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ction
stringlengths 13
74
| input
stringclasses 1
value | output
stringlengths 1
4.96k
|
---|---|---|
색전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색전술이란 색전물질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혈류를 막아서 특정 병변에 영양이나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을 차단하여 병변을 죽이거나 출혈이 되는 혈관을 찾아 막음으로써 출혈을 조절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곳은 간세포암종의 치료를 위해 시행하는 간동맥화학색전술입니다. 또한 뇌동맥류 색전술, 기관지동맥 색전술, 자궁동맥 색전술 등이 있습니다.
|
|
색전술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색전술은 출혈이 되고 있는 혈관을 막아 출혈을 중단시키거나 종양, 근종 등의 혈류를 막기 위해 시행됩니다.
|
|
색전술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대퇴동맥이나 경동맥 등 비교적 큰 혈관을 천자하여 시행하게 되므로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는 의료진과의 협의가 필요합니다. 시술 후 감염 최소화를 위해 대퇴 동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서혜부 제모를 시행합니다. 시술 시간에 따라 일정 시간 금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퇴동맥을 이용해 시술을 하는 경우 시술로 인한 혈액순환 장애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술 전 양측 발등에 있는 족배 동맥이 잘 뛰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
색전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시술 부위를 소독하고 국소 마취를 합니다.
2. X-ray를 보면서 대퇴동맥이나 경동맥 등을 경유하여 병변부위까지 가는 관을 삽입합니다.
3. 환부에 관이 도달하면 약물(간동맥화학색전술의 경우)을 주입하고 색전물질로 혈관을 막아 혈류를 차단시킵니다.
4. 삽입된 관을 제거하고 수시간 이상 천자부위를 압박하여 출혈을 방지합니다. 예상 소요 시간은 약 1시간 정도이며, 시술 상황에 따라 달라실 수 있습니다.
|
|
색전술의 검사결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시술 후 CT 등의 추적 검사를 통해 없애고자 한 병변이 사라졌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출혈이 되고 있는 혈관의 경우 출혈 양상을 관찰하여 색전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색전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조영제를 사용하여 혈관조영을 하는 경우 조영제로 인한 과민반응이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있습니다. 오심, 구토, 두드러기, 온열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약물을 투여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시술을 위해 천자한 부위는 충분히 지혈이 될 수 있도록 모래주머니를 얹어 압박되도록 하고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시술 부위에 멍이 들거나 혈종이 생길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사라집니다. 대퇴 동맥을 천자하는 경우 하위 혈관으로 혈액 순환 장애가 있지 않은지 족배동맥을 촉지하여 확인합니다.
|
|
펀치 생검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펀치 생검은 피부 깊이 삽입하여 작은 원형 펀치를 사용하여 조직을 뚫어서 떼어낸 뒤 육안이나 현미경에 의해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3~4mm 펀치가 사용되고, 이를 이용하여 두꺼운 병변도 쉽게 떼어낼 수 있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3mm 이상 채집된 생검부위는 봉합을 하여 상처 회복을 돕기도 하며, 얼굴부위는 2mm 펀치로 생검을 시행합니다.
|
|
펀치 생검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편평상피세포암이나 기저세포암같은 피부암을 진단하거나 깊이가 얕은 염증성 병변, 수포성 병변, 악성흑색종을 제외한 피부의 양성이나 악성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 생검을 시행합니다.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나 자궁경검사를 통해 드러난 이상조직을 검사할 때 펀치 생검이 시행되며, 특히 자궁경부암이 육안적으로 뚜렷하게 확인될 때 확진을 위해 시행합니다.
|
|
펀치 생검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혈액검사를 통해 출혈경향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
펀치 생검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기술적으로 숙련된 의사는 병변 중에서 적절한 생검 부위를 선택합니다.
2. 국소마취제를 피부에 도포하거나 피부에 투약하여 마취를 시행합니다.
3. 2~5mm 지름의 펀치를 병변에 위치하게 한 뒤 압박을 가하며 회전시켜 원통으로 병변을 뚫어 생검조직을 채취합니다. 채취할 조직의 적절한 깊이에 이를 때까지 시행합니다.
4. 생검부위를 압박하고 봉합하여 지혈하면서 채취된 생검조직을 10% 포르말린 용액에 담급니다.
|
|
펀치 생검의 검사결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조직검사의 판독은 5일에서 7일 정도가 소요되며, 의료진에 의해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
|
펀치 생검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임신 중이라도 자궁경부의 펀치 생검은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나 자궁경관소파술을 시행해서는 안됩니다. 생검 후 출혈, 통증, 감염, 가려움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
|
펀치 생검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자궁 내의 펀치 생검은 보통 마취없이 진행되지만 암과 같은 질환을 의심하는 경우 오진의 확률이 높아 전신 마취 하에 자궁 내막 전체를 채취하는 소파술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피부조직검사를 시행할 때에는 국소마취 후 생검을 시행합니다.
|
|
감시 림프절 생검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암은 원래 생긴 부위를 벗어나 전이가 될 수 있으며 흔히 암 발병 부위 근처의 림프절로 전이가 됩니다. 감시 림프절이란 암세포가 첫번째로 도달하는 림프절을 말하며, 이론적으로는 암세포가 림프관을 통해 전이되려면 먼저 감시 림프절에 전이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감시 림프절을 절제하여 확인하면 림프절 전이 여부를 알 수 있으며 감시 림프절에 암전이가 없으면 이와 연결된 다른 부위에도 암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유방암에서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감시 림프절에 전이가 있으면 림프절 곽청술/제거술이 필요합니다. 감시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서는 기존의 광범위한 림프절 절제를 시행하지 않으므로 림프절 절제로 인한 신경 손상이나 림프 부종 등의 여러가지 합병증을 피할 수 있습니다.
|
|
감시 림프절 생검의 검사시기은 무엇인가요?
|
유방암, 위암, 폐암 등 림프절 전이가 흔한 암질환의 경우 전이 여부 확인을 위해 시행합니다. 수술 전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주로 수술 중 추가적인 림프절 제거 수술 시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
|
감시 림프절 생검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감시 림프절 생검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수술 중 감시 림프절을 떼어 동결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2. 검사 결과 감시 림프절에 암 세포의 전이가 없으면 더 이상의 림프절 제거 수술은 하지 않습니다.
3. 수술 전에 이미 림프절 전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감시 림프절 생검을 시행하지 않고 바로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
|
감시 림프절 생검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수술 중 감시림프절의 동결조직검사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지 않았던 경우, 최종 조직검사에서 림프절에 미세한 암세포 전이가 확인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추가적 림프절 절제술이 필요하지는 않으나, 향후 치료에 대하여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
|
감시 림프절 생검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감시 림프절 생검 후 전이가 확인되면 림프절 제거술을 시행합니다. 흔히 림프절 절제 수술을 하는 암에는 유방암, 부인과적 종양, 갑상선암, 두경부암, 전립선암, 고환암, 방광암, 대장암, 흑색종 등이 있으며 림프절 절제 여부나 그 범위는 각각 다릅니다. 림프절 제거술 후에는 림프 순환 부전으로 림프 부종이 발생하게 되며 이런 경우 림프 순환 마사지와 적절한 운동을 통해 부종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감시림프절 생검만 시행하고 림프절 제거는 시행받지 않은 경우에도 통증, 수술 부위의 감각 이상, 림프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가능성이 월등히 적으며, 대부분 시간이 경과하면 호전됩니다. 림프 부종의 증상은 피부를 누르면 쉽게 눌리고 쉽게 회복되지 않는 함요 부종이 나타나게 되며 이후에는 점차 피부 조직이 섬유화되면서 단단해지고 두꺼워져서 부종이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는 상태로 진행되게 됩니다. 부종 부위가 무겁고 불편한 느낌이 들고 림프액의 저류로 인해 쉽게 감염이 생겨 발적과 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팔, 다리의 운동 능력이 저하됩니다.
|
|
개방 생검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생검은 병변 부위의 조직을 떼어내 병리 검사를 통해 질병을 확진하는 방법으로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할 시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생검의 방법은 환부로 바늘을 찔러 세포를 확보하는 경피적 침 생검(percutaneous needle biopsy)과 환부를 절개하여 직접 조직을 채위하는 개방 생검(open biopsy)이 있습니다. 개방 생검에는 개방성 절개 생검(open incisional biopsy), 개방성 절제 생검(open excisional biopsy)으로 세부화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한 조직 채취만을 목적으로 하는 생검은 절개 생검이라고 하고 종양 또는 그 의증이 되는 부분 전체를 제거하는 경우를 절제 생검이라고 합니다.
|
|
개방 생검의 검사시기은 무엇인가요?
|
질환과 관련된 증상이 있고, 영상검사 등을 통해 환부를 발견하였으나 그 부위가 악성인지 양성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생검을 시행합니다. 생검은 대부분의 악성 질환을 확진할 수 있는 유일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
|
개방 생검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혈액 응고에 영향을 주는 약물(항혈액응고제, 항혈소판 제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약물 복용을 중단해야 할 수 있습니다.
|
|
개방 생검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환부 및 생검 방법에 따라 국소마취나 전신마취를 시행합니다.
2. 환부가 인체 내 장기인 경우 수술적 환경에서 환부에 가장 가까운 부위로 절개창을 내어 해당 장기로 접근하여 조직을 떼어냅니다. 최근에는 복강경, 흉강경 등을 이용하여 절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환부가 소화기관, 요로, 자궁, 호흡기인 경우 내시경을 통해 접근하여 조직을 떼어냅니다.
4. 환부가 피부인 경우 시각적으로 보이는 부위를 일부 떼어냅니다.
|
|
개방 생검의 검사결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채취된 조직은 조직 표본을 만들어 현미경으로 확인합니다.
|
|
개방 생검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조직이 채취된 부위는 절제된 조직의 크기, 절제 부위에 따라 여러가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흔히 생검 부위 출혈 및 감염, 통증이 있을 수 있고 폐 생검의 경우 기흉, 간생검의 경우 혈종, 신장생검의 경우 혈뇨 등 환부에 따른 다양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절제생검 시행 후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잔여 악성 조직의 가능성이 있을 경우 국소적 재절제 혹은 광범위한 수술을 통하여 악성 질환을 제거해야할 수 있습니다.
|
|
중심정맥관 삽입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중심정맥은 손이나 발 등에 위치한 작은 말초 정맥과 달리, 몸통에서 연결되어 심장으로 들어가는 쇄골하 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 큰 정맥을 말합니다. 중심정맥관은 이러한 굵은 중심 정맥에 삽입되는 관의 일종으로 한 번 정맥관이 삽입된 후 그 기능이 잘 유지되면, 매번 치료 시 정맥 주사를 위한 별도의 혈관 확보가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중심정맥관 삽입술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손이나 발 등의 말초 정맥을 확보할 수 없을 때, 고농도 정맥주사약 또는 승압제 및 강심제 투약, 응급용 정맥주입로 확보, 빈번한 채혈이나 중심정맥압 등 혈역학적인 측정을 위해 안정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
중심정맥관 삽입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시술 전 4-6시간 금식합니다.
|
|
중심정맥관 삽입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시술 과정 중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삽입 부위에 국소 마취를 합니다.
2. 혈관을 주사기로 천자한 후 주사 바늘 내로 안내선을 삽입하여 도관이 들어갈 수 있는통로를 확보합니다.
3. 안내선을 통하여 도관을 혈관에 삽입하고 피부에 고정합니다. 예상 소요 시간은 약 20~40분 정도로 예상되나, 시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중심정맥관 삽입술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도관의 삽입과 관련하여 쇄골하정맥 또는 내경정맥을 통한 삽입 시 쇄골하 동맥의 전차, 상완 신경총의 손상, 기흉, 혈흉, 공기색전증, 상대정맥의 천자에 따른 종격동 내 출혈, 심막압전, 심방천공, 부정맥, 심장장비 등이 올 수 있고 대퇴 정맥을 통한 삽입시에는 대퇴동맥의 천자, 사타구니 혹은 후복막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삽입 후 세균성 감염, 도관 내 혈괴, 도관 삽입 부위 혈관의 혈전증 또는 협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맥 천자 및 피부 절개 부위에 지혈을 위한 모래주머니를 2시간 동안 올려놓아야 합니다. 이 기간동안은 자세 변경도 최소한으로 제한합니다. 도관을 삽입한 부위의 멍이나 붓기는 수일 내에 가라앉습니다. 도관의 삽입이나 사용 중 기흉, 혈흉, 수흉, 공기 색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관의 사용 중 위치가 이동했거나 도관이 막힌 경우는 확인이 필요하며, 도관에 의한 감염이 발생한 경우는 도관을 제거해야 합니다. 삽입 부위의 감염 예방을 위해 드레싱이 필요하며 도관의 막힘 예방을 위해 멸균 생리식염수를 주기적으로 주입합니다.
|
|
중심정맥관 삽입술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중심 정맥은 피부 표면에서는 보이지 않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시행하기 위하여 초음파나 인체 투시 장치 등의 영상 유도를 통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심정맥관 삽입이 어려운 경우 말초삽입 중심정맥관(PICC) 삽입, 수술적 정맥 절개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
광선요법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광선요법이란 신생아 황달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부에 축적된 빌리루빈이 빛을 쬐면 그 형태가 변하여 담즙이나 소변으로 배설되고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감소하면서 황달이 호전됩니다. 푸른 빛을 띄는 형광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
광선요법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신생아 황달이 있는 아기에게 시행합니다.
|
|
광선요법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광선요법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피부 노출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아기의 옷을 벗기고 자세를 자주 바꾸어 줍니다. 아기의 눈이 강한 빛에 노출되면 망막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대를 해서 눈을 보호해야 합니다. 광선 요법 중에는 탈수가 오기 쉬우므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합니다.
|
|
광선요법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광선 요법의 부작용으로는 묽은 변, 피부 발진, 발열, 탈수, 청동색 아기 증후군(Bronze baby syndrome) 등이 있습니다. 청동색 아기 증후군이란 광선 요법을 받은 아기의 피부가 청동색으로 변하는 것을 말하며, 포합 빌리루빈이 증가되어 있거나 담관 폐쇄증이 있는 아기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
|
광선요법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핵황달은 신생아 황달에서 혈액 내 비릴루빈의 농도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신생아의 혈관뇌장벽을 통과해 뇌조직에 빌리루빈이 침착되어 신경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핵황달이 오면 아기가 축 쳐지고 잠을 많이 자며 근력이 약해지고 젖을 잘 빨지 않게되고 경련을 일으키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핵황달이 생기면 청력장애, 지능 이상, 뇌성마비 등의 후유증이 생길 수 있으니 빌리루빈 수치가 과도하게 올라가지 않도록 조기에 황달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교환 수혈은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많이 높아서 핵황달의 위험성이 높거나, 광선 요법을 해도 빌리루빈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때에 시행하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Rh 혈액형 부적합에 의한 용혈성 황달입니다.
건강한 만삭아는 생리적 황달 또는 모유 황달 시 높은 빌리루빈 농도에서도 합병증 없이 잘 견디지만, 아픈 미숙아들은 이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도 핵황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아기 상태에 따라 교환 수혈을 결정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광선 요법 중이라도 핵황달을 시사하는 임상 징후가 나타나면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에 상관없이 교환 수혈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복수 천자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복수는 복강내 액체성분으로서 정상적으로는 복강 내에 존재하면서 복막과 장기들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액의 역할을 하고 복막 내 림프관을 통해 흡수되어 순환됩니다. 복수 천자는 복수를 채취하여 검사를 시행하거나 복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고여 있는 복수를 제거하여 복부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복수가 증가하게 되면 복통이나 호흡 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복수 천자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과다한 복수로 호흡곤란이 있거나 복부통증이 있는 경우 불편감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
복수 천자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복수 천자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복수가 중력에 의해 잘 배액될 수 있도록 침대에 눕는 자세 또는 누워 상체를 세운 자세를 취합니다.
2. 피부 소독을 시행하고 필요 시 국소 마취를 합니다.
3. 천자침(18~20 게이지 굵기의 바늘)을 주로 좌하복부 또는 배꼽과 치골결합 중간 부위에 삽입합니다.
4. 복수 성분 검사가 목적인 경우 채취를 한 후 천자침을 제거하고, 배액이 필요한 경우에는 배액관을 연결합니다.
5. 배액이 끝나면 천자침을 제거하고 복부가 새지 않도록 드레싱합니다.
|
|
복수 천자의 검사결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정상 복강에는 맑고 장액성의 노란색 복수가 50ml 이하의 소량으로 존재합니다. 필요 시 복수 성분을 검사하여 악성 세포가 있는지, 염증 소견이 있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복수 천자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다량의 복수를 배액하는 경우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액 시 알부민을 주사로 보충합니다. 천자침에 의한 방광 손상을 막기위해 시술 전 소변을 보아 방광을 비우도록 합니다.
시술 후 복막염 및 복막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활력증상과 복부 강직 등의 이상 증상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
|
복수 천자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복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가장 흔한 발생 원인은 간경변입니다. 간경변은 간세포의 미만성 염증과 섬유화로 인해 간의 구조 변화와 기능 상실을 초래하는 만성 간질환으로 딱딱해진 간으로 문맥 혈류 유입이 방해되어 문맥 고혈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식도 정맥류, 부종, 복수, 흉수, 비장비대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한번 발생한 간이식을 하지 않는 한 원상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유두 유륜 문신 시술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유두 유륜 문신 시술은 반영구적 염료를 사용하여 문신을 하여 유륜 모양의 색을 입히는 방법입니다. 유두를 보존하지 못한 유방암 환자에게 유두 유륜의 문신을 통해 미용적, 정신적 만족을 줄 수 있습니다. 염료 특성 상 시술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이 흐려집니다.
|
|
유두 유륜 문신 시술의 검사시기은 무엇인가요?
|
유두를 보존하지 못한 유방암 환자에게 시행합니다. 유방절제술 후 6개월이 경과한 이후에 문신으로 색을 넣어줍니다.
|
|
유두 유륜 문신 시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시술은 국소 마취하에 진행되며 통증을 느끼는 정보는 감각이 회복된 정도에 따라 개인차가 있습니다.
|
|
유두 유륜 문신 시술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문신 시술의 성공은 환자의 만족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이 빠져 재시술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
유두 유륜 문신 시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피부 깊이에 따라 문신으로 인한 상처가 생길 수 있으며 시술 후 상처의 감염, 출혈,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시술 후 색이 주변부와 똑같지 않거나 얼룰덜룩하거나 딱지가 떨어지면서 색이 빠져 재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유두 유륜 문신 시술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일주일간 연고를 이용한 자가 드레싱이 필요합니다. 이후에도 마르지 않도록 약 한달 간 보습제나 오일을 발라주어야 합니다.
|
|
수혈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골수에서 혈액을 제대로 못 만들거나 출혈로 인해 혈액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부족한 혈액성분을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수혈은 혈액이 모자라는 환자에게 혈액을 주입하는 치료 방법을 말합니다. 수혈을 위한 혈액은 헌혈에 의해 얻습니다. 성분수혈(Blood Component Transfusion)이란?
성분수혈은 혈액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수혈 방법이며 필요한 성분만을 수혈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종래에는 헌혈혈액을 전혈(whole blood) 그대로 수혈하였습니다. 단순히 '피'가 모자라는 환자에게 '피'를 준다는 개념이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적혈구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적혈구(RBCs)를, 혈소판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혈소판(platelet concentrates)을, 그리고 혈액응고인자가 결핍된 환자에게는 혈장(fresh frozen plasma, FFP)을 수혈하는 성분수혈요법(blood component therapy)이 일반화되었습니다. 전혈 속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인자 등 혈장 성분과 혈소판은 냉장 보관하는 동안 활성도를 잃어 적혈구 성분 외에는 수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전혈 그대로 수혈하면 혈소판과 혈장 등의 귀중한 혈액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것입니다. 혈소판과 혈장 성분은 따로 분리하여 특별한 조건 하에 보존하여야 수혈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적혈구, 혈소판, 및 신선동결혈장 등 여러 혈액성분제제로 분리하여 수혈하는 성분수혈은 특정 혈액 성분이 다량으로 요구되는 환자에게 적절한 수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1명이 헌혈한 혈액으로 여러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가수혈(Autologous Transfusion)이란? 자가수혈이란 자기 자신의 혈액을 수혈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가수혈에는 다음과 같이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수술 전 혈액예치
수술 전 혈액희석
수술 중 혈액회수
수술 후 혈액회수
이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은 바로 수술 전 혈액예치식 자가수혈입니다. 이는 수술이 예정된 환자로부터 수술 전에 1-2주 간격으로 수술시 필요한 혈액량 만큼 미리 채혈하여 보관해 두었다가 수술 중에 수혈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즉, 수술 전에 미리 자기 자신이 수혈 받을 혈액을 헌혈해 두는 것입니다.
자가 수혈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이러스성 간염 또는 에이즈 등 수혈전파성 질환의 위험성이 전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의 혈액에 노출되지 않아 동종면역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용혈성, 발열성 및 알러지성 수혈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희귀혈액형을 가진 환자인 경우 자신의 혈액으로 수혈용 혈액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교환수혈(Exchange Transfusion)이란?
태아신생아용혈성질환(hemolytic disease of the fetus and newborn, HDFN) 등에 의해 심한 과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이 발생하면 핵황달(kernicterus) 등 신생아에게 심한 합병증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과도하게 증가된 혈중 비포합 빌리루빈을 제거하고 용혈을 일으키는 적혈구 항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교환수혈을 시행합니다. 교환수혈은 일정량의 혈액을 신생아로부터 제거하고 그만큼의 혈액을 보충해주는 방식으로 시행합니다.
|
|
수혈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전혈(Whole Blood)
산소 운반 능력(oxygen-carrying capacity)과 혈액량 확장이 동시에 요구되는 대량 출혈의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그러나 성분수혈요법이 정착된 이후 최근에는 전혈을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농축적혈구(Red Blood Cell, RBC)
산소 운반 능력(oxygen-carrying capacity)이 부족한 경우, 예를 들어 혈색소 수치(hemoglobin, Hb)가 감소하였거나 저산소증(hypoxia) 증상이 있을 때 사용합니다. 농축혈소판(Platelet Concentrate, PC) 또는 성분채집혈소판(Apheresis Platelet, AP)
혈소판 결핍증(혈소판 생성 장애, 지속적인 파괴 또는 소모) 또는 혈소판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사용합니다.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FFP)
혈액응고인자의 보충이 요구될 때 치료적 목적으로 투여합니다. 비타민 K, 동결침전제제, 제8응고인자 농축액 같은 특정 제제로 더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한 경우 또는 혈장증량(volume expander)을 위한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 CRYO)
저피브리노겐혈증(hypofibrinogenemia), 폰빌레브렌트병(Von Willebrand disease), A형 혈우병(hemophilia A) 등에 사용됩니다. 백혈구제거 혈액제제(Leukocyte-Depleted Blood Components)
발열성비용혈성수혈부작용, HLA 동종면역에 의한 혈소판 수혈 불응증(platelet refractoriness), 백혈구 내에 존재하는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감염 전파 등의 예방을 위해 사용합니다. 방사선조사 혈액제제(Irradiated Blood Components)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골수 이식 또는 장기 이식을 받은 환자, 친자 또는 형제로부터 가족 헌혈을 받은 환자 등 이식편대숙주병(graft-versus-host disease, GVHD)의 예방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
|
수혈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수혈될 적혈구와 환자의 혈청을 섞어서 이들 간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교차시험을 미리 시행하여 적합한 혈액을 수혈합니다.
|
|
수혈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혈액 종류 및 투여량, 횟수, 간격을 결정하여 혈액을 요청합니다.
2. 혈액이 도착하면 환자 정보, 담당의사 이름, 서명, 진료과, 혈액제제 종류, 수량 등을 비교하여 확인합니다.
3. 수혈될 혈액백에 적힌 혈액형과 환자의 혈액형이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4. 정확한 혈액임이 확인되면 수혈을 시작합니다.
5. 수혈 시작 후 첫 15분간은 천천히 주입하면서 수혈에 대한 반응을 확인합니다.
5. 혈액제제의 종류 및 환자 상태에 따라 대개 1~2시간 내에 수혈이 마무리됩니다.
|
|
수혈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적혈구제제의 수혈
농축적혈구 1단위의 용량은 200~240ml로, 1단위 수혈 시 혈색소치가 약 1g/dl 증가합니다. 혈소판제제의 수혈
농축혈소판제제 1단위의 용량은 약 40ml로, 1단위 수혈시 혈소판수가 5,000~10,000/ul 정도 증가합니다. 성인의 경우 보통 6~8단위를 한 번에 수혈합니다. 혈장제제의 수혈
혈장제제 1단위의 용량은 약 180ml로, 1단위 수혈시 대부분의 응고인자가 2.5% 증가합니다. 성인의 경우 보통 3~4단위를 한 번에 수혈합니다.
|
|
수혈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모든 치료 방법에 부작용이 있듯이 수혈이라는 치료 방법에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혈성 수혈부작용은 ABO 혈액형이 적합하지 않은 혈액을 수혈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혈할 때마다 혈액형 검사와 교차시험을 철저하게 시행해야 합니다. 용혈성 수혈부작용이 의심될 때는 즉시 수혈을 중지합니다. 발열성 수혈부작용은 수혈에 의해 오한과 발열이 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략 1-2%의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해열제를 쓰면 좋아집니다. 어떤 환자들에게는 수혈 후 두드러기가 생기는 알러지성 수혈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대개 반응이 경미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혈을 중지할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수혈로 인해 B형 또는 C형 간염과 같은 감염성 질환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00만명 중 1-2명 정도로 아주 드물지만 에이즈(AIDS)에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간염 또는 에이즈 검사를 포함한 헌혈자 검사를 현재 철저히 시행하고 있으나, 헌혈자가 간염 또는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감염 초기에는 검사에서 정상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수혈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용혈성수혈부작용 등 심한 부작용은 대개 수혈 시작 후 15분 이내에 발생합니다. 통증, 발열, 오한, 두드러기,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
|
추간판 조영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추간판 조영술은 요통이 추간판 이상에 의한 것인지 진단하고 필요시 약물을 투여하여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
|
추간판 조영술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요통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투약을 통해 요통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
|
추간판 조영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아스피린, 플라빅스, 와파린 등의 혈액 응고 방지제 또는 혈소판 기능 저하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시술에 따라 5~7일 전에 복용을 중지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혈관이 막혀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
추간판 조영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방사선 투시기를 사용하여 수술방에서 시행합니다.
2. 예방적 항생제를 미리 투여합니다.
3. 엎드린 자세에서 방사선 투시기로 추간판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4. 무균적으로 소독한 후 바늘을 추간판에 삽입합니다.
5. 조영제를 주입하여 추간판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며 일정 압력을 가하여 환자의 평소 통증이 유발되는지 확인한 후 약물을 투여합니다.
|
|
추간판 조영술의 검사결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시술을 통해 평소와 유사한 양상의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양성 소견으로 간주하며, 이를 통해 통증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추간판 조영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바늘 삽입 시, 조영제 주입 시, 약물 주입 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술 부위 감염이나 추간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간판 파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주막하 약물 투여 시 일시적인 운동기능의 상실이 있을 수 있으며 저혈압,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출혈, 혈종, 마미신경총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약물 과민 반응 및 조영에 알레르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증식 치료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증식 치료란 약해진 인대나 건, 섬유 골 연결 부위 등에 증식제를 주입하여 그 주위에 아교질을 침착시켜 새로운 섬유 조직 및 결합 조직의 생성을 자극하여 그 부위를 강화시킴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킬 목적으로 시행되는 시술입니다.
|
|
증식 치료술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만성통증 환자의 동통완화 목적으로 실시합니다.
|
|
증식 치료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시술하기 약 2주 전부터 항염증제의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
|
증식 치료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증상 및 연관통과 관련된 부위에 증식제(15~25%의 고농도 포도당 용액, 1% 리도카인, 생리식염수 등이 혼합된 용액)를 주입합니다. 필요 시 x-ray를 보면서 주사할 부위를 찾아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 증식제를 여러 군데 주입할 수 있습니다.
|
|
증식 치료술의 검사결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대부분의 경우에는 통증이 감소하지만, 성공 가능성은 환자에게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재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증식 치료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시술 부위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약 2주 정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주사 부위에 따라 혈관 내 투여, 경막 외 투여, 지주막하 투여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술 부위 감염 및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증식 치료술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시술 후 장시간 차를 타거나 과격한 운동 및 항염증제의 복용은 금해야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
경막외강 유착 박리술 및 신경성형술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경막 외 유착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약물을 주입하여 문제가 되는 신경의 통증 감소와 기능의 회복을 도모합니다.
|
|
경막외강 유착 박리술 및 신경성형술의 검사시기은 무엇인가요?
|
척추 신경병증이 있으며 이의 원인으로 신경부위의 유착이 의심되는 경우에 실시합니다.
|
|
경막외강 유착 박리술 및 신경성형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아스피린, 플라빅스, 와파린 등의 혈액 응고 방지제 또는 혈소판 기능 저해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5~7일 전에 복용을 중지해야 합니다.
|
|
경막외강 유착 박리술 및 신경성형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필요 시 정맥 주입, 항생제 투액 등의 전처치를 시행합니다.
2. 환자는 엎드린 자세로 투시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진행합니다.
3. 시술 부위의 무균 소독을 한 후 바늘 삽입 부위에 국소 마취를 하고 바늘을 삽입합니다.
4. 조영제를 투여하여 유착부위를 확인하고 기구나 약물을 이용하여 유착을 박리합니다.
5. 필요시 관을 거치시킨 후 외래에서 2~3일간 반복적인 약물 투여를 할 수 있습니다. 소요시간은 1시간 정도이나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경막외강 유착 박리술 및 신경성형술의 검사결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시술 후 대부분의 경우 통증이 감소하지만 성공 가능성은 환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재시술이 추후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
경막외강 유착 박리술 및 신경성형술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국소 마취 하에 시행되나 시술 중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중 뇌척수액의 압력이 증가하여 두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요통, 일시적인 시력 상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중 신경을 자극한 경우 극심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후 수일 간 시술 부위를 통해 뇌척수액이 흐를 수 있으며, 이 경우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경막의 손상이나 약물이 경막 내에 투여된 경우 일시적인 운동 기능의 상실이 있을 수 있으며 배뇨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기대한 것보다 통증 경감 효과가 적은 경우 재시술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
|
경막외강 유착 박리술 및 신경성형술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시술 이후 일상생활에서 허리에 충격을 주지 않아야 하며, 무리한 등산이나 계단오르기보다는 평지나 수영장에서 걷는 것이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의 양 또한 한 번에 많은 양을 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
|
무릎신경 차단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무릎 통증에 관여하는 신경을 차단하는 시술입니다. 약물의 약효시간 동안만 통증이 단순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신경주위에 약물을 주입 후 과다흥분된 신경이 안정화되고, 신경 및 그 주위 조직의 염증 반응이 감소하여 통증 경감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
|
무릎신경 차단술의 검사시기은 무엇인가요?
|
무릎 통증 환자의 동통완화 목적으로 실시합니다.
|
|
무릎신경 차단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무릎신경 차단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바로 누운 자세에서 X선 투시영상이나 초음파를 보면서 시행합니다.
2. 무릎 통증에 관여하는 신경에 가는 바늘을 삽입합니다.
3. 병적인 상태의 신경에 약물을 주입합니다.
|
|
무릎신경 차단술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대부분의 경우에는 통증이 감소하지만, 성공 가능성은 환자에게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재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무릎신경 차단술의 경과합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국소 마취 하에 시행되나 시술 중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중 찌릿한 방사통(하지로 뻗어나가는 등의 통증)이 있으면 의료진에게 알립니다. 시술 당일은 과도한 작업이나 운동 등은 피하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늘이 들어간 부위는 하루 이틀정도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좋아집니다.
|
|
무릎신경 차단술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국소 마취 하에 시행되나 시술 중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중 찌릿한 방사통(하지로 뻗어나가는 등의 통증)이 있으면 의료진에게 알립니다. 시술 당일은 과도한 작업이나 운동 등은 피하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늘이 들어간 부위는 하루 이틀정도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좋아집니다.
|
|
무릎신경 차단술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신경차단술 효과는 시술 직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수일에 걸쳐서 그 효과가 극대화 되었다가 점차 감소하므로 추가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무릎 통증을 완화하고 무릎 연골의 마모를 줄이려면 평소 무릎 관절을 지탱하는 근육을 강하게 해서 무릎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에 따라 운동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나 무릎에 하중을 주지 않으며 대퇴사두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이 도움이 되며 의자에 앉아 다리를 들어올리는 운동이나 자전거 타기 등이 무릎에 좋은 운동입니다.
|
|
말초신경 차단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통증을 유발시키는 신경과 주위조직에 국소마취약을 주입하여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통증을 줄이고 염증, 부종을 개선하는 시술방법입니다.
|
|
말초신경 차단의 검사시기은 무엇인가요?
|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뿐만 아니라 안면 마비, 경련, 다한증, 알러지성 비염, 말초혈관질환, 자율신경실조증 등에서도 차단술을 시행합니다.
|
|
말초신경 차단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말초신경 차단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뒷머리, 목, 어깨, 팔, 손목, 손, 가슴, 무릎, 다리, 엉덩이 등 신체의 신경이 분포한 모든 부위의 신경을 차단하여 통증을 조절합니다. 약물을 이용한 말초신경차단
통증이 유발되는 신경 주변을 국소마취합니다. X-ray, 영상투시장치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며, 차단할 신경으로 가는 바늘을 삽입시키고 약물을 주입합니다. 고주파를 이용한 말초신경차단
약물을 이용한 신경차단에 대한 반응기간이 짧거나 증상이 남아있는 경우 고주파를 이용하여 신경차단을 시행합니다.
통증이 남아있거나 지속되는 부위의 신경 주변을 국소마취합니다. X-ray, 영상투사장치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며, 차단할 신경으로 특수하게 제작된 고주파용 바늘을 삽입한 후, 신경자극검사를 통해 정확한 신경을 찾아내 바늘 끝을 최대한 가깝게 붙여 열이나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신경을 치료합니다.
|
|
말초신경 차단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통증이 경감되는 시술의 효과는 시술 직후부터 즉각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수일에 걸쳐서 점차 극대화됩니다. 고주파를 이용한 신경차단술은 약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욱 오랫동안 효과가 지속됩니다.
|
|
말초신경 차단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시술 당일은 과도한 일이나 작업을 피하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늘이 삽입되었던 부위는 1~2일동안 불편할 수 있으나 점차 사라집니다. 고주파가 닿은 시술부위의 먹먹한 느낌은 며칠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전자기장을 이용한 차단술은 효과가 나타나는데 수주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국소마취제로만 신경을 차단한 경우 약효 지속시간이 끝나면 신경은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 효과가 지속되는 동안 통증의 경감을 관찰하여 통증을 유발시키는 신경을 찾아내는데 도움이 되며, 반응이 있는 경우 장기적으로 효과가 있는 약물이나 고주파를 이용하는 등의 추가적인 방법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
|
말초신경 차단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통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주변의 근육, 혈관, 신경 등이 긴장된 상태로 지속되어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조직은 더욱 많은 손상을 받게 되며, 다시 주변 조직의 수축과 경직을 유발시켜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
|
경막외 마취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부위마취 중 하나의 방법으로 척수를 싸고 있는 경막의 바깥 공간인 경막외강에 약물을 투여하여 마취를 시행하거나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필요시 도관을 삽입하여 약물을 추가로 더 주입할 수 있으며, 수술이 끝난 뒤 통증 조절에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경막외 마취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고관절, 슬관절같은 하지수술에 이용되고, 일부 하복부 수술에도 이용합니다. 분만시 진통 경감의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수술 후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도 사용됩니다.
|
|
경막외 마취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시술 전 응고인자를 포함한 기본적인 혈액검사를 시행합니다. 마취제와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약물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환자는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해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출혈을 유발시킬 수 있는 약제는 일주일 가량 복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출처를 알 수 없거나 크레아틴 등의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 수술 중 전해질의 변화가 빨라질 수 있어 이를 의사와 반드시 상의하도록 합니다. 시술 중 구토로 인한 흡인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술 전 8시간 정도 금식해야 합니다. 마취에 대한 합병증이 있었던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마취 전 반드시 의사에게 알려 마취방법에 대해 상의해야 합니다.
|
|
경막외 마취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척수는 경막에 둘러싸여 있는데 경막의 바깥쪽에 있는 공간을 경막외 공간이라 합니다. 이 경막외 공간에 마취제를 투약합니다.
1. 환자는 옆으로 눕거나 침대에 걸터앉아 등을 동그랗게 말아 노출한 상태로 무릎을 가슴에 가깝게 당기고 머리를 배꼽으로 향하게 합니다. 이 자세는 척추 사이의 공간이 넓게 노출되어 시술에 용이합니다.
2. 마취를 시행할 부분을 소독하고 국소 마취제를 투여합니다.
3. 경막외마취 바늘을 척추뼈 사이에 삽입해 경막외강까지 진입합니다. 국소마취제에 의한 통증은 심하지 않으나 뻐근한 느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속이 빈 바늘 속으로 도관이라는 가는 플라스틱 관을 집어넣고 바늘을 제거합니다. 경막외강에 삽입된 도관은 그대로 유지하여 도관을 등에 테이프로 고정시킵니다.
5. 도관을 통해 마취약을 주입합니다.
6. 필요에 따라 자가 약물 주입기를 연결하여 환자가 직접 진통제 투여횟수를 정하여 주입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
경막외 마취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는 마취가 된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알콜솜이나 바늘로 하복부나 다리를 자극하면서 마취가 된 부위의 감각상태를 확인합니다. 환자는 마취 부위인 사타구니, 배꼽, 다리부분이 무감각해지면서 따뜻해지고 얼얼하며 약간 무겁게 느껴지는 상태로 감각이 소실됩니다.
|
|
경막외 마취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개인에 따라 통증이 일부분 남아있을 수 있고, 지속시간이 짧거나 마취가 발현되는 시간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혈압이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의료진이 지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며, 만약 스스로 소변을 보지 못할 때에는 소변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방광까지 이어지는 도관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
|
경막외 마취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자가통증 조절법(PCA)이란 필요에 따라 진통제를 스스로 투약하여 진통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진통제의 혈중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개개인이 느끼는 통증을 빠르게 파악하고, 통증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통증 조절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오심, 구토, 진정, 호흡억제, 소변 정체, 장운동의 저하, 저혈압 등 진통제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술 후 통증이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술 후 요통은 특별한 치료없이 자연 치유되지만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따뜻한 물수건 찜질이나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
경막외 자가 혈액 봉합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경막 외 자가 혈액 봉합술은 경막 외 공간에 자신의 혈액을 무균적으로 주입하여 뇌척수액의 누출을 막음으로서 이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을 경감시킬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이 시술을 통하여 유입된 혈액이 저하된 지주막하 공간의 압력을 높이고, 뇌척수액이 유출되는 부위를 덮어 압력의 균형을 회복시켜 두통을 완화시키게 됩니다.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