하는 전선만이 아니라는 점도 주목된다. 전쟁터란 전장과 후방, 가해자와 피해 자가 구분되지 않는 혼돈의 현장이다. 이 혼돈 속에서 사람들은 고통 받으면서도 생의 의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쟁은 비극성을 띤다. 이처럼, 전쟁의 허구화를 통해 우리는 전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다.
<par/>
<par>
(나)
문득 나무들 사이에서 한 여인이 나와 크게 꾸짖어 왈, “무지한 용골대야, 네 아우가 내 손에 죽었거늘 너조차 죽기를 재촉하 느냐?” 용골대가 대로하여 꾸짖어 왈, “너는 어떠한 계집이완데 장부의 마음을 돋우느냐? 내 아우가 불행하여 네 손에 죽었지만, 네 나라의 화친 언약을 받았으니 이제는 너희도 다 우리나라의 신첩(臣妾)이라. 잔말 말고 바삐 내 칼을 받아라.”
계화가 들은 체 아니하고 크게 꾸짖어 왈, “네 동생이 내 칼에 죽었으니, 네 또한 명이 내 손에 달렸으니 어찌 가소롭지 아니리오.” 용골대가 더욱 분기등등하여 군중에 호령하여, “일시에 활을 당겨 쏘라.” 하니, 살이 무수하되 감히 한 개도 범치 못하 는지라. 용골대 아무리 분한들 어찌하리오. 마음에 탄복하고 조선 도원수 김자점을 불러 왈, “너희는 이제 내 나라의 신하라. 내 영을 어찌 어기리오.” 자점이 황공하여 왈, “분부대로 거행 하오리다.”
용골대가 호령하여 왈, “네 군사를 몰아 박 부인과 계화를 사로잡아 들이라.” 하니, 자점이 황겁하여 방포일성에 군사를 몰아 피화당을 에워싸니, 문득 팔문이 변하여 백여 길 함정이 되는지라. 용골대가 이를 보고 졸연히 진을 깨지 못할 줄 알고
한 꾀를 생각하여, 군사로 하여금 피화당 사방 십 리를 깊이파고 화약 염초를 많이 붓고, 군사로 하여금 각각 불을 지르고, “너희 무리가 아무리 천변만화지술이 있은들 어찌하리오.” 하고 군사를 호령하여 일시에 불을 놓으니, 그 불이 화약 염초를 범하매 벽력 같은 소리가 나며 장안 삼십 리에 불길이 충천하여 죽는 자가 무수하더라.
박씨가 주렴을 드리우고 부채를 쥐어 불을 부치니, 불길이 오랑캐 진을 덮쳐 오랑캐 장졸이 타 죽고 밟혀 죽으며 남은 군사는 살기를 도모하여 다 도망하는지라. 용골대가 할 길 없어, “이미 화친을 받았으니 대공을 세웠거늘, 부질없이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 공연히 장졸만 다 죽였으니, 어찌 분한(憤恨)치 않으리오.” 하고 회군하여 발행할 제, 왕대비와 세자 대군이며 장안 미색을 데리고 가는지라.
박씨가 시비 계화로 하여금 외쳐 왈, “무지한 오랑캐야, 너희 왕 놈이 무식하여 은혜지국(恩惠之國)을 침범하였거니와, 우리 왕대비는 데려가지 못하리라. 만일 그런 뜻을 두면 너희들은 본국에 돌아가지 못하리라.” 하니 오랑캐 장수들이 가소롭게
여겨, “우리 이미 화친 언약을 받고 또한 인물이 나의 장중(掌中)에 매였으니 그런 말은 생심(生心)도 말라.” 하며, 혹 욕을 하며 듣지 아니하거늘, 박씨가 또 계화로 하여금 다시 외쳐 왈, “너희가 일양 그리하려거든 내 재주를 구경하라.”하더니, 이윽고 공중으로 두 줄기 무지개 일어나며, 모진 비가 천지를 뒤덮게 오며, 음풍이 일어나며 백설이 날리고, 얼음이 얼어 군마의 발굽이 땅에 붙어 한 걸음도 옮기지 못하는지라. 그제야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하여 아무리 생각하여도 모두 함몰할지라. 마지못하여 장수들이 투구를 벗고 창을 버려, 피화당 앞에 나아가 꿇어 애걸하기를, “오늘날 이미 화친을 받았으나 왕대비는 아니 뫼셔 갈 것이니, 박 부인 덕택에 살려 주옵소서.” 박씨가 주렴 안에서 꾸짖어 왈, “너희들을 모두 죽일 것이로되, 천시(天時)를 생각하고 용서하거니와, 너희 놈이 본디 간사하여 외람된 죄를 지었으나 이번에는 아는 일이 있어 살려 보내나니, 조심하여 들어가며, 우리 세자 대군을 부디 태평히 모셔 가라.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내 오랑캐를 씨도 없이 멸하리라.”
이에 오랑캐 장수들이 백배 사례하더라.
- 작자 미상, 박씨전 -
<par/>
<par>
(다)
“피란 안 갔다고 야단맞지 않을까요?”
윤씨가 걱정스럽게 묻는다. 김씨 댁 아주머니의 얼굴도 잠시 흐려진다. 그러나 이내 쾌활한 목소리로,
“쌀 배급을 주는데 야단을 치려구요? 세상에 불쌍한 백성을 더 이상 어쩌겠어요?”
“그래도 댁은…… 우린 애아범이 그래 놔서…… 전에도 배급을 못 타 먹었는데.”
“이 마당에서 그걸 누가 알겠어요? 어지간히 시달려 놔서 이젠 그렇게들 안 할 거예요.”
둑길을 건너서 인도교 가까이 갔을 때 노량진 쪽에서 사람들이 몰려온다. 어느 구석에 끼여 있었던지 용케 죽지도 않고, 스무 명가량의 사람들이 떼 지어 간다. 김씨 댁 아주머니는,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하고 물었으나 그들은 미친 듯 뛰어갈 뿐이다.
“여보,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다시 물었으나 여전히 그들은 뛰어간다. 윤씨와 김씨 댁 아주머니도 이제 더 이상 묻지 않고 그들을 따라 뛰어간다. 그들이 간 곳은 한강 모래밭이었다. 강의 얼음은 아직 풀리지 않았다.
그곳에는 여남은 명가량의 사람들이 몰려 있었다. 사실은 배급이 아니었다. 밤사이에 중공군과 인민군이 후퇴하면서 미처 날라 가지 못했던 식량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갈가마귀떼처럼 몰려들어 가마니를 열었다. 그리고 악을 쓰면서 자루에다 쌀과 수수를 집어넣는다. 쌀과 수수가 강변에 흩어진다. 사람들은 굶주린 이리떼처럼 눈에 핏발이 서서 자루에 곡식을 넣어 짊어지고 일어섰다. 쌀자루를 짊어지고 강변을 따라 급히 도망쳐 가는 사나이들, 쌀자루에 쌀을 옮겨넣는 아낙들, 필사적이다. 그야말로 전쟁이다. 김씨 댁 아주머니와 윤씨도 허겁지겁 달려들어 쌀을 퍼낸다. 그리고 떨리는 손으로 자루 끝을 여민 뒤 머리에 이고 일어섰다. 그 순간 하늘이 진동하고 땅이 꺼지는
듯 고함 소리, 총성과 함께 윤씨가 푹 쓰러진다. 윤씨는 외마디 소리를 지르며 쌀자루 위에 얼굴을 처박는다. 거무죽죽한 피가 모래밭에 스며든다.
(중략)
김씨 부인이,
“애기 엄마…….”
하고 소리쳐 부른다. 지영은 그냥 쫓아간다.
“큰일 나요! 큰일 나, 지금 가면 안 돼요! 애기를 어쩌려고
그러는 거요.”
지영은 언덕길을 미끄러지는 듯 달려간다. 둑길을 넘었다.
강변에는 아무도 없었다. 강물도 하늘도 강 건너 서울도 회색빛 속에 싸여 있었다. 지영은 윤씨를 내려다본다. 쌀자루를 꼭 껴안고 있다. 쌀자루는 피에 젖어 거무죽죽하다. 지영은 윤씨를
안아 일으킨다. 그리고 들춰 업는다. 그는 한 발 한 발 힘을 주며 걸음을 옮긴다. 윤씨를 업고 벼랑을 기어오른다. 아무것도 기억할 수가 없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얼마나 오랜 시간이 흘렀는지 그는 둑길까지 나왔다. 둑길에서 저 멀리 과천 으로 뻗은 길을 바라본다. 길은 외줄기…… 멀리멀리 뻗어 있다. 지영은 집으로 돌아왔다.
- 박경리, 시장과 전장 -
<par/>
### 질문:
(가)를 바탕으로 (나)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선택지:
(A) 장안 삼십 리에 불길이 충천하고 장안 미색이 끌려가는 장면은 조선 백성들의 비극적 체험을 드러내고 있다.
(B) 용골대에게 조선 도원수가 복종하여 명령을 따르는 장면은 관군의 무능함을 허구를 매개로 조명하고 있다.
(C) 박씨의 재주에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해 하는 장면에서, 패전의 고통이 허구적 인물의 활약을 통해 위로받고 있다.
(D) 오랑캐군의 침략이 은혜지국에 대한 침범이라는 박씨의 비난은 용골대를 비롯한 오랑캐군이 불의한 존재임을 드러내고 있다.
(E) 용골대가 장졸들의 죽음에 탄식하는 장면에서, 죽음의 책임을 폭력적인 방식으로 박씨에게 돌리려는 오랑캐의 모습이 드러 나고 있다.
### 정답: | ["장안 삼십 리에 불길이 충천하고 장안 미색이 끌려가는 장면은 조선 백성들의 비극적 체험을 드러내고 있다.", "용골대에게 조선 도원수가 복종하여 명령을 따르는 장면은 관군의 무능함을 허구를 매개로 조명하고 있다.", "박씨의 재주에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해 하는 장면에서, 패전의 고통이 허구적 인물의 활약을 통해 위로받고 있다.", "오랑캐군의 침략이 은혜지국에 대한 침범이라는 박씨의 비난은 용골대를 비롯한 오랑캐군이 불의한 존재임을 드러내고 있다.", "용골대가 장졸들의 죽음에 탄식하는 장면에서, 죽음의 책임을 폭력적인 방식으로 박씨에게 돌리려는 오랑캐의 모습이 드러 나고 있다."] | (E)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E)"}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전쟁을 다룬 소설 중에는 실재했던 전쟁을 제재로 한 작품들이 있다. 이런 작품들은 허구를 매개로 실재했던 전쟁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가령, 박씨전 의 후반부는 패전했던 병자호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던 조선 사람들의 욕망에 따라, 허구적 인물 박씨가 패전의 고통을 안겼던 실존 인물 용골대를 물리치는 장면을 중심으로 허구화되었다. 외적에 휘둘린 무능한 관군 탓에 병자호란 당시 여성은 전쟁의 큰 피해자였다. 박씨전 에서는 이 비극적 체험을 재구성하여, 전화를
피하기 위한 장소인 피화당(避禍堂)에서 여성 인물과 적군이 전투를 벌이는 장면을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간의 대립 구도 하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는 조선 사람들의 슬픔을 위로하고 희생자를 추모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연대감을 강화하였다. 한편, 시장과 전장 은 한국전쟁이 남긴 상흔을 직시하고 이에 좌절하지 않으려던 작가의 의지가, 이념 간의 갈등에 노출되고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을 통해 허구화되었다. 이 소설에서는 전장을 재현하여 전쟁의 폭력에 노출된 개인의 연약함이
강조되고, 무고한 희생을 목도한 인물의 내면이 드러남으로써 개인의 존엄이 탐색되었다.
우리는 이런 작품들을 통해 전쟁의 성격을 탐색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는 외적의 침략이나 이념 갈등과 같은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전쟁이 폭력적인 것은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죽기 때문만은 아니다. 전쟁의 명분은 폭력을
정당화하기에, 적의 죽음은 불가피한 것으로, 우리 편의 죽음은 불의한 적에 의한 희생으로 간주된다. 전쟁은 냉혹하게도 아군 이나 적군 모두가 민간인의 죽음조차 외면하거나 자신의 명분에 따라 이를 이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폭력성을 띠는 것이다. 두 작품에서 사람들이 죽는 장소가 군사들이 대치하는 전선만이 아니라는 점도 주목된다. 전쟁터란 전장과 후방, 가해자와 피해 자가 구분되지 않는 혼돈의 현장이다. 이 혼돈 속에서 사람들은 고통 받으면서도 생의 의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쟁은 비극성을 띤다. 이처럼, 전쟁의 허구화를 통해 우리는 전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다.
<par/>
<par>
(나)
문득 나무들 사이에서 한 여인이 나와 크게 꾸짖어 왈, “무지한 용골대야, 네 아우가 내 손에 죽었거늘 너조차 죽기를 재촉하 느냐?” 용골대가 대로하여 꾸짖어 왈, “너는 어떠한 계집이완데 장부의 마음을 돋우느냐? 내 아우가 불행하여 네 손에 죽었지만, 네 나라의 화친 언약을 받았으니 이제는 너희도 다 우리나라의 신첩(臣妾)이라. 잔말 말고 바삐 내 칼을 받아라.”
계화가 들은 체 아니하고 크게 꾸짖어 왈, “네 동생이 내 칼에 죽었으니, 네 또한 명이 내 손에 달렸으니 어찌 가소롭지 아니리오.” 용골대가 더욱 분기등등하여 군중에 호령하여, “일시에 활을 당겨 쏘라.” 하니, 살이 무수하되 감히 한 개도 범치 못하 는지라. 용골대 아무리 분한들 어찌하리오. 마음에 탄복하고 조선 도원수 김자점을 불러 왈, “너희는 이제 내 나라의 신하라. 내 영을 어찌 어기리오.” 자점이 황공하여 왈, “분부대로 거행 하오리다.”
용골대가 호령하여 왈, “네 군사를 몰아 박 부인과 계화를 사로잡아 들이라.” 하니, 자점이 황겁하여 방포일성에 군사를 몰아 피화당을 에워싸니, 문득 팔문이 변하여 백여 길 함정이 되는지라. 용골대가 이를 보고 졸연히 진을 깨지 못할 줄 알고
한 꾀를 생각하여, 군사로 하여금 피화당 사방 십 리를 깊이파고 화약 염초를 많이 붓고, 군사로 하여금 각각 불을 지르고, “너희 무리가 아무리 천변만화지술이 있은들 어찌하리오.” 하고 군사를 호령하여 일시에 불을 놓으니, 그 불이 화약 염초를 범하매 벽력 같은 소리가 나며 장안 삼십 리에 불길이 충천하여 죽는 자가 무수하더라.
박씨가 주렴을 드리우고 부채를 쥐어 불을 부치니, 불길이 오랑캐 진을 덮쳐 오랑캐 장졸이 타 죽고 밟혀 죽으며 남은 군사는 살기를 도모하여 다 도망하는지라. 용골대가 할 길 없어, “이미 화친을 받았으니 대공을 세웠거늘, 부질없이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 공연히 장졸만 다 죽였으니, 어찌 분한(憤恨)치 않으리오.” 하고 회군하여 발행할 제, 왕대비와 세자 대군이며 장안 미색을 데리고 가는지라.
박씨가 시비 계화로 하여금 외쳐 왈, “무지한 오랑캐야, 너희 왕 놈이 무식하여 은혜지국(恩惠之國)을 침범하였거니와, 우리 왕대비는 데려가지 못하리라. 만일 그런 뜻을 두면 너희들은 본국에 돌아가지 못하리라.” 하니 오랑캐 장수들이 가소롭게
여겨, “우리 이미 화친 언약을 받고 또한 인물이 나의 장중(掌中)에 매였으니 그런 말은 생심(生心)도 말라.” 하며, 혹 욕을 하며 듣지 아니하거늘, 박씨가 또 계화로 하여금 다시 외쳐 왈, “너희가 일양 그리하려거든 내 재주를 구경하라.”하더니, 이윽고 공중으로 두 줄기 무지개 일어나며, 모진 비가 천지를 뒤덮게 오며, 음풍이 일어나며 백설이 날리고, 얼음이 얼어 군마의 발굽이 땅에 붙어 한 걸음도 옮기지 못하는지라. 그제야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하여 아무리 생각하여도 모두 함몰할지라. 마지못하여 장수들이 투구를 벗고 창을 버려, 피화당 앞에 나아가 꿇어 애걸하기를, “오늘날 이미 화친을 받았으나 왕대비는 아니 뫼셔 갈 것이니, 박 부인 덕택에 살려 주옵소서.” 박씨가 주렴 안에서 꾸짖어 왈, “너희들을 모두 죽일 것이로되, 천시(天時)를 생각하고 용서하거니와, 너희 놈이 본디 간사하여 외람된 죄를 지었으나 이번에는 아는 일이 있어 살려 보내나니, 조심하여 들어가며, 우리 세자 대군을 부디 태평히 모셔 가라.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내 오랑캐를 씨도 없이 멸하리라.”
이에 오랑캐 장수들이 백배 사례하더라.
- 작자 미상, 박씨전 -
<par/>
<par>
(다)
“피란 안 갔다고 야단맞지 않을까요?”
윤씨가 걱정스럽게 묻는다. 김씨 댁 아주머니의 얼굴도 잠시 흐려진다. 그러나 이내 쾌활한 목소리로,
“쌀 배급을 주는데 야단을 치려구요? 세상에 불쌍한 백성을 더 이상 어쩌겠어요?”
“그래도 댁은…… 우린 애아범이 그래 놔서…… 전에도 배급을 못 타 먹었는데.”
“이 마당에서 그걸 누가 알겠어요? 어지간히 시달려 놔서 이젠 그렇게들 안 할 거예요.”
둑길을 건너서 인도교 가까이 갔을 때 노량진 쪽에서 사람들이 몰려온다. 어느 구석에 끼여 있었던지 용케 죽지도 않고, 스무 명가량의 사람들이 떼 지어 간다. 김씨 댁 아주머니는,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하고 물었으나 그들은 미친 듯 뛰어갈 뿐이다.
“여보,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다시 물었으나 여전히 그들은 뛰어간다. 윤씨와 김씨 댁 아주머니도 이제 더 이상 묻지 않고 그들을 따라 뛰어간다. 그들이 간 곳은 한강 모래밭이었다. 강의 얼음은 아직 풀리지 않았다.
그곳에는 여남은 명가량의 사람들이 몰려 있었다. 사실은 배급이 아니었다. 밤사이에 중공군과 인민군이 후퇴하면서 미처 날라 가지 못했던 식량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갈가마귀떼처럼 몰려들어 가마니를 열었다. 그리고 악을 쓰면서 자루에다 쌀과 수수를 집어넣는다. 쌀과 수수가 강변에 흩어진다. 사람들은 굶주린 이리떼처럼 눈에 핏발이 서서 자루에 곡식을 넣어 짊어지고 일어섰다. 쌀자루를 짊어지고 강변을 따라 급히 도망쳐 가는 사나이들, 쌀자루에 쌀을 옮겨넣는 아낙들, 필사적이다. 그야말로 전쟁이다. 김씨 댁 아주머니와 윤씨도 허겁지겁 달려들어 쌀을 퍼낸다. 그리고 떨리는 손으로 자루 끝을 여민 뒤 머리에 이고 일어섰다. 그 순간 하늘이 진동하고 땅이 꺼지는
듯 고함 소리, 총성과 함께 윤씨가 푹 쓰러진다. 윤씨는 외마디 소리를 지르며 쌀자루 위에 얼굴을 처박는다. 거무죽죽한 피가 모래밭에 스며든다.
(중략)
김씨 부인이,
“애기 엄마…….”
하고 소리쳐 부른다. 지영은 그냥 쫓아간다.
“큰일 나요! 큰일 나, 지금 가면 안 돼요! 애기를 어쩌려고
그러는 거요.”
지영은 언덕길을 미끄러지는 듯 달려간다. 둑길을 넘었다.
강변에는 아무도 없었다. 강물도 하늘도 강 건너 서울도 회색빛 속에 싸여 있었다. 지영은 윤씨를 내려다본다. 쌀자루를 꼭 껴안고 있다. 쌀자루는 피에 젖어 거무죽죽하다. 지영은 윤씨를
안아 일으킨다. 그리고 들춰 업는다. 그는 한 발 한 발 힘을 주며 걸음을 옮긴다. 윤씨를 업고 벼랑을 기어오른다. 아무것도 기억할 수가 없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얼마나 오랜 시간이 흘렀는지 그는 둑길까지 나왔다. 둑길에서 저 멀리 과천 으로 뻗은 길을 바라본다. 길은 외줄기…… 멀리멀리 뻗어 있다. 지영은 집으로 돌아왔다.
- 박경리, 시장과 전장 -
<par/>
### 질문:
(가)의 ‘전쟁의 허구화’를 바탕으로 (나), (다)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선택지:
(A) (나)는 실재했던 전쟁을 다루면서도 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지 않으려는 욕망에 따라 허구화가 이루어졌다.
(B) (나)는 박씨 등의 여성 인물과 용골대 등의 가해 세력 간의 대립 구도를 통해 전쟁을 조명하고 있다.
(C) (다)는 실재했던 전쟁을 다루면서도 그 상흔을 직시하려는 의지에 따라 허구화가 이루어졌다.
(D) (다)는 윤씨와 지영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대립 구도를 통해 전쟁을 조명하고 있다.
(E) (나)와 (다)는 ‘용골대’나 ‘중공군’과 같은 단어를 통해 실재 했던 전쟁이 환기되도록 했다
### 정답: | ["(나)는 실재했던 전쟁을 다루면서도 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지 않으려는 욕망에 따라 허구화가 이루어졌다.", "(나)는 박씨 등의 여성 인물과 용골대 등의 가해 세력 간의 대립 구도를 통해 전쟁을 조명하고 있다.", "(다)는 실재했던 전쟁을 다루면서도 그 상흔을 직시하려는 의지에 따라 허구화가 이루어졌다.", "(다)는 윤씨와 지영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대립 구도를 통해 전쟁을 조명하고 있다.", "(나)와 (다)는 ‘용골대’나 ‘중공군’과 같은 단어를 통해 실재 했던 전쟁이 환기되도록 했다"] | (D)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D)"}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reasoning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전쟁을 다룬 소설 중에는 실재했던 전쟁을 제재로 한 작품들이 있다. 이런 작품들은 허구를 매개로 실재했던 전쟁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가령, 박씨전 의 후반부는 패전했던 병자호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던 조선 사람들의 욕망에 따라, 허구적 인물 박씨가 패전의 고통을 안겼던 실존 인물 용골대를 물리치는 장면을 중심으로 허구화되었다. 외적에 휘둘린 무능한 관군 탓에 병자호란 당시 여성은 전쟁의 큰 피해자였다. 박씨전 에서는 이 비극적 체험을 재구성하여, 전화를
피하기 위한 장소인 피화당(避禍堂)에서 여성 인물과 적군이 전투를 벌이는 장면을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간의 대립 구도 하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는 조선 사람들의 슬픔을 위로하고 희생자를 추모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연대감을 강화하였다. 한편, 시장과 전장 은 한국전쟁이 남긴 상흔을 직시하고 이에 좌절하지 않으려던 작가의 의지가, 이념 간의 갈등에 노출되고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을 통해 허구화되었다. 이 소설에서는 전장을 재현하여 전쟁의 폭력에 노출된 개인의 연약함이
강조되고, 무고한 희생을 목도한 인물의 내면이 드러남으로써 개인의 존엄이 탐색되었다.
우리는 이런 작품들을 통해 전쟁의 성격을 탐색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는 외적의 침략이나 이념 갈등과 같은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전쟁이 폭력적인 것은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죽기 때문만은 아니다. 전쟁의 명분은 폭력을
정당화하기에, 적의 죽음은 불가피한 것으로, 우리 편의 죽음은 불의한 적에 의한 희생으로 간주된다. 전쟁은 냉혹하게도 아군 이나 적군 모두가 민간인의 죽음조차 외면하거나 자신의 명분에 따라 이를 이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폭력성을 띠는 것이다. 두 작품에서 사람들이 죽는 장소가 군사들이 대치하는 전선만이 아니라는 점도 주목된다. 전쟁터란 전장과 후방, 가해자와 피해 자가 구분되지 않는 혼돈의 현장이다. 이 혼돈 속에서 사람들은 고통 받으면서도 생의 의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쟁은 비극성을 띤다. 이처럼, 전쟁의 허구화를 통해 우리는 전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다.
<par/>
<par>
(나)
문득 나무들 사이에서 한 여인이 나와 크게 꾸짖어 왈, “무지한 용골대야, 네 아우가 내 손에 죽었거늘 너조차 죽기를 재촉하 느냐?” 용골대가 대로하여 꾸짖어 왈, “너는 어떠한 계집이완데 장부의 마음을 돋우느냐? 내 아우가 불행하여 네 손에 죽었지만, 네 나라의 화친 언약을 받았으니 이제는 너희도 다 우리나라의 신첩(臣妾)이라. 잔말 말고 바삐 내 칼을 받아라.”
계화가 들은 체 아니하고 크게 꾸짖어 왈, “네 동생이 내 칼에 죽었으니, 네 또한 명이 내 손에 달렸으니 어찌 가소롭지 아니리오.” 용골대가 더욱 분기등등하여 군중에 호령하여, “일시에 활을 당겨 쏘라.” 하니, 살이 무수하되 감히 한 개도 범치 못하 는지라. 용골대 아무리 분한들 어찌하리오. 마음에 탄복하고 조선 도원수 김자점을 불러 왈, “너희는 이제 내 나라의 신하라. 내 영을 어찌 어기리오.” 자점이 황공하여 왈, “분부대로 거행 하오리다.”
용골대가 호령하여 왈, “네 군사를 몰아 박 부인과 계화를 사로잡아 들이라.” 하니, 자점이 황겁하여 방포일성에 군사를 몰아 피화당을 에워싸니, 문득 팔문이 변하여 백여 길 함정이 되는지라. 용골대가 이를 보고 졸연히 진을 깨지 못할 줄 알고
한 꾀를 생각하여, 군사로 하여금 피화당 사방 십 리를 깊이파고 화약 염초를 많이 붓고, 군사로 하여금 각각 불을 지르고, “너희 무리가 아무리 천변만화지술이 있은들 어찌하리오.” 하고 군사를 호령하여 일시에 불을 놓으니, 그 불이 화약 염초를 범하매 벽력 같은 소리가 나며 장안 삼십 리에 불길이 충천하여 죽는 자가 무수하더라.
박씨가 주렴을 드리우고 부채를 쥐어 불을 부치니, 불길이 오랑캐 진을 덮쳐 오랑캐 장졸이 타 죽고 밟혀 죽으며 남은 군사는 살기를 도모하여 다 도망하는지라. 용골대가 할 길 없어, “이미 화친을 받았으니 대공을 세웠거늘, 부질없이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 공연히 장졸만 다 죽였으니, 어찌 분한(憤恨)치 않으리오.” 하고 회군하여 발행할 제, 왕대비와 세자 대군이며 장안 미색을 데리고 가는지라.
박씨가 시비 계화로 하여금 외쳐 왈, “무지한 오랑캐야, 너희 왕 놈이 무식하여 은혜지국(恩惠之國)을 침범하였거니와, 우리 왕대비는 데려가지 못하리라. 만일 그런 뜻을 두면 너희들은 본국에 돌아가지 못하리라.” 하니 오랑캐 장수들이 가소롭게
여겨, “우리 이미 화친 언약을 받고 또한 인물이 나의 장중(掌中)에 매였으니 그런 말은 생심(生心)도 말라.” 하며, 혹 욕을 하며 듣지 아니하거늘, 박씨가 또 계화로 하여금 다시 외쳐 왈, “너희가 일양 그리하려거든 내 재주를 구경하라.”하더니, 이윽고 공중으로 두 줄기 무지개 일어나며, 모진 비가 천지를 뒤덮게 오며, 음풍이 일어나며 백설이 날리고, 얼음이 얼어 군마의 발굽이 땅에 붙어 한 걸음도 옮기지 못하는지라. 그제야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하여 아무리 생각하여도 모두 함몰할지라. 마지못하여 장수들이 투구를 벗고 창을 버려, 피화당 앞에 나아가 꿇어 애걸하기를, “오늘날 이미 화친을 받았으나 왕대비는 아니 뫼셔 갈 것이니, 박 부인 덕택에 살려 주옵소서.” 박씨가 주렴 안에서 꾸짖어 왈, “너희들을 모두 죽일 것이로되, 천시(天時)를 생각하고 용서하거니와, 너희 놈이 본디 간사하여 외람된 죄를 지었으나 이번에는 아는 일이 있어 살려 보내나니, 조심하여 들어가며, 우리 세자 대군을 부디 태평히 모셔 가라.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내 오랑캐를 씨도 없이 멸하리라.”
이에 오랑캐 장수들이 백배 사례하더라.
- 작자 미상, 박씨전 -
<par/>
<par>
(다)
“피란 안 갔다고 야단맞지 않을까요?”
윤씨가 걱정스럽게 묻는다. 김씨 댁 아주머니의 얼굴도 잠시 흐려진다. 그러나 이내 쾌활한 목소리로,
“쌀 배급을 주는데 야단을 치려구요? 세상에 불쌍한 백성을 더 이상 어쩌겠어요?”
“그래도 댁은…… 우린 애아범이 그래 놔서…… 전에도 배급을 못 타 먹었는데.”
“이 마당에서 그걸 누가 알겠어요? 어지간히 시달려 놔서 이젠 그렇게들 안 할 거예요.”
둑길을 건너서 인도교 가까이 갔을 때 노량진 쪽에서 사람들이 몰려온다. 어느 구석에 끼여 있었던지 용케 죽지도 않고, 스무 명가량의 사람들이 떼 지어 간다. 김씨 댁 아주머니는,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하고 물었으나 그들은 미친 듯 뛰어갈 뿐이다.
“여보,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다시 물었으나 여전히 그들은 뛰어간다. 윤씨와 김씨 댁 아주머니도 이제 더 이상 묻지 않고 그들을 따라 뛰어간다. 그들이 간 곳은 한강 모래밭이었다. 강의 얼음은 아직 풀리지 않았다.
그곳에는 여남은 명가량의 사람들이 몰려 있었다. 사실은 배급이 아니었다. 밤사이에 중공군과 인민군이 후퇴하면서 미처 날라 가지 못했던 식량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갈가마귀떼처럼 몰려들어 가마니를 열었다. 그리고 악을 쓰면서 자루에다 쌀과 수수를 집어넣는다. 쌀과 수수가 강변에 흩어진다. 사람들은 굶주린 이리떼처럼 눈에 핏발이 서서 자루에 곡식을 넣어 짊어지고 일어섰다. 쌀자루를 짊어지고 강변을 따라 급히 도망쳐 가는 사나이들, 쌀자루에 쌀을 옮겨넣는 아낙들, 필사적이다. 그야말로 전쟁이다. 김씨 댁 아주머니와 윤씨도 허겁지겁 달려들어 쌀을 퍼낸다. 그리고 떨리는 손으로 자루 끝을 여민 뒤 머리에 이고 일어섰다. 그 순간 하늘이 진동하고 땅이 꺼지는
듯 고함 소리, 총성과 함께 윤씨가 푹 쓰러진다. 윤씨는 외마디 소리를 지르며 쌀자루 위에 얼굴을 처박는다. 거무죽죽한 피가 모래밭에 스며든다.
(중략)
김씨 부인이,
“애기 엄마…….”
하고 소리쳐 부른다. 지영은 그냥 쫓아간다.
“큰일 나요! 큰일 나, 지금 가면 안 돼요! 애기를 어쩌려고
그러는 거요.”
지영은 언덕길을 미끄러지는 듯 달려간다. 둑길을 넘었다.
강변에는 아무도 없었다. 강물도 하늘도 강 건너 서울도 회색빛 속에 싸여 있었다. 지영은 윤씨를 내려다본다. 쌀자루를 꼭 껴안고 있다. 쌀자루는 피에 젖어 거무죽죽하다. 지영은 윤씨를
안아 일으킨다. 그리고 들춰 업는다. 그는 한 발 한 발 힘을 주며 걸음을 옮긴다. 윤씨를 업고 벼랑을 기어오른다. 아무것도 기억할 수가 없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얼마나 오랜 시간이 흘렀는지 그는 둑길까지 나왔다. 둑길에서 저 멀리 과천 으로 뻗은 길을 바라본다. 길은 외줄기…… 멀리멀리 뻗어 있다. 지영은 집으로 돌아왔다.
- 박경리, 시장과 전장 -
<par/>
### 질문:
(가)를 바탕으로 (다)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선택지:
(A) ‘식량’을 얻으려다가 인물이 죽게 되는 것은 전장과 후방이 구분되지 않는 혼돈의 현장을 보여 주는 것이로군.
(B) ‘갈가마귀떼’는 전쟁으로 인해 기본적인 존엄성마저 상실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상기하게 하는군.
(C) ‘굶주린 이리떼’는 사람들이 전쟁의 폭력에 노출되어 이웃의 죽음조차 외면하는 냉혹한 존재로 변해 버렸음을 드러내는군.
(D) 피에 젖은 ‘쌀자루’는 전쟁의 폭력이 무고한 인물에게 끼친 전쟁의 상흔을 나타내는군.
(E) ‘벼랑을 기어오른다’는 전쟁 속에서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의 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군.
### 정답: | ["‘식량’을 얻으려다가 인물이 죽게 되는 것은 전장과 후방이 구분되지 않는 혼돈의 현장을 보여 주는 것이로군.", "‘갈가마귀떼’는 전쟁으로 인해 기본적인 존엄성마저 상실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상기하게 하는군.", "‘굶주린 이리떼’는 사람들이 전쟁의 폭력에 노출되어 이웃의 죽음조차 외면하는 냉혹한 존재로 변해 버렸음을 드러내는군.", "피에 젖은 ‘쌀자루’는 전쟁의 폭력이 무고한 인물에게 끼친 전쟁의 상흔을 나타내는군.", "‘벼랑을 기어오른다’는 전쟁 속에서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의 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군."] | (C)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C)"}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전쟁을 다룬 소설 중에는 실재했던 전쟁을 제재로 한 작품들이 있다. 이런 작품들은 허구를 매개로 실재했던 전쟁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가령, 박씨전 의 후반부는 패전했던 병자호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던 조선 사람들의 욕망에 따라, 허구적 인물 박씨가 패전의 고통을 안겼던 실존 인물 용골대를 물리치는 장면을 중심으로 허구화되었다. 외적에 휘둘린 무능한 관군 탓에 병자호란 당시 여성은 전쟁의 큰 피해자였다. 박씨전 에서는 이 비극적 체험을 재구성하여, 전화를
피하기 위한 장소인 피화당(避禍堂)에서 여성 인물과 적군이 전투를 벌이는 장면을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간의 대립 구도 하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는 조선 사람들의 슬픔을 위로하고 희생자를 추모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연대감을 강화하였다. 한편, 시장과 전장 은 한국전쟁이 남긴 상흔을 직시하고 이에 좌절하지 않으려던 작가의 의지가, 이념 간의 갈등에 노출되고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을 통해 허구화되었다. 이 소설에서는 전장을 재현하여 전쟁의 폭력에 노출된 개인의 연약함이
강조되고, 무고한 희생을 목도한 인물의 내면이 드러남으로써 개인의 존엄이 탐색되었다.
우리는 이런 작품들을 통해 전쟁의 성격을 탐색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는 외적의 침략이나 이념 갈등과 같은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전쟁이 폭력적인 것은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죽기 때문만은 아니다. 전쟁의 명분은 폭력을
정당화하기에, 적의 죽음은 불가피한 것으로, 우리 편의 죽음은 불의한 적에 의한 희생으로 간주된다. 전쟁은 냉혹하게도 아군 이나 적군 모두가 민간인의 죽음조차 외면하거나 자신의 명분에 따라 이를 이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폭력성을 띠는 것이다. 두 작품에서 사람들이 죽는 장소가 군사들이 대치하는 전선만이 아니라는 점도 주목된다. 전쟁터란 전장과 후방, 가해자와 피해 자가 구분되지 않는 혼돈의 현장이다. 이 혼돈 속에서 사람들은 고통 받으면서도 생의 의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쟁은 비극성을 띤다. 이처럼, 전쟁의 허구화를 통해 우리는 전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다.
<par/>
<par>
(나)
문득 나무들 사이에서 한 여인이 나와 크게 꾸짖어 왈, “무지한 용골대야, 네 아우가 내 손에 죽었거늘 너조차 죽기를 재촉하 느냐?” 용골대가 대로하여 꾸짖어 왈, “너는 어떠한 계집이완데 장부의 마음을 돋우느냐? 내 아우가 불행하여 네 손에 죽었지만, 네 나라의 화친 언약을 받았으니 이제는 너희도 다 우리나라의 신첩(臣妾)이라. 잔말 말고 바삐 내 칼을 받아라.”
계화가 들은 체 아니하고 크게 꾸짖어 왈, “네 동생이 내 칼에 죽었으니, 네 또한 명이 내 손에 달렸으니 어찌 가소롭지 아니리오.” 용골대가 더욱 분기등등하여 군중에 호령하여, “일시에 활을 당겨 쏘라.” 하니, 살이 무수하되 감히 한 개도 범치 못하 는지라. 용골대 아무리 분한들 어찌하리오. 마음에 탄복하고 조선 도원수 김자점을 불러 왈, “너희는 이제 내 나라의 신하라. 내 영을 어찌 어기리오.” 자점이 황공하여 왈, “분부대로 거행 하오리다.”
용골대가 호령하여 왈, “네 군사를 몰아 박 부인과 계화를 사로잡아 들이라.” 하니, 자점이 황겁하여 방포일성에 군사를 몰아 피화당을 에워싸니, 문득 팔문이 변하여 백여 길 함정이 되는지라. 용골대가 이를 보고 졸연히 진을 깨지 못할 줄 알고
한 꾀를 생각하여, 군사로 하여금 피화당 사방 십 리를 깊이파고 화약 염초를 많이 붓고, 군사로 하여금 각각 불을 지르고, “너희 무리가 아무리 천변만화지술이 있은들 어찌하리오.” 하고 군사를 호령하여 일시에 불을 놓으니, 그 불이 화약 염초를 범하매 벽력 같은 소리가 나며 장안 삼십 리에 불길이 충천하여 죽는 자가 무수하더라.
박씨가 주렴을 드리우고 부채를 쥐어 불을 부치니, 불길이 오랑캐 진을 덮쳐 오랑캐 장졸이 타 죽고 밟혀 죽으며 남은 군사는 살기를 도모하여 다 도망하는지라. 용골대가 할 길 없어, “이미 화친을 받았으니 대공을 세웠거늘, 부질없이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 공연히 장졸만 다 죽였으니, 어찌 분한(憤恨)치 않으리오.” 하고 회군하여 발행할 제, 왕대비와 세자 대군이며 장안 미색을 데리고 가는지라.
박씨가 시비 계화로 하여금 외쳐 왈, “무지한 오랑캐야, 너희 왕 놈이 무식하여 은혜지국(恩惠之國)을 침범하였거니와, 우리 왕대비는 데려가지 못하리라. 만일 그런 뜻을 두면 너희들은 본국에 돌아가지 못하리라.” 하니 오랑캐 장수들이 가소롭게
여겨, “우리 이미 화친 언약을 받고 또한 인물이 나의 장중(掌中)에 매였으니 그런 말은 생심(生心)도 말라.” 하며, 혹 욕을 하며 듣지 아니하거늘, 박씨가 또 계화로 하여금 다시 외쳐 왈, “너희가 일양 그리하려거든 내 재주를 구경하라.”하더니, 이윽고 공중으로 두 줄기 무지개 일어나며, 모진 비가 천지를 뒤덮게 오며, 음풍이 일어나며 백설이 날리고, 얼음이 얼어 군마의 발굽이 땅에 붙어 한 걸음도 옮기지 못하는지라. 그제야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하여 아무리 생각하여도 모두 함몰할지라. 마지못하여 장수들이 투구를 벗고 창을 버려, 피화당 앞에 나아가 꿇어 애걸하기를, “오늘날 이미 화친을 받았으나 왕대비는 아니 뫼셔 갈 것이니, 박 부인 덕택에 살려 주옵소서.” 박씨가 주렴 안에서 꾸짖어 왈, “너희들을 모두 죽일 것이로되, 천시(天時)를 생각하고 용서하거니와, 너희 놈이 본디 간사하여 외람된 죄를 지었으나 이번에는 아는 일이 있어 살려 보내나니, 조심하여 들어가며, 우리 세자 대군을 부디 태평히 모셔 가라.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내 오랑캐를 씨도 없이 멸하리라.”
이에 오랑캐 장수들이 백배 사례하더라.
- 작자 미상, 박씨전 -
<par/>
<par>
(다)
“피란 안 갔다고 야단맞지 않을까요?”
윤씨가 걱정스럽게 묻는다. 김씨 댁 아주머니의 얼굴도 잠시 흐려진다. 그러나 이내 쾌활한 목소리로,
“쌀 배급을 주는데 야단을 치려구요? 세상에 불쌍한 백성을 더 이상 어쩌겠어요?”
“그래도 댁은…… 우린 애아범이 그래 놔서…… 전에도 배급을 못 타 먹었는데.”
“이 마당에서 그걸 누가 알겠어요? 어지간히 시달려 놔서 이젠 그렇게들 안 할 거예요.”
둑길을 건너서 인도교 가까이 갔을 때 노량진 쪽에서 사람들이 몰려온다. 어느 구석에 끼여 있었던지 용케 죽지도 않고, 스무 명가량의 사람들이 떼 지어 간다. 김씨 댁 아주머니는,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하고 물었으나 그들은 미친 듯 뛰어갈 뿐이다.
“여보,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다시 물었으나 여전히 그들은 뛰어간다. 윤씨와 김씨 댁 아주머니도 이제 더 이상 묻지 않고 그들을 따라 뛰어간다. 그들이 간 곳은 한강 모래밭이었다. 강의 얼음은 아직 풀리지 않았다.
그곳에는 여남은 명가량의 사람들이 몰려 있었다. 사실은 배급이 아니었다. 밤사이에 중공군과 인민군이 후퇴하면서 미처 날라 가지 못했던 식량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갈가마귀떼처럼 몰려들어 가마니를 열었다. 그리고 악을 쓰면서 자루에다 쌀과 수수를 집어넣는다. 쌀과 수수가 강변에 흩어진다. 사람들은 굶주린 이리떼처럼 눈에 핏발이 서서 자루에 곡식을 넣어 짊어지고 일어섰다. 쌀자루를 짊어지고 강변을 따라 급히 도망쳐 가는 사나이들, 쌀자루에 쌀을 옮겨넣는 아낙들, 필사적이다. 그야말로 전쟁이다. 김씨 댁 아주머니와 윤씨도 허겁지겁 달려들어 쌀을 퍼낸다. 그리고 떨리는 손으로 자루 끝을 여민 뒤 머리에 이고 일어섰다. 그 순간 하늘이 진동하고 땅이 꺼지는
듯 고함 소리, 총성과 함께 윤씨가 푹 쓰러진다. 윤씨는 외마디 소리를 지르며 쌀자루 위에 얼굴을 처박는다. 거무죽죽한 피가 모래밭에 스며든다.
(중략)
김씨 부인이,
“애기 엄마…….”
하고 소리쳐 부른다. 지영은 그냥 쫓아간다.
“큰일 나요! 큰일 나, 지금 가면 안 돼요! 애기를 어쩌려고
그러는 거요.”
지영은 언덕길을 미끄러지는 듯 달려간다. 둑길을 넘었다.
강변에는 아무도 없었다. 강물도 하늘도 강 건너 서울도 회색빛 속에 싸여 있었다. 지영은 윤씨를 내려다본다. 쌀자루를 꼭 껴안고 있다. 쌀자루는 피에 젖어 거무죽죽하다. 지영은 윤씨를
안아 일으킨다. 그리고 들춰 업는다. 그는 한 발 한 발 힘을 주며 걸음을 옮긴다. 윤씨를 업고 벼랑을 기어오른다. 아무것도 기억할 수가 없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얼마나 오랜 시간이 흘렀는지 그는 둑길까지 나왔다. 둑길에서 저 멀리 과천 으로 뻗은 길을 바라본다. 길은 외줄기…… 멀리멀리 뻗어 있다. 지영은 집으로 돌아왔다.
- 박경리, 시장과 전장 -
<par/>
### 질문:
(나), (다)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선택지:
(A) (나)에서 용골대는 화공이 실패하자 화살로 피화당을 공격하 였다.
(B) (나)에서 박씨는 오랑캐군이 화친 언약을 받았다는 것을 몰랐 기에 회군하는 오랑캐군을 공격했다.
(C) (다)에서 지영은 윤씨 때문에 김씨 부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강변으로 나갔다.
(D) (다)에서 윤씨가 식량을 마련하기 위해 사람들을 따라 도착한 곳은 인도교였다.
(E) (다)에서 김씨 댁 아주머니는 피란 갔던 것을 걱정하는 윤씨를 안심시키려 하였다.
### 정답: | ["(나)에서 용골대는 화공이 실패하자 화살로 피화당을 공격하 였다.", "(나)에서 박씨는 오랑캐군이 화친 언약을 받았다는 것을 몰랐 기에 회군하는 오랑캐군을 공격했다.", "(다)에서 지영은 윤씨 때문에 김씨 부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강변으로 나갔다.", "(다)에서 윤씨가 식량을 마련하기 위해 사람들을 따라 도착한 곳은 인도교였다.", "(다)에서 김씨 댁 아주머니는 피란 갔던 것을 걱정하는 윤씨를 안심시키려 하였다."] | (C)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C)"}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전쟁을 다룬 소설 중에는 실재했던 전쟁을 제재로 한 작품들이 있다. 이런 작품들은 허구를 매개로 실재했던 전쟁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가령, 박씨전 의 후반부는 패전했던 병자호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던 조선 사람들의 욕망에 따라, 허구적 인물 박씨가 패전의 고통을 안겼던 실존 인물 용골대를 물리치는 장면을 중심으로 허구화되었다. 외적에 휘둘린 무능한 관군 탓에 병자호란 당시 여성은 전쟁의 큰 피해자였다. 박씨전 에서는 이 비극적 체험을 재구성하여, 전화를
피하기 위한 장소인 피화당(避禍堂)에서 여성 인물과 적군이 전투를 벌이는 장면을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간의 대립 구도 하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는 조선 사람들의 슬픔을 위로하고 희생자를 추모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연대감을 강화하였다. 한편, 시장과 전장 은 한국전쟁이 남긴 상흔을 직시하고 이에 좌절하지 않으려던 작가의 의지가, 이념 간의 갈등에 노출되고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을 통해 허구화되었다. 이 소설에서는 전장을 재현하여 전쟁의 폭력에 노출된 개인의 연약함이
강조되고, 무고한 희생을 목도한 인물의 내면이 드러남으로써 개인의 존엄이 탐색되었다.
우리는 이런 작품들을 통해 전쟁의 성격을 탐색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는 외적의 침략이나 이념 갈등과 같은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전쟁이 폭력적인 것은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죽기 때문만은 아니다. 전쟁의 명분은 폭력을
정당화하기에, 적의 죽음은 불가피한 것으로, 우리 편의 죽음은 불의한 적에 의한 희생으로 간주된다. 전쟁은 냉혹하게도 아군 이나 적군 모두가 민간인의 죽음조차 외면하거나 자신의 명분에 따라 이를 이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폭력성을 띠는 것이다. 두 작품에서 사람들이 죽는 장소가 군사들이 대치하는 전선만이 아니라는 점도 주목된다. 전쟁터란 전장과 후방, 가해자와 피해 자가 구분되지 않는 혼돈의 현장이다. 이 혼돈 속에서 사람들은 고통 받으면서도 생의 의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쟁은 비극성을 띤다. 이처럼, 전쟁의 허구화를 통해 우리는 전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다.
<par/>
<par>
(나)
문득 나무들 사이에서 한 여인이 나와 크게 꾸짖어 왈, “무지한 용골대야, 네 아우가 내 손에 죽었거늘 너조차 죽기를 재촉하 느냐?” 용골대가 대로하여 꾸짖어 왈, “너는 어떠한 계집이완데 장부의 마음을 돋우느냐? 내 아우가 불행하여 네 손에 죽었지만, 네 나라의 화친 언약을 받았으니 이제는 너희도 다 우리나라의 신첩(臣妾)이라. 잔말 말고 바삐 내 칼을 받아라.”
계화가 들은 체 아니하고 크게 꾸짖어 왈, “네 동생이 내 칼에 죽었으니, 네 또한 명이 내 손에 달렸으니 어찌 가소롭지 아니리오.” 용골대가 더욱 분기등등하여 군중에 호령하여, “일시에 활을 당겨 쏘라.” 하니, 살이 무수하되 감히 한 개도 범치 못하 는지라. 용골대 아무리 분한들 어찌하리오. 마음에 탄복하고 조선 도원수 김자점을 불러 왈, “너희는 이제 내 나라의 신하라. 내 영을 어찌 어기리오.” 자점이 황공하여 왈, “분부대로 거행 하오리다.”
용골대가 호령하여 왈, “네 군사를 몰아 박 부인과 계화를 사로잡아 들이라.” 하니, 자점이 황겁하여 방포일성에 군사를 몰아 피화당을 에워싸니, 문득 팔문이 변하여 백여 길 함정이 되는지라. 용골대가 이를 보고 졸연히 진을 깨지 못할 줄 알고
한 꾀를 생각하여, 군사로 하여금 피화당 사방 십 리를 깊이파고 화약 염초를 많이 붓고, 군사로 하여금 각각 불을 지르고, “너희 무리가 아무리 천변만화지술이 있은들 어찌하리오.” 하고 군사를 호령하여 일시에 불을 놓으니, 그 불이 화약 염초를 범하매 벽력 같은 소리가 나며 장안 삼십 리에 불길이 충천하여 죽는 자가 무수하더라.
박씨가 주렴을 드리우고 부채를 쥐어 불을 부치니, 불길이 오랑캐 진을 덮쳐 오랑캐 장졸이 타 죽고 밟혀 죽으며 남은 군사는 살기를 도모하여 다 도망하는지라. 용골대가 할 길 없어, “이미 화친을 받았으니 대공을 세웠거늘, 부질없이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 공연히 장졸만 다 죽였으니, 어찌 분한(憤恨)치 않으리오.” 하고 회군하여 발행할 제, 왕대비와 세자 대군이며 장안 미색을 데리고 가는지라.
박씨가 시비 계화로 하여금 외쳐 왈, “무지한 오랑캐야, 너희 왕 놈이 무식하여 은혜지국(恩惠之國)을 침범하였거니와, 우리 왕대비는 데려가지 못하리라. 만일 그런 뜻을 두면 너희들은 본국에 돌아가지 못하리라.” 하니 오랑캐 장수들이 가소롭게
여겨, “우리 이미 화친 언약을 받고 또한 인물이 나의 장중(掌中)에 매였으니 그런 말은 생심(生心)도 말라.” 하며, 혹 욕을 하며 듣지 아니하거늘, 박씨가 또 계화로 하여금 다시 외쳐 왈, “너희가 일양 그리하려거든 내 재주를 구경하라.”하더니, 이윽고 공중으로 두 줄기 무지개 일어나며, 모진 비가 천지를 뒤덮게 오며, 음풍이 일어나며 백설이 날리고, 얼음이 얼어 군마의 발굽이 땅에 붙어 한 걸음도 옮기지 못하는지라. 그제야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하여 아무리 생각하여도 모두 함몰할지라. 마지못하여 장수들이 투구를 벗고 창을 버려, 피화당 앞에 나아가 꿇어 애걸하기를, “오늘날 이미 화친을 받았으나 왕대비는 아니 뫼셔 갈 것이니, 박 부인 덕택에 살려 주옵소서.” 박씨가 주렴 안에서 꾸짖어 왈, “너희들을 모두 죽일 것이로되, 천시(天時)를 생각하고 용서하거니와, 너희 놈이 본디 간사하여 외람된 죄를 지었으나 이번에는 아는 일이 있어 살려 보내나니, 조심하여 들어가며, 우리 세자 대군을 부디 태평히 모셔 가라.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내 오랑캐를 씨도 없이 멸하리라.”
이에 오랑캐 장수들이 백배 사례하더라.
- 작자 미상, 박씨전 -
<par/>
<par>
(다)
“피란 안 갔다고 야단맞지 않을까요?”
윤씨가 걱정스럽게 묻는다. 김씨 댁 아주머니의 얼굴도 잠시 흐려진다. 그러나 이내 쾌활한 목소리로,
“쌀 배급을 주는데 야단을 치려구요? 세상에 불쌍한 백성을 더 이상 어쩌겠어요?”
“그래도 댁은…… 우린 애아범이 그래 놔서…… 전에도 배급을 못 타 먹었는데.”
“이 마당에서 그걸 누가 알겠어요? 어지간히 시달려 놔서 이젠 그렇게들 안 할 거예요.”
둑길을 건너서 인도교 가까이 갔을 때 노량진 쪽에서 사람들이 몰려온다. 어느 구석에 끼여 있었던지 용케 죽지도 않고, 스무 명가량의 사람들이 떼 지어 간다. 김씨 댁 아주머니는,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하고 물었으나 그들은 미친 듯 뛰어갈 뿐이다.
“여보, 여보시오! 어디서 배급을 줍니까?”
다시 물었으나 여전히 그들은 뛰어간다. 윤씨와 김씨 댁 아주머니도 이제 더 이상 묻지 않고 그들을 따라 뛰어간다. 그들이 간 곳은 한강 모래밭이었다. 강의 얼음은 아직 풀리지 않았다.
그곳에는 여남은 명가량의 사람들이 몰려 있었다. 사실은 배급이 아니었다. 밤사이에 중공군과 인민군이 후퇴하면서 미처 날라 가지 못했던 식량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갈가마귀떼처럼 몰려들어 가마니를 열었다. 그리고 악을 쓰면서 자루에다 쌀과 수수를 집어넣는다. 쌀과 수수가 강변에 흩어진다. 사람들은 굶주린 이리떼처럼 눈에 핏발이 서서 자루에 곡식을 넣어 짊어지고 일어섰다. 쌀자루를 짊어지고 강변을 따라 급히 도망쳐 가는 사나이들, 쌀자루에 쌀을 옮겨넣는 아낙들, 필사적이다. 그야말로 전쟁이다. 김씨 댁 아주머니와 윤씨도 허겁지겁 달려들어 쌀을 퍼낸다. 그리고 떨리는 손으로 자루 끝을 여민 뒤 머리에 이고 일어섰다. 그 순간 하늘이 진동하고 땅이 꺼지는
듯 고함 소리, 총성과 함께 윤씨가 푹 쓰러진다. 윤씨는 외마디 소리를 지르며 쌀자루 위에 얼굴을 처박는다. 거무죽죽한 피가 모래밭에 스며든다.
(중략)
김씨 부인이,
“애기 엄마…….”
하고 소리쳐 부른다. 지영은 그냥 쫓아간다.
“큰일 나요! 큰일 나, 지금 가면 안 돼요! 애기를 어쩌려고
그러는 거요.”
지영은 언덕길을 미끄러지는 듯 달려간다. 둑길을 넘었다.
강변에는 아무도 없었다. 강물도 하늘도 강 건너 서울도 회색빛 속에 싸여 있었다. 지영은 윤씨를 내려다본다. 쌀자루를 꼭 껴안고 있다. 쌀자루는 피에 젖어 거무죽죽하다. 지영은 윤씨를
안아 일으킨다. 그리고 들춰 업는다. 그는 한 발 한 발 힘을 주며 걸음을 옮긴다. 윤씨를 업고 벼랑을 기어오른다. 아무것도 기억할 수가 없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얼마나 오랜 시간이 흘렀는지 그는 둑길까지 나왔다. 둑길에서 저 멀리 과천 으로 뻗은 길을 바라본다. 길은 외줄기…… 멀리멀리 뻗어 있다. 지영은 집으로 돌아왔다.
- 박경리, 시장과 전장 -
<par/>
### 질문:
(다)의 서술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선택지:
(A) 인물의 회상을 통해 인물 간 갈등의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B) 시간적 배경을 묘사하여 인물의 성격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
(C) 인물의 경험을 관념적으로 서술하며 사건의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D) 대화를 통해 과거로 돌아가려 하는 인물들의 심리를 보여 주고 있다.
(E) 인물의 연속적인 행위를 제시하여 인물이 처한 긴박한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 정답: | ["인물의 회상을 통해 인물 간 갈등의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시간적 배경을 묘사하여 인물의 성격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 "인물의 경험을 관념적으로 서술하며 사건의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대화를 통해 과거로 돌아가려 하는 인물들의 심리를 보여 주고 있다.", "인물의 연속적인 행위를 제시하여 인물이 처한 긴박한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 (E)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E)"}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그 골목이 그렇게도 짧은 것을 그가 처음으로 느낄 수 있었을
때, 신랑의 몸은 벌써 차 속으로 사라지고, 자기와 차 사이에는
몰려든 군중이 몇 겹으로 길을 가로막았다. 이쁜이 어머니는
당황하였다. 그들의 틈을 비집고,
‘이제 가면, 네가 언제나 또 온단 말이냐? ……’
딸이 이제 영영 돌아오지 못하기나 하는 것같이, 그는 막
자동차에 오르려는 딸에게 달려들어,
“이쁜아.”
한마디 불렀으나, 다음은 목이 메어, 얼마를 벙하니 딸의 옆
얼굴만 바라보다가, 그러한 어머니의 마음을 알아줄 턱없는
운전수가, 재촉하는 경적을 두어 번 울렸을 때, 그는 또 소스라
치게 놀라며, 그저 입에서 나오는 대로,
“모든 걸, 정신 채려, 조심해서, 해라 ……”
그러나 <word>(ㄱ) 자동차의 문은 유난히 소리 내어 닫히고, 다시 또
경적이 두어 번 운 뒤, 달리는 자동차 안에 이쁜이 모양을, 어
머니는 이미 찾아볼 수가 없었다.<word/> 그는 실신한 사람같이, 얼마
를 그곳에 서 있었다. 깨닫지 못하고, 눈물이 뺨을 흐른다. 그
마음속을 알아주면서도, 아낙네들이, 경사에 눈물이 당하냐고, 그
렇게 책망하였을 때, 그는 갑자기 조금 웃고, 그리고, 문득,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그대로 그곳에서 혼도해 버리고 말 것 같은
극도의 피로와, 또 이제는 이미 도저히 구할 길 없는 마음속의
공허를, 그는 일시에 느꼈다.
제6절 몰락
한편에서 이렇게 경사가 있었을 때―(그야, 외딸을 남을 주고
난 그 뒤에, 홀어머니의 외로움과 슬픔은 컸으나 그래도 아직
그것은 한 개의 경사라 할 밖에 없을 것이다)―, 또 <word>(ㄴ) 한편
개천 하나를 건너 신전 집에서는, 바로 이날에 이제까지의 서
울에서의 살림을 거두어, 마침내 애달프게도 온 집안이 시골로
내려갔다.<word/>
<sent>
[A]
독자는, 그 수다스러운 점룡이 어머니가, 이미 한 달도
전에, 어디서 어떻게 들었던 것인지, 쉬이 신전 집이 낙향을
하리라고 가장 은근하게 빨래터에서 하던 말을 기억하고
계실 것이다. 이를테면 그것이 그대로 실현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다만 그들의 가는 곳은, 강원도 춘천이라든가
그러한 곳이 아니라, 경기 강화였다.
<sent/>
이 봄에 대학 의과를 마친 둘째 아들이 아직 취직처가 결정
되지 않은 채, 그대로 서울 하숙에 남아 있을 뿐으로―(그러나,
그도 그로써 얼마 안 되어 충청북도 어느 지방의 ‘공의’가 되어
서울을 떠나고 말았다)―, 신전 집의 온 가족은, 아직도 장가를
못 간 주인의 처남까지도 바로 어디 나들이라도 가는 것처럼,
별로 남들의 주의를 끄는 일도 없이, 스무 해를 살아온 이 동리
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한번 기울어진 가운은 다시 어쩌는 수 없어, 온 집안사람은,
언제든 당장이라도 서울을 떠날 수 있는 준비 아래, 오직 주인
영감의 명령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므로, 동리 사람들도
그것을 단지 시일 문제로 알고 있었던 것이나, 그래도 이 신전
집의 몰락은, 역시 그들의 마음을 한때, 어둡게 해 주었다.
그러나 오직 그뿐이다. 이 도회에서의 패잔자는 좀 더 남의
마음에 애달픔을 주는 일 없이 무심한 이의 눈에는, 참말 어디
볼일이라도 보러 가는 사람같이, 그곳에서 얼마 안 되는 작은
광교 차부에서 강화행 자동차를 탔다. 천변에 일어나는 온갖
일에 관<word>찰을 게을리하지 않는 이발소 소년 이, 용하게도 막,
그들의 이미 오래 전에 팔린 집을 나오는 일행을 발견하고 그래
이발소 안의 모든 사람이 그것을 알았을 뿐으로, 그들이 남부
끄럽다 해서, 고개나마 변변히 못 들고 빠른 걸음걸이로 천변을
걸어 나가, 그대로 큰길로 사라지는 뒷모양이라도 흘낏 본 이는
몇 명이 못 된다. <word>(ㄷ)얼마 있다, 원래의 신전은 술집으로 변하
고, 또 그들의 살던 집에는 좀 더 있다, 하숙옥 간판이 걸렸다.<word/>
- 박태원, 천변풍경 -
<par/>
<par>
(나)
#68. 산비탈 길
뚜벅뚜벅 걷고 있는 철호.
#69. 피난민 수용소 안(회상)
담요바지 철호의 아내가 주워 모은 널빤지 조각을 이고 들어와
부엌에 내려놓고 흩어진 머리칼을 치키며 숨을 돌리고 있다.
철호?E * : 저걸 저토록 고생시킬 줄이야.
담요바지 아내의 모습 위에 ― O L* ―
여학교 교복을 입고 강당에 서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 그
시절의 아내. 또 O L되며 신부 차림의
아내가 노래를 부르고
있다. 그 옆에 상기되어 앉아 있는 결혼 피로연 석상의 철호.
노래는 ‘돌아오라 소렌토’.
#70. 산비탈
철호가 멍하니 시가지를 내려다보고 섰다. 황홀에 묻힌 거리.
#71. 자동차 안
해방촌의 골목길을 운전수가 땀을 빼며 빠져나와서 뒤를 돌아
보고
운전수 : 손님! 이상 더 올라가지 못하겠는데요.
영호 : 그럼 내립시다. 시시한 동네까지 몰구 오느라고 수고했소.
천 환짜리 한 장을 꺼내 준다.
운전수 : (공손히) 감사합니다.
#72. 철호의 방 안
철호의 아내가 만삭의 배를 안고 누더기를 꿰매고 있다. 옆에서
콜콜 자고 있는 혜옥.
영호 : (들어오며) 혜옥아!
(중략)
#73. 철호의 집 부엌 안
민호가 팔다 남은 신문을 끼고 들어와 신들메를 끌르며
민호 : 에이 날씨도 꼭 겨울 같네.
철호?E : 어쨌든 너도 인젠 정신을 차려야지! 군대에서 나온 지도
이태나 되잖니.
영호?E : 정신 차려야죠. 그렇잖아도 금명간 판결이 날 겁니다.
철호?E : 어디 취직을 해야지.
#74. 철호의 집 방 안
영호 : 취직이요. 형님처럼 전차 값도 안 되는 월급을 받고 남의
살림이나 계산해 주란 말에요? 싫습니다.
철호 : 그럼 뭐 뾰죽한 수가 있는 줄 아니?
영호 : 있지요. 남처럼 용기만 조금 있으면.
철호 : 용기?
영호 : 네. 분명히 용기지요.
철호 : 너 설마 엉뚱한 생각을 하고 있는 건 아니겠지.
영호 : 엉뚱하긴 뭐가 엉뚱해요.
철호 : (버럭 소리를 지르며) 영호야! 그렇게 살자면 이 형도
벌써 잘살 수 있었단 말이다.
영호 : 저도 형님을 존경하지 않는 건 아녜요. 가난하더라도
깨끗이 살자는 형님을……. 허지만 형님! 인생이 저 골목에서
십 환짜리를 받고 코 흘리는 어린애들에게 보여 주는 요지경
이라면야 가지고 있는 돈값만치 구멍으로 들여다보고 말 수도
있죠. 그렇지만 어디 인생이 자기 주머니 속의 돈 액수만치만
살고 그만둘 수 있는 요지경인가요? 형님의 어금니만 해도
푹푹 쑤시고 아픈 걸 견딘다고 절약이 되는 건 아니죠. 그러니
비극이 시작되는 거죠. 지긋지긋하게 살아야 하니까 문제죠.
왜 우리라고 좀 더 넓은 테두리까지 못 나가라는 법이 어디
있어요.
영호는 반쯤 끌러 놨던 넥타이를 풀어서 방구석에 픽 던진다.
철호가 무겁게 입을 연다.
철호 : 그건 억설이야.
영호 : 억설이오?
철호 : 네 말대로 꼭 잘살자면 양심이구 윤리구 버려야 한다는
것 아니야.
영호 : 천만에요.
#75. 철호의 집 골목
스카프를 두르고 핸드백을 걸친 명숙이가 엿듣고 있다.
철호?E : 그게 바루 억설이란 말이다. 마음 한구석이 어딘가
비틀려서 하는 억지란 말이다.
영호?E : 비틀렸죠. 분명히 비틀렸어요. 그런데 그 비틀리기가
너무 늦었단 말입니다.
- 이범선 원작, 이종기 각색, 오발탄 -
* ?E : 효과음(effect). 화면에 삽입된 음향.
* O L(overlap) : 하나의 화면이 끝나기 전에 다음 화면이 겹치면서
먼저 화면이 차차 사라지게 하는 기법.
<par/>
### 질문:
(가)와 (나)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선택지:
(A) (가)의 짧게 느껴지는 ‘골목’은 어머니의 아쉬움을, (나)의 빠져 나오기 힘든 ‘골목길’은 ‘시시한 동네’의 열악함을 보여 주고 있다.
(B) (가)는 딸이 멀리 떠나는 모습을 통해, (나)는 명숙이 집 밖에서 엿듣는 모습을 통해 가족들 간의 갈등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C) (가)의 ‘눈물’은 가족을 떠나보내는 자의 아픔을, (나)의 ‘어금니’ 는 가족의 생계를 꾸려 나가는 자의 견딤을 보여 주고 있다.
(D) (가)는 주인 영감의 명령만을 기다리는 신전 집 가족들을 통해, (나)는 만삭의 몸에도 누더기를 꿰매는 아내의 모습을 통해 가족이 처한 불우한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E) (가)는 ‘도회에서의 패잔자’가 낙향하는 모습을 통해, (나)는 영호가 취직을 거부하는 모습을 통해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인물의 처지를 보여 주고 있다.
### 정답: | ["(가)의 짧게 느껴지는 ‘골목’은 어머니의 아쉬움을, (나)의 빠져 나오기 힘든 ‘골목길’은 ‘시시한 동네’의 열악함을 보여 주고 있다.", "(가)는 딸이 멀리 떠나는 모습을 통해, (나)는 명숙이 집 밖에서 엿듣는 모습을 통해 가족들 간의 갈등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가)의 ‘눈물’은 가족을 떠나보내는 자의 아픔을, (나)의 ‘어금니’ 는 가족의 생계를 꾸려 나가는 자의 견딤을 보여 주고 있다.", "(가)는 주인 영감의 명령만을 기다리는 신전 집 가족들을 통해, (나)는 만삭의 몸에도 누더기를 꿰매는 아내의 모습을 통해 가족이 처한 불우한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가)는 ‘도회에서의 패잔자’가 낙향하는 모습을 통해, (나)는 영호가 취직을 거부하는 모습을 통해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인물의 처지를 보여 주고 있다."] | (B)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B)"}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reasoning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앞부분의 줄거리] 화랑도를 숭상하는 ‘유종’과 당나라를 숭상하는 ‘금지’는 내심 서로 못마땅해한다. 이런 가운데 ‘금지’는 아들 ‘금성’과 ‘유종’의 딸 ‘주만’과의 혼사를 진행하려 한다.
설령 금성이가 출중한 재주와 인물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유 종은 이 혼인을 거절할밖에 없었으리라. 첫째로 금지는 당학파 의 우두머리가 아니냐. 나라를 좀먹게 하는 그들의 소위만 생 각해도 뼈가 저리거든 그런 가문에 내 딸을 들여보내다니 될 뻔이나 한 수작인가. 도대체 당학* 이 무에 그리 좋은고. 그 나 라의 바로 전 임금인 당 명황(唐明皇)만 하더라도 양귀비란 계 집에게 미쳐서 정사를 다스리지 않은 탓에 필경 안녹산(安祿 山)의 난을 빚어 내어 오랑캐의 말굽 아래 그네들의 자랑하는 장안이 쑥밭을 이루고 천자란 빈 이름뿐, 촉나라란 두메 속에 오륙 년을 갇히어 있지 않았는가. 금지가 당대 제일 문장이라 고 추어올리는 이백이만 하더라도 제 임금이 성색에 빠져 헤 어날 줄을 모르는 것을 죽음으로 간하지는 못할지언정 몇 잔 술에 감지덕지해서 그 요망한 계집을 칭찬하는 글을 지어 도 리어 임금을 부추겼다 하니 우리네로는 꿈에라도 생각 밖이 아니냐. <word>(ㄱ) 그네들의 한문<word/>이란 난신적자를 만들어 내기에 꼭 알맞은 것이거늘 이것을 좋아라고 배우려 들고 퍼뜨리려 드니 참으로 한심한 노릇이 아니냐. 이 당학을 그대로 내버려 두었 다가는 우리나라에도 오래지 않아 큰 난이 일어날 것이요, 난 이 일어난다면 누가 감당해 낼 자이랴. “한 나이나 젊었더면!” 유종은 이따금 시들어 가는 제 팔뚝의 살을 어루만지면서 한탄한다. 몇 해 전만 해도 자기와 뜻을 같이하는 이가 조정에 더러는 있었지만 어느 결엔지 하나씩 둘씩 없어지고 인제는 <word>(ㄴ) 무 밑둥<word/>과 같이 동그랗게 자기 혼자만 남았다. 속으로는 그 의 주의에 찬동하는 이가 없지도 않으련만 당학파의 세력에 밀리어 감히 발설을 못 하는지 모르리라. 지금이라도 젊은이 축 속으로 뛰어 들어가면 동지를 얼마든지 찾아낼는지 모르리 라. 아직도 이 나라의 명맥이 끊어지지 않은 다음에야 방방곡 곡을 뒤져 찾으면 몇천 명 몇만 명의 화랑도를 닦는 이를 모 을 수 있으리라. 그러나 아들이 없는 그는 젊은이와 접촉할 기 회조차 없었다. 이런 점에도 그는 아들이 없는 것이 원이 되고 한이 되었다. <word>(ㄷ) 이 늙은 향도(香徒)<word/>에게 남은 오직 하나의 희 망은 자기의 주의 주장에 공명하는 사윗감을 구하는 것이었다. 벌써 수년을 두고 <word>(ㄹ) 그럴 만한 인물<word/>을 내심으로 구해 보았지 만 그리 쉽사리 눈에 뜨이지 않았다. 고르면 고를수록 사람 구 하기란 하늘에 별따기보담 더 어려웠다. 유종은 기대고 있던 서안에서 쭉 미끄러지는 듯이 털요 바닥 위에 누웠다. 금지의 청혼을 그렇게 거절한 다음에는 하루바삐 사윗감을 구해야 된 다. 금지로 하여금 다시 입을 열지 못 하도록 <word>(ㅁ) 다른 데 정혼<word/>을 해 놓아야 한다. 그러면 신라를 두 손으로 떠받들고 나아갈 인물이 누가 될 것인가. 삼한 통일 당년의 늠름하고 씩씩한 기 풍(氣風)이 당학에 지질리고 문약(文弱)에 흐르는 이 나라를 바로잡을 인물이 누가 될 것인가.
[중략 부분의 줄거리] ‘유종’이 사위를 구하는 가운데, ‘주만’이 부여의 천민 석공 ‘아사달’을 사모하고 있음이 알려진다. 한편 ‘아사달’은 자신을 찾아온 아내 ‘아사녀’가 끝내 자신을 만나지 못하고 그림자못에서 죽은 사실을 알게 되자, 그 못 둑에서 ‘아사녀’ 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돌에 담아 새겨 내는 작업에 몰입한다. 그러나 어느 결엔지 아사녀의 환영은 깜박 사라져 버렸다. 아까까지는 어렴풋이라도 짐작되던 그 흔적마저 놓치고 말았 다. 아무리 눈을 닦고 돌 얼굴을 들여다보았으나 눈매까지는 그럴싸하게 드러났지마는 그 아래로는 캄캄한 밤빛이 쌓인 듯 아득할 뿐. 돌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골머리만 부질없이 힝힝 내어 둘리었다. 그러자 문득 그 돌 얼굴이 굼실 움직이는 듯하 며 주만의 얼굴이 부시도록 선명하게 살아났다. 마치 어젯밤의 아사녀의 환영 모양으로. <sent>그 눈동자는 띠룩띠룩 애원하듯 원망하듯 자기를 쳐다 보는 것 같다. “이 돌에 나를 새겨 주세요. 네, 아사달님, 네, 마지막 청을 들어주세요.” 그 입술은 달싹달싹 속살거리는 것 같다.<sent/> 아사달은 정을 쥔 채로 머리를 털고 눈을 감았다. 돌 위에 나타난 주만의 모양은 그의 감은 눈시울 속으로 기어들어 오고 야 말았다. 이 몇 달 동안 그와 지내던 가지가지 정경이 그림등 모양으로 어른어른 지나간다. 초파일 탑돌이할 때 맨 처음으로 마주치던 광경, 기절했다가 정신이 돌아날 제 코에 풍기던 야릇 한 향기, 우레가 울고 악수가 쏟아질 적 불꽃을 날리는 듯한 그 뜨거운 입김들…….아사달은 고개를 또 한 번 흔들었다. 그제 야 저 멀리 돈짝만 한 아사녀의 초라한 자태가 아른거린다. 주 만의 모양을 구름을 헤치고 둥둥 떠오르는 햇발과 같다 하면, 아사녀는 샐녘의 하늘에 반짝이는 별만 한 광채밖에 없었다. <sent>물동이를 이고 치마꼬리에 그 빨간 손을 씻으며 배시 시 웃는 모양, 이별하던 날 밤 그린 듯이 도사리고 남편 을 기다리던 앉음앉음, 일부러 자는 척하던 그 가늘게 떨 던 눈시울, 버드나무 그늘에서 숨기던 눈물들……. <sent/>아사달의 머리는 점점 어지러워졌다. 아사녀와 주만의 환영도 흔들린다. 휘술레를 돌리듯 핑핑 돌다가 소용돌이치는 물결 속에 서 조각조각 부서지는 달그림자가 이내 한 곳으로 합하듯이, 두 환영은 마침내 하나로 어우러지고 말았다. 아사달의 캄캄하던 머 릿속도 갑자기 환하게 밝아졌다. 하나로 녹아들어 버린 아사녀와 주만의 두 얼굴은 다시금 거룩한 부처님의 모양으로 변하였다. 아사달은 눈을 번쩍 떴다. 설레던 가슴이 가을 물같이 맑아 지자, 그 돌 얼굴은 세 번째 제 원불(願佛)로 변하였다. 선도산 으로 뉘엿뉘엿 기우는 햇발이 그 부드럽고 찬란한 광선을 던질 제 못물은 수멸수멸 금빛 춤을 추는데 흥에 겨운 마치와 정 소 리가 자지러지게 일어나 저녁나절의 고요한 못 둑을 울리었다. 새벽만 하여 한가위 밝은 달이 홀로 정 자리가 새로운 돌부 처를 비칠 제 정 소리가 그치자 은물결이 잠깐 헤쳐지고 풍 하는 소리가 부근의 적막을 한순간 깨트렸다. - 현진건, 무영탑 - * 당학 : 당나라의 학문.
### 질문:
<보기>를 참고하여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아사달과 아사녀의 이야기는 조선 후기의 설화( 서석가탑 ) 뿐만 아니라, 현진건의 기행문( 고도 순례 경주 , 1929)과 그의 소설( 무영탑 , 1939)에도 나타난다. [자료 1] 불국사 창건 시 당나라에서 온 석공에게 아사녀라는 여인 이 있었다. 아사녀가 갑자기 와서 석공과 만나기를 요구하였 으나, 큰 공사가 끝나지 않았고 아사녀가 비루한 몸이라는 이유로 허락되지 않았다. 다음날 아침 아사녀가 남서쪽 십 리쯤에 있는 연못을 내려다보면 석공이 보일 듯하여, 가서 살펴보니 정말 석공의 모습이 비쳤다. 그러나 탑의 그림자는 비치지 않았다. 그래서 무영탑이라 불렀다. - 서석가탑 - [자료 2] 제 환상에 떠오른 사랑하는 아내의 모양은 다시금 거룩한 부처님의 모양으로 변하였다. 그는 제 예술로 죽은 아내를 살리고 아울러 부처님에게까지 천도(薦度)하려 한 것이다. 이 조각이 완성되면서 자기 역시 못 가운데 몸을 던져 아내 의 뒤를 따랐다. 불국사 남서방에 영지(影池)란 못이 있으니 여기가 곧 아사녀와 당나라 석공이 빠져 죽은 데다. - 현진건, 고도 순례 경주 -
### 선택지:
(A) 윗글은 [자료 1]과 같은 설화를 차용하여 소설로 변용한 모 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군.
(B) 윗글은 [자료 2]처럼 ‘아내’의 죽음을 종교적 상징으로 승화 하고 있는 관점을 이어 간 작품이군.
(C) 윗글은 [자료 1]과 [자료 2]의 이야기에 ‘유종’과 ‘주만’ 등의 서사를 추가하고 있군.
(D) 윗글과 [자료 2]의 ‘못’은 [자료 1]의 ‘연못’이 부부간의 비극 적인 사랑 이야기를 환기하는 공간으로 변용된 것이군.
(E) 윗글의 ‘새로운 돌부처’ 형상에 석공의 얼굴이 새겨진 것은 윗글이 [자료 1]과 [자료 2]의 서사 모티프를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군.
### 정답: | ["윗글은 [자료 1]과 같은 설화를 차용하여 소설로 변용한 모 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군.", "윗글은 [자료 2]처럼 ‘아내’의 죽음을 종교적 상징으로 승화 하고 있는 관점을 이어 간 작품이군.", "윗글은 [자료 1]과 [자료 2]의 이야기에 ‘유종’과 ‘주만’ 등의 서사를 추가하고 있군.", "윗글과 [자료 2]의 ‘못’은 [자료 1]의 ‘연못’이 부부간의 비극 적인 사랑 이야기를 환기하는 공간으로 변용된 것이군.", "윗글의 ‘새로운 돌부처’ 형상에 석공의 얼굴이 새겨진 것은 윗글이 [자료 1]과 [자료 2]의 서사 모티프를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군."] | (E)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E)"}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앞부분의 줄거리] 화랑도를 숭상하는 ‘유종’과 당나라를 숭상하는
‘금지’는 내심 서로 못마땅해한다. 이런 가운데 ‘금지’는 아들
‘금성’과 ‘유종’의 딸 ‘주만’과의 혼사를 진행하려 한다.
설령 금성이가 출중한 재주와 인물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유
종은 이 혼인을 거절할밖에 없었으리라. 첫째로 금지는 당학파
의 우두머리가 아니냐. 나라를 좀먹게 하는 그들의 소위만 생
각해도 뼈가 저리거든 그런 가문에 내 딸을 들여보내다니 될
뻔이나 한 수작인가. 도대체 당학*
이 무에 그리 좋은고. 그 나
라의 바로 전 임금인 당 명황(唐明皇)만 하더라도 양귀비란 계
집에게 미쳐서 정사를 다스리지 않은 탓에 필경 안녹산(安祿
山)의 난을 빚어 내어 오랑캐의 말굽 아래 그네들의 자랑하는
장안이 쑥밭을 이루고 천자란 빈 이름뿐, 촉나라란 두메 속에
오륙 년을 갇히어 있지 않았는가. 금지가 당대 제일 문장이라
고 추어올리는 이백이만 하더라도 제 임금이 성색에 빠져 헤
어날 줄을 모르는 것을 죽음으로 간하지는 못할지언정 몇 잔
술에 감지덕지해서 그 요망한 계집을 칭찬하는 글을 지어 도
리어 임금을 부추겼다 하니 우리네로는 꿈에라도 생각 밖이
아니냐. <word>(ㄱ) 그네들의 한문<word/>이란 난신적자를 만들어 내기에 꼭
알맞은 것이거늘 이것을 좋아라고 배우려 들고 퍼뜨리려 드니
참으로 한심한 노릇이 아니냐. 이 당학을 그대로 내버려 두었
다가는 우리나라에도 오래지 않아 큰 난이 일어날 것이요, 난
이 일어난다면 누가 감당해 낼 자이랴.
“한 나이나 젊었더면!”
유종은 이따금 시들어 가는 제 팔뚝의 살을 어루만지면서
한탄한다. 몇 해 전만 해도 자기와 뜻을 같이하는 이가 조정에
더러는 있었지만 어느 결엔지 하나씩 둘씩 없어지고 인제는
<word>(ㄴ) 무 밑둥<word/>과 같이 동그랗게 자기 혼자만 남았다. 속으로는 그
의 주의에 찬동하는 이가 없지도 않으련만 당학파의 세력에
밀리어 감히 발설을 못 하는지 모르리라. 지금이라도 젊은이
축 속으로 뛰어 들어가면 동지를 얼마든지 찾아낼는지 모르리
라. 아직도 이 나라의 명맥이 끊어지지 않은 다음에야 방방곡
곡을 뒤져 찾으면 몇천 명 몇만 명의 화랑도를 닦는 이를 모
을 수 있으리라. 그러나 아들이 없는 그는 젊은이와 접촉할 기
회조차 없었다. 이런 점에도 그는 아들이 없는 것이 원이 되고
한이 되었다. <word>(ㄷ) 이 늙은 향도(香徒)<word/>에게 남은 오직 하나의 희
망은 자기의 주의 주장에 공명하는 사윗감을 구하는 것이었다.
벌써 수년을 두고 <word>(ㄹ) 그럴 만한 인물<word/>을 내심으로 구해 보았지
만 그리 쉽사리 눈에 뜨이지 않았다. 고르면 고를수록 사람 구
하기란 하늘에 별따기보담 더 어려웠다. 유종은 기대고 있던
서안에서 쭉 미끄러지는 듯이 털요 바닥 위에 누웠다. 금지의
청혼을 그렇게 거절한 다음에는 하루바삐 사윗감을 구해야 된
다. 금지로 하여금 다시 입을 열지 못 하도록 <word>(ㅁ) 다른 데 정혼<word/>
을 해 놓아야 한다. 그러면 신라를 두 손으로 떠받들고 나아갈
인물이 누가 될 것인가. 삼한 통일 당년의 늠름하고 씩씩한 기
풍(氣風)이 당학에 지질리고 문약(文弱)에 흐르는 이 나라를
바로잡을 인물이 누가 될 것인가.
[중략 부분의 줄거리] ‘유종’이 사위를 구하는 가운데, ‘주만’이
부여의 천민 석공 ‘아사달’을 사모하고 있음이 알려진다. 한편
‘아사달’은 자신을 찾아온 아내 ‘아사녀’가 끝내 자신을 만나지
못하고 그림자못에서 죽은 사실을 알게 되자, 그 못 둑에서 ‘아사녀’
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돌에 담아 새겨 내는 작업에 몰입한다.
그러나 어느 결엔지 아사녀의 환영은 깜박 사라져 버렸다.
아까까지는 어렴풋이라도 짐작되던 그 흔적마저 놓치고 말았
다. 아무리 눈을 닦고 돌 얼굴을 들여다보았으나 눈매까지는
그럴싸하게 드러났지마는 그 아래로는 캄캄한 밤빛이 쌓인 듯
아득할 뿐. 돌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골머리만 부질없이 힝힝
내어 둘리었다. 그러자 문득 그 돌 얼굴이 굼실 움직이는 듯하
며 주만의 얼굴이 부시도록 선명하게 살아났다. 마치 어젯밤의
아사녀의 환영 모양으로.
<sent>그 눈동자는 띠룩띠룩 애원하듯 원망하듯 자기를 쳐다
보는 것 같다.
“이 돌에 나를 새겨 주세요. 네, 아사달님, 네, 마지막
청을 들어주세요.”
그 입술은 달싹달싹 속살거리는 것 같다.<sent/>
아사달은 정을 쥔 채로 머리를 털고 눈을 감았다. 돌 위에
나타난 주만의 모양은 그의 감은 눈시울 속으로 기어들어 오고
야 말았다. 이 몇 달 동안 그와 지내던 가지가지 정경이 그림등
모양으로 어른어른 지나간다. 초파일 탑돌이할 때 맨 처음으로
마주치던 광경, 기절했다가 정신이 돌아날 제 코에 풍기던 야릇
한 향기, 우레가 울고 악수가 쏟아질 적 불꽃을 날리는 듯한 그
뜨거운 입김들……. 아사달은 고개를 또 한 번 흔들었다. 그제
야 저 멀리 돈짝만 한 아사녀의 초라한 자태가 아른거린다. 주
만의 모양을 구름을 헤치고 둥둥 떠오르는 햇발과 같다 하면,
아사녀는 샐녘의 하늘에 반짝이는 별만 한 광채밖에 없었다.
<sent>물동이를 이고 치마꼬리에 그 빨간 손을 씻으며 배시
시 웃는 모양, 이별하던 날 밤 그린 듯이 도사리고 남편
을 기다리던 앉음앉음, 일부러 자는 척하던 그 가늘게 떨
던 눈시울, 버드나무 그늘에서 숨기던 눈물들…….<sent/>
아사달의 머리는 점점 어지러워졌다. 아사녀와 주만의 환영도
흔들린다. 휘술레를 돌리듯 핑핑 돌다가 소용돌이치는 물결 속에
서 조각조각 부서지는 달그림자가 이내 한 곳으로 합하듯이, 두
환영은 마침내 하나로 어우러지고 말았다. 아사달의 캄캄하던 머
릿속도 갑자기 환하게 밝아졌다. 하나로 녹아들어 버린 아사녀와
주만의 두 얼굴은 다시금 거룩한 부처님의 모양으로 변하였다.
아사달은 눈을 번쩍 떴다. 설레던 가슴이 가을 물같이 맑아
지자, 그 돌 얼굴은 세 번째 제 원불(願佛)로 변하였다. 선도산
으로 뉘엿뉘엿 기우는 햇발이 그 부드럽고 찬란한 광선을 던질
제 못물은 수멸수멸 금빛 춤을 추는데 흥에 겨운 마치와 정 소
리가 자지러지게 일어나 저녁나절의 고요한 못 둑을 울리었다.
새벽만 하여 한가위 밝은 달이 홀로 정 자리가 새로운 돌부
처를 비칠 제 정 소리가 그치자 은물결이 잠깐 헤쳐지고 풍
하는 소리가 부근의 적막을 한순간 깨트렸다.
- 현진건, 무영탑 -
* 당학 : 당나라의 학문.
### 질문:
<보기>를 참고하여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아사달과 아사녀의 이야기는 조선 후기의 설화( 서석가탑 ) 뿐만 아니라, 현진건의 기행문( 고도 순례 경주 , 1929)과 그의 소설( 무영탑 , 1939)에도 나타난다.
[자료 1]
불국사 창건 시 당나라에서 온 석공에게 아사녀라는 여인 이 있었다. 아사녀가 갑자기 와서 석공과 만나기를 요구하였 으나, 큰 공사가 끝나지 않았고 아사녀가 비루한 몸이라는 이유로 허락되지 않았다. 다음날 아침 아사녀가 남서쪽 십 리쯤에 있는 연못을 내려다보면 석공이 보일 듯하여, 가서 살펴보니 정말 석공의 모습이 비쳤다. 그러나 탑의 그림자는 비치지 않았다. 그래서 무영탑이라 불렀다. - 서석가탑 -
[자료 2]
제 환상에 떠오른 사랑하는 아내의 모양은 다시금 거룩한 부처님의 모양으로 변하였다. 그는 제 예술로 죽은 아내를 살리고 아울러 부처님에게까지 천도(薦度)하려 한 것이다. 이 조각이 완성되면서 자기 역시 못 가운데 몸을 던져 아내 의 뒤를 따랐다. 불국사 남서방에 영지(影池)란 못이 있으니 여기가 곧 아사녀와 당나라 석공이 빠져 죽은 데다. - 현진건, 고도 순례 경주 -
### 선택지:
(A) 윗글은 [자료 1]과 같은 설화를 차용하여 소설로 변용한 모 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군.
(B) 윗글은 [자료 2]처럼 ‘아내’의 죽음을 종교적 상징으로 승화 하고 있는 관점을 이어 간 작품이군.
(C) 윗글은 [자료 1]과 [자료 2]의 이야기에 ‘유종’과 ‘주만’ 등의 서사를 추가하고 있군.
(D) 윗글과 [자료 2]의 ‘못’은 [자료 1]의 ‘연못’이 부부간의 비극 적인 사랑 이야기를 환기하는 공간으로 변용된 것이군.
(E) 윗글의 ‘새로운 돌부처’ 형상에 석공의 얼굴이 새겨진 것은 윗글이 [자료 1]과 [자료 2]의 서사 모티프를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군.
### 정답: | ["윗글은 [자료 1]과 같은 설화를 차용하여 소설로 변용한 모 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군.", "윗글은 [자료 2]처럼 ‘아내’의 죽음을 종교적 상징으로 승화 하고 있는 관점을 이어 간 작품이군.", "윗글은 [자료 1]과 [자료 2]의 이야기에 ‘유종’과 ‘주만’ 등의 서사를 추가하고 있군.", "윗글과 [자료 2]의 ‘못’은 [자료 1]의 ‘연못’이 부부간의 비극 적인 사랑 이야기를 환기하는 공간으로 변용된 것이군.", "윗글의 ‘새로운 돌부처’ 형상에 석공의 얼굴이 새겨진 것은 윗글이 [자료 1]과 [자료 2]의 서사 모티프를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군."] | (E)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E)"}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arts&sports/performing", "culture/tradition"]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그 골목이 그렇게도 짧은 것을 그가 처음으로 느낄 수 있었을
때, 신랑의 몸은 벌써 차 속으로 사라지고, 자기와 차 사이에는
몰려든 군중이 몇 겹으로 길을 가로막았다. 이쁜이 어머니는
당황하였다. 그들의 틈을 비집고,
‘이제 가면, 네가 언제나 또 온단 말이냐? ……’
딸이 이제 영영 돌아오지 못하기나 하는 것같이, 그는 막
자동차에 오르려는 딸에게 달려들어,
“이쁜아.”
한마디 불렀으나, 다음은 목이 메어, 얼마를 벙하니 딸의 옆
얼굴만 바라보다가, 그러한 어머니의 마음을 알아줄 턱없는
운전수가, 재촉하는 경적을 두어 번 울렸을 때, 그는 또 소스라
치게 놀라며, 그저 입에서 나오는 대로,
“모든 걸, 정신 채려, 조심해서, 해라 ……”
그러나 <word>(ㄱ) 자동차의 문은 유난히 소리 내어 닫히고, 다시 또
경적이 두어 번 운 뒤, 달리는 자동차 안에 이쁜이 모양을, 어
머니는 이미 찾아볼 수가 없었다.<word/> 그는 실신한 사람같이, 얼마
를 그곳에 서 있었다. 깨닫지 못하고, 눈물이 뺨을 흐른다. 그
마음속을 알아주면서도, 아낙네들이, 경사에 눈물이 당하냐고, 그
렇게 책망하였을 때, 그는 갑자기 조금 웃고, 그리고, 문득,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그대로 그곳에서 혼도해 버리고 말 것 같은
극도의 피로와, 또 이제는 이미 도저히 구할 길 없는 마음속의
공허를, 그는 일시에 느꼈다.
제6절 몰락
한편에서 이렇게 경사가 있었을 때―(그야, 외딸을 남을 주고
난 그 뒤에, 홀어머니의 외로움과 슬픔은 컸으나 그래도 아직
그것은 한 개의 경사라 할 밖에 없을 것이다)―, 또 <word>(ㄴ) 한편
개천 하나를 건너 신전 집에서는, 바로 이날에 이제까지의 서
울에서의 살림을 거두어, 마침내 애달프게도 온 집안이 시골로
내려갔다.<word/>
<sent>
[A]
독자는, 그 수다스러운 점룡이 어머니가, 이미 한 달도
전에, 어디서 어떻게 들었던 것인지, 쉬이 신전 집이 낙향을
하리라고 가장 은근하게 빨래터에서 하던 말을 기억하고
계실 것이다. 이를테면 그것이 그대로 실현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다만 그들의 가는 곳은, 강원도 춘천이라든가
그러한 곳이 아니라, 경기 강화였다.
<sent/>
이 봄에 대학 의과를 마친 둘째 아들이 아직 취직처가 결정
되지 않은 채, 그대로 서울 하숙에 남아 있을 뿐으로―(그러나,
그도 그로써 얼마 안 되어 충청북도 어느 지방의 ‘공의’가 되어
서울을 떠나고 말았다)―, 신전 집의 온 가족은, 아직도 장가를
못 간 주인의 처남까지도 바로 어디 나들이라도 가는 것처럼,
별로 남들의 주의를 끄는 일도 없이, 스무 해를 살아온 이 동리
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한번 기울어진 가운은 다시 어쩌는 수 없어, 온 집안사람은,
언제든 당장이라도 서울을 떠날 수 있는 준비 아래, 오직 주인
영감의 명령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므로, 동리 사람들도
그것을 단지 시일 문제로 알고 있었던 것이나, 그래도 이 신전
집의 몰락은, 역시 그들의 마음을 한때, 어둡게 해 주었다.
그러나 오직 그뿐이다. 이 도회에서의 패잔자는 좀 더 남의
마음에 애달픔을 주는 일 없이 무심한 이의 눈에는, 참말 어디
볼일이라도 보러 가는 사람같이, 그곳에서 얼마 안 되는 작은
광교 차부에서 강화행 자동차를 탔다. 천변에 일어나는 온갖
일에 관<word>찰을 게을리하지 않는 이발소 소년 이, 용하게도 막,
그들의 이미 오래 전에 팔린 집을 나오는 일행을 발견하고 그래
이발소 안의 모든 사람이 그것을 알았을 뿐으로, 그들이 남부
끄럽다 해서, 고개나마 변변히 못 들고 빠른 걸음걸이로 천변을
걸어 나가, 그대로 큰길로 사라지는 뒷모양이라도 흘낏 본 이는
몇 명이 못 된다. <word>(ㄷ)얼마 있다, 원래의 신전은 술집으로 변하
고, 또 그들의 살던 집에는 좀 더 있다, 하숙옥 간판이 걸렸다.<word/>
- 박태원, 천변풍경 -
<par/>
<par>
(나)
#68. 산비탈 길
뚜벅뚜벅 걷고 있는 철호.
#69. 피난민 수용소 안(회상)
담요바지 철호의 아내가 주워 모은 널빤지 조각을 이고 들어와
부엌에 내려놓고 흩어진 머리칼을 치키며 숨을 돌리고 있다.
철호?E * : 저걸 저토록 고생시킬 줄이야.
담요바지 아내의 모습 위에 ― O L* ―
여학교 교복을 입고 강당에 서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 그
시절의 아내. 또 O L되며 신부 차림의
아내가 노래를 부르고
있다. 그 옆에 상기되어 앉아 있는 결혼 피로연 석상의 철호.
노래는 ‘돌아오라 소렌토’.
#70. 산비탈
철호가 멍하니 시가지를 내려다보고 섰다. 황홀에 묻힌 거리.
#71. 자동차 안
해방촌의 골목길을 운전수가 땀을 빼며 빠져나와서 뒤를 돌아
보고
운전수 : 손님! 이상 더 올라가지 못하겠는데요.
영호 : 그럼 내립시다. 시시한 동네까지 몰구 오느라고 수고했소.
천 환짜리 한 장을 꺼내 준다.
운전수 : (공손히) 감사합니다.
#72. 철호의 방 안
철호의 아내가 만삭의 배를 안고 누더기를 꿰매고 있다. 옆에서
콜콜 자고 있는 혜옥.
영호 : (들어오며) 혜옥아!
(중략)
#73. 철호의 집 부엌 안
민호가 팔다 남은 신문을 끼고 들어와 신들메를 끌르며
민호 : 에이 날씨도 꼭 겨울 같네.
철호?E : 어쨌든 너도 인젠 정신을 차려야지! 군대에서 나온 지도
이태나 되잖니.
영호?E : 정신 차려야죠. 그렇잖아도 금명간 판결이 날 겁니다.
철호?E : 어디 취직을 해야지.
#74. 철호의 집 방 안
영호 : 취직이요. 형님처럼 전차 값도 안 되는 월급을 받고 남의
살림이나 계산해 주란 말에요? 싫습니다.
철호 : 그럼 뭐 뾰죽한 수가 있는 줄 아니?
영호 : 있지요. 남처럼 용기만 조금 있으면.
철호 : 용기?
영호 : 네. 분명히 용기지요.
철호 : 너 설마 엉뚱한 생각을 하고 있는 건 아니겠지.
영호 : 엉뚱하긴 뭐가 엉뚱해요.
철호 : (버럭 소리를 지르며) 영호야! 그렇게 살자면 이 형도
벌써 잘살 수 있었단 말이다.
영호 : 저도 형님을 존경하지 않는 건 아녜요. 가난하더라도
깨끗이 살자는 형님을……. 허지만 형님! 인생이 저 골목에서
십 환짜리를 받고 코 흘리는 어린애들에게 보여 주는 요지경
이라면야 가지고 있는 돈값만치 구멍으로 들여다보고 말 수도
있죠. 그렇지만 어디 인생이 자기 주머니 속의 돈 액수만치만
살고 그만둘 수 있는 요지경인가요? 형님의 어금니만 해도
푹푹 쑤시고 아픈 걸 견딘다고 절약이 되는 건 아니죠. 그러니
비극이 시작되는 거죠. 지긋지긋하게 살아야 하니까 문제죠.
왜 우리라고 좀 더 넓은 테두리까지 못 나가라는 법이 어디
있어요.
영호는 반쯤 끌러 놨던 넥타이를 풀어서 방구석에 픽 던진다.
철호가 무겁게 입을 연다.
철호 : 그건 억설이야.
영호 : 억설이오?
철호 : 네 말대로 꼭 잘살자면 양심이구 윤리구 버려야 한다는
것 아니야.
영호 : 천만에요.
#75. 철호의 집 골목
스카프를 두르고 핸드백을 걸친 명숙이가 엿듣고 있다.
철호?E : 그게 바루 억설이란 말이다. 마음 한구석이 어딘가
비틀려서 하는 억지란 말이다.
영호?E : 비틀렸죠. 분명히 비틀렸어요. 그런데 그 비틀리기가
너무 늦었단 말입니다.
- 이범선 원작, 이종기 각색, 오발탄 -
* ?E : 효과음(effect). 화면에 삽입된 음향.
* O L(overlap) : 하나의 화면이 끝나기 전에 다음 화면이 겹치면서
먼저 화면이 차차 사라지게 하는 기법.
<par/>
### 질문:
(나)의 ‘#68~#71’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선택지:
(A) #68의 장면에 이어지는 #69에서 ‘철호?E ’를 삽입하여 회상의 주체가 철호임을 알려 주고 있다.
(B) #69에서 ‘철호?E ’를 삽입하여 아내에 대한 연민을 드러내고 있다.
(C) #69에서 ‘노래’를 활용하여 학창 시절 아내의 화면을 결혼 피로연장 아내의 화면으로 전환하고 있다.
(D) #70에서 침묵하는 철호의 모습과 시가지의 분위기를 대비하여, 거리를 바라보는 철호의 심리를 암시하고 있다.
(E) #70의 침묵과 #71의 대화를 상호 대비하여 영호의 소심함을 드러내고 있다.
### 정답: | ["#68의 장면에 이어지는 #69에서 ‘철호?E ’를 삽입하여 회상의 주체가 철호임을 알려 주고 있다.", "#69에서 ‘철호?E ’를 삽입하여 아내에 대한 연민을 드러내고 있다.", "#69에서 ‘노래’를 활용하여 학창 시절 아내의 화면을 결혼 피로연장 아내의 화면으로 전환하고 있다.", "#70에서 침묵하는 철호의 모습과 시가지의 분위기를 대비하여, 거리를 바라보는 철호의 심리를 암시하고 있다.", "#70의 침묵과 #71의 대화를 상호 대비하여 영호의 소심함을 드러내고 있다."] | (E)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E)"}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par>
(가)
그 골목이 그렇게도 짧은 것을 그가 처음으로 느낄 수 있었을
때, 신랑의 몸은 벌써 차 속으로 사라지고, 자기와 차 사이에는
몰려든 군중이 몇 겹으로 길을 가로막았다. 이쁜이 어머니는
당황하였다. 그들의 틈을 비집고,
‘이제 가면, 네가 언제나 또 온단 말이냐? ……’
딸이 이제 영영 돌아오지 못하기나 하는 것같이, 그는 막
자동차에 오르려는 딸에게 달려들어,
“이쁜아.”
한마디 불렀으나, 다음은 목이 메어, 얼마를 벙하니 딸의 옆
얼굴만 바라보다가, 그러한 어머니의 마음을 알아줄 턱없는
운전수가, 재촉하는 경적을 두어 번 울렸을 때, 그는 또 소스라
치게 놀라며, 그저 입에서 나오는 대로,
“모든 걸, 정신 채려, 조심해서, 해라 ……”
그러나 <word>(ㄱ) 자동차의 문은 유난히 소리 내어 닫히고, 다시 또
경적이 두어 번 운 뒤, 달리는 자동차 안에 이쁜이 모양을, 어
머니는 이미 찾아볼 수가 없었다.<word/> 그는 실신한 사람같이, 얼마
를 그곳에 서 있었다. 깨닫지 못하고, 눈물이 뺨을 흐른다. 그
마음속을 알아주면서도, 아낙네들이, 경사에 눈물이 당하냐고, 그
렇게 책망하였을 때, 그는 갑자기 조금 웃고, 그리고, 문득,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그대로 그곳에서 혼도해 버리고 말 것 같은
극도의 피로와, 또 이제는 이미 도저히 구할 길 없는 마음속의
공허를, 그는 일시에 느꼈다.
제6절 몰락
한편에서 이렇게 경사가 있었을 때―(그야, 외딸을 남을 주고
난 그 뒤에, 홀어머니의 외로움과 슬픔은 컸으나 그래도 아직
그것은 한 개의 경사라 할 밖에 없을 것이다)―, 또 <word>(ㄴ) 한편
개천 하나를 건너 신전 집에서는, 바로 이날에 이제까지의 서
울에서의 살림을 거두어, 마침내 애달프게도 온 집안이 시골로
내려갔다.<word/>
<sent>
[A]
독자는, 그 수다스러운 점룡이 어머니가, 이미 한 달도
전에, 어디서 어떻게 들었던 것인지, 쉬이 신전 집이 낙향을
하리라고 가장 은근하게 빨래터에서 하던 말을 기억하고
계실 것이다. 이를테면 그것이 그대로 실현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다만 그들의 가는 곳은, 강원도 춘천이라든가
그러한 곳이 아니라, 경기 강화였다.
<sent/>
이 봄에 대학 의과를 마친 둘째 아들이 아직 취직처가 결정
되지 않은 채, 그대로 서울 하숙에 남아 있을 뿐으로―(그러나,
그도 그로써 얼마 안 되어 충청북도 어느 지방의 ‘공의’가 되어
서울을 떠나고 말았다)―, 신전 집의 온 가족은, 아직도 장가를
못 간 주인의 처남까지도 바로 어디 나들이라도 가는 것처럼,
별로 남들의 주의를 끄는 일도 없이, 스무 해를 살아온 이 동리
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한번 기울어진 가운은 다시 어쩌는 수 없어, 온 집안사람은,
언제든 당장이라도 서울을 떠날 수 있는 준비 아래, 오직 주인
영감의 명령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므로, 동리 사람들도
그것을 단지 시일 문제로 알고 있었던 것이나, 그래도 이 신전
집의 몰락은, 역시 그들의 마음을 한때, 어둡게 해 주었다.
그러나 오직 그뿐이다. 이 도회에서의 패잔자는 좀 더 남의
마음에 애달픔을 주는 일 없이 무심한 이의 눈에는, 참말 어디
볼일이라도 보러 가는 사람같이, 그곳에서 얼마 안 되는 작은
광교 차부에서 강화행 자동차를 탔다. 천변에 일어나는 온갖
일에 관<word>찰을 게을리하지 않는 이발소 소년 이, 용하게도 막,
그들의 이미 오래 전에 팔린 집을 나오는 일행을 발견하고 그래
이발소 안의 모든 사람이 그것을 알았을 뿐으로, 그들이 남부
끄럽다 해서, 고개나마 변변히 못 들고 빠른 걸음걸이로 천변을
걸어 나가, 그대로 큰길로 사라지는 뒷모양이라도 흘낏 본 이는
몇 명이 못 된다. <word>(ㄷ)얼마 있다, 원래의 신전은 술집으로 변하
고, 또 그들의 살던 집에는 좀 더 있다, 하숙옥 간판이 걸렸다.<word/>
- 박태원, 천변풍경 -
<par/>
<par>
(나)
#68. 산비탈 길
뚜벅뚜벅 걷고 있는 철호.
#69. 피난민 수용소 안(회상)
담요바지 철호의 아내가 주워 모은 널빤지 조각을 이고 들어와
부엌에 내려놓고 흩어진 머리칼을 치키며 숨을 돌리고 있다.
철호?E * : 저걸 저토록 고생시킬 줄이야.
담요바지 아내의 모습 위에 ― O L* ―
여학교 교복을 입고 강당에 서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 그
시절의 아내. 또 O L되며 신부 차림의
아내가 노래를 부르고
있다. 그 옆에 상기되어 앉아 있는 결혼 피로연 석상의 철호.
노래는 ‘돌아오라 소렌토’.
#70. 산비탈
철호가 멍하니 시가지를 내려다보고 섰다. 황홀에 묻힌 거리.
#71. 자동차 안
해방촌의 골목길을 운전수가 땀을 빼며 빠져나와서 뒤를 돌아
보고
운전수 : 손님! 이상 더 올라가지 못하겠는데요.
영호 : 그럼 내립시다. 시시한 동네까지 몰구 오느라고 수고했소.
천 환짜리 한 장을 꺼내 준다.
운전수 : (공손히) 감사합니다.
#72. 철호의 방 안
철호의 아내가 만삭의 배를 안고 누더기를 꿰매고 있다. 옆에서
콜콜 자고 있는 혜옥.
영호 : (들어오며) 혜옥아!
(중략)
#73. 철호의 집 부엌 안
민호가 팔다 남은 신문을 끼고 들어와 신들메를 끌르며
민호 : 에이 날씨도 꼭 겨울 같네.
철호?E : 어쨌든 너도 인젠 정신을 차려야지! 군대에서 나온 지도
이태나 되잖니.
영호?E : 정신 차려야죠. 그렇잖아도 금명간 판결이 날 겁니다.
철호?E : 어디 취직을 해야지.
#74. 철호의 집 방 안
영호 : 취직이요. 형님처럼 전차 값도 안 되는 월급을 받고 남의
살림이나 계산해 주란 말에요? 싫습니다.
철호 : 그럼 뭐 뾰죽한 수가 있는 줄 아니?
영호 : 있지요. 남처럼 용기만 조금 있으면.
철호 : 용기?
영호 : 네. 분명히 용기지요.
철호 : 너 설마 엉뚱한 생각을 하고 있는 건 아니겠지.
영호 : 엉뚱하긴 뭐가 엉뚱해요.
철호 : (버럭 소리를 지르며) 영호야! 그렇게 살자면 이 형도
벌써 잘살 수 있었단 말이다.
영호 : 저도 형님을 존경하지 않는 건 아녜요. 가난하더라도
깨끗이 살자는 형님을……. 허지만 형님! 인생이 저 골목에서
십 환짜리를 받고 코 흘리는 어린애들에게 보여 주는 요지경
이라면야 가지고 있는 돈값만치 구멍으로 들여다보고 말 수도
있죠. 그렇지만 어디 인생이 자기 주머니 속의 돈 액수만치만
살고 그만둘 수 있는 요지경인가요? 형님의 어금니만 해도
푹푹 쑤시고 아픈 걸 견딘다고 절약이 되는 건 아니죠. 그러니
비극이 시작되는 거죠. 지긋지긋하게 살아야 하니까 문제죠.
왜 우리라고 좀 더 넓은 테두리까지 못 나가라는 법이 어디
있어요.
영호는 반쯤 끌러 놨던 넥타이를 풀어서 방구석에 픽 던진다.
철호가 무겁게 입을 연다.
철호 : 그건 억설이야.
영호 : 억설이오?
철호 : 네 말대로 꼭 잘살자면 양심이구 윤리구 버려야 한다는
것 아니야.
영호 : 천만에요.
#75. 철호의 집 골목
스카프를 두르고 핸드백을 걸친 명숙이가 엿듣고 있다.
철호?E : 그게 바루 억설이란 말이다. 마음 한구석이 어딘가
비틀려서 하는 억지란 말이다.
영호?E : 비틀렸죠. 분명히 비틀렸어요. 그런데 그 비틀리기가
너무 늦었단 말입니다.
- 이범선 원작, 이종기 각색, 오발탄 -
* ?E : 효과음(effect). 화면에 삽입된 음향.
* O L(overlap) : 하나의 화면이 끝나기 전에 다음 화면이 겹치면서
먼저 화면이 차차 사라지게 하는 기법.
<par/>
### 질문:
(가)와 (나)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선택지:
(A) 인물 간의 대결 의식을 통해 사건의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B) 인물 간의 대화를 통해 특정 인물의 생각과 행동을 희화화하고 있다.
(C) 인물의 회상 장면을 통해 사건 해결의 실마리를 과거에서 찾고 있다.
(D) 인물 간의 갈등을 다각적으로 조명하여 사건 전개의 양상을 다면화하고 있다.
(E) 인물의 내면을 행위로 제시하여 상황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 는 심리를 보여 주고 있다.
### 정답: | ["인물 간의 대결 의식을 통해 사건의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인물 간의 대화를 통해 특정 인물의 생각과 행동을 희화화하고 있다.", "인물의 회상 장면을 통해 사건 해결의 실마리를 과거에서 찾고 있다.", "인물 간의 갈등을 다각적으로 조명하여 사건 전개의 양상을 다면화하고 있다.", "인물의 내면을 행위로 제시하여 상황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 는 심리를 보여 주고 있다."] | (E)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E)"}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
||
MCQA |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요.
### 지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앞부분의 줄거리] 화랑도를 숭상하는 ‘유종’과 당나라를 숭상하는 ‘금지’는 내심 서로 못마땅해한다. 이런 가운데 ‘금지’는 아들 ‘금성’과 ‘유종’의 딸 ‘주만’과의 혼사를 진행하려 한다.
설령 금성이가 출중한 재주와 인물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유 종은 이 혼인을 거절할밖에 없었으리라. 첫째로 금지는 당학파 의 우두머리가 아니냐. 나라를 좀먹게 하는 그들의 소위만 생 각해도 뼈가 저리거든 그런 가문에 내 딸을 들여보내다니 될 뻔이나 한 수작인가. 도대체 당학* 이 무에 그리 좋은고. 그 나 라의 바로 전 임금인 당 명황(唐明皇)만 하더라도 양귀비란 계 집에게 미쳐서 정사를 다스리지 않은 탓에 필경 안녹산(安祿 山)의 난을 빚어 내어 오랑캐의 말굽 아래 그네들의 자랑하는 장안이 쑥밭을 이루고 천자란 빈 이름뿐, 촉나라란 두메 속에 오륙 년을 갇히어 있지 않았는가. 금지가 당대 제일 문장이라 고 추어올리는 이백이만 하더라도 제 임금이 성색에 빠져 헤 어날 줄을 모르는 것을 죽음으로 간하지는 못할지언정 몇 잔 술에 감지덕지해서 그 요망한 계집을 칭찬하는 글을 지어 도 리어 임금을 부추겼다 하니 우리네로는 꿈에라도 생각 밖이 아니냐. <word>(ㄱ) 그네들의 한문<word/>이란 난신적자를 만들어 내기에 꼭 알맞은 것이거늘 이것을 좋아라고 배우려 들고 퍼뜨리려 드니 참으로 한심한 노릇이 아니냐. 이 당학을 그대로 내버려 두었 다가는 우리나라에도 오래지 않아 큰 난이 일어날 것이요, 난 이 일어난다면 누가 감당해 낼 자이랴. “한 나이나 젊었더면!” 유종은 이따금 시들어 가는 제 팔뚝의 살을 어루만지면서 한탄한다. 몇 해 전만 해도 자기와 뜻을 같이하는 이가 조정에 더러는 있었지만 어느 결엔지 하나씩 둘씩 없어지고 인제는 <word>(ㄴ) 무 밑둥<word/>과 같이 동그랗게 자기 혼자만 남았다. 속으로는 그 의 주의에 찬동하는 이가 없지도 않으련만 당학파의 세력에 밀리어 감히 발설을 못 하는지 모르리라. 지금이라도 젊은이 축 속으로 뛰어 들어가면 동지를 얼마든지 찾아낼는지 모르리 라. 아직도 이 나라의 명맥이 끊어지지 않은 다음에야 방방곡 곡을 뒤져 찾으면 몇천 명 몇만 명의 화랑도를 닦는 이를 모 을 수 있으리라. 그러나 아들이 없는 그는 젊은이와 접촉할 기 회조차 없었다. 이런 점에도 그는 아들이 없는 것이 원이 되고 한이 되었다. <word>(ㄷ) 이 늙은 향도(香徒)<word/>에게 남은 오직 하나의 희 망은 자기의 주의 주장에 공명하는 사윗감을 구하는 것이었다. 벌써 수년을 두고 <word>(ㄹ) 그럴 만한 인물<word/>을 내심으로 구해 보았지 만 그리 쉽사리 눈에 뜨이지 않았다. 고르면 고를수록 사람 구 하기란 하늘에 별따기보담 더 어려웠다. 유종은 기대고 있던 서안에서 쭉 미끄러지는 듯이 털요 바닥 위에 누웠다. 금지의 청혼을 그렇게 거절한 다음에는 하루바삐 사윗감을 구해야 된 다. 금지로 하여금 다시 입을 열지 못 하도록 <word>(ㅁ) 다른 데 정혼<word/>을 해 놓아야 한다. 그러면 신라를 두 손으로 떠받들고 나아갈 인물이 누가 될 것인가. 삼한 통일 당년의 늠름하고 씩씩한 기 풍(氣風)이 당학에 지질리고 문약(文弱)에 흐르는 이 나라를 바로잡을 인물이 누가 될 것인가.
[중략 부분의 줄거리] ‘유종’이 사위를 구하는 가운데, ‘주만’이 부여의 천민 석공 ‘아사달’을 사모하고 있음이 알려진다. 한편 ‘아사달’은 자신을 찾아온 아내 ‘아사녀’가 끝내 자신을 만나지 못하고 그림자못에서 죽은 사실을 알게 되자, 그 못 둑에서 ‘아사녀’ 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돌에 담아 새겨 내는 작업에 몰입한다. 그러나 어느 결엔지 아사녀의 환영은 깜박 사라져 버렸다. 아까까지는 어렴풋이라도 짐작되던 그 흔적마저 놓치고 말았 다. 아무리 눈을 닦고 돌 얼굴을 들여다보았으나 눈매까지는 그럴싸하게 드러났지마는 그 아래로는 캄캄한 밤빛이 쌓인 듯 아득할 뿐. 돌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골머리만 부질없이 힝힝 내어 둘리었다. 그러자 문득 그 돌 얼굴이 굼실 움직이는 듯하 며 주만의 얼굴이 부시도록 선명하게 살아났다. 마치 어젯밤의 아사녀의 환영 모양으로. <sent>그 눈동자는 띠룩띠룩 애원하듯 원망하듯 자기를 쳐다 보는 것 같다. “이 돌에 나를 새겨 주세요. 네, 아사달님, 네, 마지막 청을 들어주세요.” 그 입술은 달싹달싹 속살거리는 것 같다.<sent/> 아사달은 정을 쥔 채로 머리를 털고 눈을 감았다. 돌 위에 나타난 주만의 모양은 그의 감은 눈시울 속으로 기어들어 오고 야 말았다. 이 몇 달 동안 그와 지내던 가지가지 정경이 그림등 모양으로 어른어른 지나간다. 초파일 탑돌이할 때 맨 처음으로 마주치던 광경, 기절했다가 정신이 돌아날 제 코에 풍기던 야릇 한 향기, 우레가 울고 악수가 쏟아질 적 불꽃을 날리는 듯한 그 뜨거운 입김들…….아사달은 고개를 또 한 번 흔들었다. 그제 야 저 멀리 돈짝만 한 아사녀의 초라한 자태가 아른거린다. 주 만의 모양을 구름을 헤치고 둥둥 떠오르는 햇발과 같다 하면, 아사녀는 샐녘의 하늘에 반짝이는 별만 한 광채밖에 없었다. <sent>물동이를 이고 치마꼬리에 그 빨간 손을 씻으며 배시 시 웃는 모양, 이별하던 날 밤 그린 듯이 도사리고 남편 을 기다리던 앉음앉음, 일부러 자는 척하던 그 가늘게 떨 던 눈시울, 버드나무 그늘에서 숨기던 눈물들……. <sent/>아사달의 머리는 점점 어지러워졌다. 아사녀와 주만의 환영도 흔들린다. 휘술레를 돌리듯 핑핑 돌다가 소용돌이치는 물결 속에 서 조각조각 부서지는 달그림자가 이내 한 곳으로 합하듯이, 두 환영은 마침내 하나로 어우러지고 말았다. 아사달의 캄캄하던 머 릿속도 갑자기 환하게 밝아졌다. 하나로 녹아들어 버린 아사녀와 주만의 두 얼굴은 다시금 거룩한 부처님의 모양으로 변하였다. 아사달은 눈을 번쩍 떴다. 설레던 가슴이 가을 물같이 맑아 지자, 그 돌 얼굴은 세 번째 제 원불(願佛)로 변하였다. 선도산 으로 뉘엿뉘엿 기우는 햇발이 그 부드럽고 찬란한 광선을 던질 제 못물은 수멸수멸 금빛 춤을 추는데 흥에 겨운 마치와 정 소 리가 자지러지게 일어나 저녁나절의 고요한 못 둑을 울리었다. 새벽만 하여 한가위 밝은 달이 홀로 정 자리가 새로운 돌부 처를 비칠 제 정 소리가 그치자 은물결이 잠깐 헤쳐지고 풍 하는 소리가 부근의 적막을 한순간 깨트렸다. - 현진건, 무영탑 - * 당학 : 당나라의 학문.
### 질문:
<보기>를 바탕으로 윗글을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무영탑 은 작가 현진건의 예술관, 민족주의적 태도, 현실 인식 등을 드러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석가탑 조성에 얽힌 인물들의 이야기를 펼쳐 내면서 숭고한 예술적 성취의 과정 을 잘 보여 준다. 이러한 예술적 성취는 석공 아사달이 자 신의 고뇌를 극복하며 예술품을 만들어 가는 과정, 특히 사 랑과 예술혼이 하나로 융합되어 신앙의 궁극이라는 새로운 경지에 이르는 데에서 잘 드러난다.
### 선택지:
(A) ‘유종’이 ‘이백’을 칭송하는 ‘금지’를 비판하고 화랑도 사윗감 을 구하려 하는 장면에서, 작가의 민족주의적 태도를 엿볼 수 있군.
(B) ‘아사달’이 ‘아사녀’의 환영을 돌에 담아내려고 하는 장면에 서, 주인공의 사랑과 예술혼을 융합해 내려는 작가의 의도를 엿볼 수 있군.
(C) ‘금지’와 같은 ‘당학파’를 ‘나라를 좀먹게 하는’ 집단으로 간 주하는 장면에서, 외세를 추종하는 현실을 비판하려는 작가의 태도를 엿볼 수 있군.
(D) ‘아사녀’와 ‘주만’의 환영이 하나로 어우러져 ‘부처님의 모양’ 으로 변한 장면에서, 신앙의 세계로 나아갈 수 없어 절망하는 인물의 내면이 나타나 있군.
(E) ‘아사달’이 ‘아사녀’를 ‘별만 한 광채’로, ‘주만’을 ‘떠오르는 햇발’로 떠올리며 갈등하는 장면에서, 새로운 예술적 경지에 이르는 과정에서 빚어진 ‘아사달’의 고뇌가 드러나 있군.
### 정답: | ["‘유종’이 ‘이백’을 칭송하는 ‘금지’를 비판하고 화랑도 사윗감 을 구하려 하는 장면에서, 작가의 민족주의적 태도를 엿볼 수 있군.", "‘아사달’이 ‘아사녀’의 환영을 돌에 담아내려고 하는 장면에 서, 주인공의 사랑과 예술혼을 융합해 내려는 작가의 의도를 엿볼 수 있군.", "‘금지’와 같은 ‘당학파’를 ‘나라를 좀먹게 하는’ 집단으로 간 주하는 장면에서, 외세를 추종하는 현실을 비판하려는 작가의 태도를 엿볼 수 있군.", "‘아사녀’와 ‘주만’의 환영이 하나로 어우러져 ‘부처님의 모양’ 으로 변한 장면에서, 신앙의 세계로 나아갈 수 없어 절망하는 인물의 내면이 나타나 있군.", "‘아사달’이 ‘아사녀’를 ‘별만 한 광채’로, ‘주만’을 ‘떠오르는 햇발’로 떠올리며 갈등하는 장면에서, 새로운 예술적 경지에 이르는 과정에서 빚어진 ‘아사달’의 고뇌가 드러나 있군."] | (D) | HAERAE-HUB/HAE_RAE_BENCH_1.1 | {"num_options": 5, "option_keys": ["options"], "original_answer": "(D)"} | reading_comprehension | {} | test | knowledge | general | ["social&humanity/literature", "arts&sports/sculpture"] |
End of preview. Expand
in Data Studio
This dataset is part of the BenchHub project: A Unified Benchmark Suite for Holistic and Customizable LLM Evaluation.
Project page: https://huggingface.co/BenchHub
- Downloads last month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