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ction
stringlengths 13
74
| input
stringclasses 1
value | output
stringlengths 1
4.96k
|
---|---|---|
구개성형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대부분 입천장의 코 쪽 점막과 입천장 근육, 그리고 구강쪽 점막을 적절히 분리하여 다시 재건해 줍니다.
2. 생후 12개월 전후에 시행하며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받을 경우 95% 이상의 성공률을 보입니다.
3. 경우에 따라 귀 고막에 관을 넣어주는 이비인후과 수술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
|
구개성형술의 경과합병증은 무엇인가요?
|
수술 부위 흉터가 생기고 점막의 출혈로 인한 합병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환부에 구멍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구멍의 크기가 작으면 저절로 막히지만 1cm이상이면 추가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구개성형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수술 직후에는 입 앞에 거즈를 대고 피가 앞으로 흐르도록 엎드려 있도록 합니다. 바로 누울 경우 피가 기도로 넘어가 기도 흡인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4시간 가량 금식하여 그 후 물을 먹여보고 괜찮으면 액체로 된 음식(주스, 우유)을 먹여봅니다. 식사 후에는 깨끗한 물로 입안을 헹궈줍니다. 수술 후 평소 먹던 양의 절반 정도로 음식을 잘 먹고 열이 나지 않으면 수액 선을 제거합니다. 수술 후 아기가 입에 손을 넣지 못하도록 손에 양말을 씌워 놓습니다.
|
|
구개성형술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구개열은 선천적으로 입천장이 뚫려 있어 코와 입이 통하는 것을 말하며 코나 잇몸까지 갈라져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개열은 두경부에 발생하는 선천성태아안면기형중 가장 많은 질환 중 하나입니다. 구순구개열 환자 중 대략 50%에서는 입술갈림증과 입천장갈림증이 같이 발생하고, 20%에서는 입술갈림증이 단독으로 발생하며 30%에서는 입천장갈림증이 단독으로 발생합니다. 엄마 뱃속에서 태아는 임신 초기에 누구나 다 입술과 입천장이 갈라져 있는데 자라나면서 갈라진 부위가 서로 붙게 됩니다. 이 과정이 여러 인자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되면 구개가 붙지 못하고 열려 있는 상태로 출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른 선천성 기형과 마찬가지로 구개열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서로 관련되어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임신 중의 풍진이나 매독, 내분비 질환이나 감염증 등의 산모 질환, 약물 복용 등이 원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지만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영양 불균형, 흡연 등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
사시 교정 수술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사시는 눈 정렬 상태의 이상을 말합니다. 한눈이 정면 주시점을 보고 있을 때 다른 한 눈은 그곳이 아닌 다른 곳을 향하고 있어 두 눈이 합동해서 한 곳을 바라보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사시 수술은 양 눈이 한 곳을 바라볼 수 있도록 양안 시기능의 발달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없애 시기능의 회복, 성장을 도와주는 수술 입니다. 또한 외양을 보기 좋게 만들어 줌으로써 대인 관계, 직업, 생활에서의 심리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 시켜주는 것입니다.
수술은 외안근을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하는 방법으로써 내사시의 경우 내직근(눈을 안으로 잡아당기는 근육)을 약하게 하고 외직근(눈을 밖으로 나가게 하는 근육)을 강하게 하여 안으로 몰린 눈을 똑바로 하여 줍니다. 외사시의 경우는 내직근을 강하게 하고 외직근은 약하게 하여 밖으로 나간 눈을 바로 잡아줍니다. 사시 수술은 안구를 꺼내어 하는 수술이 아니라 눈을 덮고 있는 결막을 작게 절개를 하고 들어가 안구 겉에 붙어 있는 근육을 수술합니다.
|
|
사시 교정 수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사시 교정 수술의 적응증은 무엇인가요?
|
모양과 양안시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안경 등으로 치료가 안되고 수술 밖에는 방법이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입니다. 수술로 빨리 두 눈의 위치를 바로 잡아주어 정상인과 같은 기능을 갖도록 해주자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수술 시기는 꼭 언제 해야 한다는 원칙은 없습니다. 사시의 종류에 따라 그 시기가 다르고 또한 환자 개개인에 따라 수술이 필요한 시기는 다릅니다.
|
|
사시 교정 수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마취는 대개 전신마취를 하지만 협조가 잘 되거나, 어른인 경우에는 국소 마취를 할 수 있습니다.
2. 피부 소독 후 안구를 덮고 있는 결막에 작은 절개창을 만들고 근육을 훅으로 걸어 노출시킨 후 흡수되는 봉합사를 이용하여 근육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절제하여 부착하게 됩니다. 한 근육 당 15~20분 정도 소요되고 총 소요 시간은 수술을 요하는 근육 개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1시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사시 교정 수술의 경과합병증은 무엇인가요?
|
모든 수술에는 다소간의 위험 부담이 따를 수 있으나 사시 수술은 여러 종류의 눈 수술 중에서도 합병증이 적은 편에 속합니다. 전신 마취, 혹은 국소마취에 의한 합병증은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 그 위험성이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에서 합병증은 거의 없습니다. 봉합침, 봉합사 관련하여 감염, 눈 속 출혈, 안구 천공, 안내염, 망막 박리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막 출혈이 있을 경우 대부분 3~4주 이내에 자연 흡수됩니다. 가장 심한 합병증은 안구천공에 의한 안내염(눈 속 염증)인데 30,000명 당 한명 꼴로 그 발생 확률이 매우 낮으나 심하면 시력을 잃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눈에 세개 이상 많은 수의 근육을 수술하거나 고령, 심혈관 질환자 등 고위험군인 경우 눈 앞쪽 허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백내장, 녹내장, 시력 상실, 안구 위축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미리 주의해야 합니다. 수술 후 새로운 눈 위치에 뇌가 적응하는 과정에서 복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어린이는 수일에서 수주에, 성인에서는 수주에서 수개월 내에 없어지지만 드물게 더 오래가거나 없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
사시 교정 수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수술 후 안정되기까지 일반적으로 2~3개월이 걸립니다. 수술 후에도 사시의 교정이 덜 되거나 재발 혹은 과교정 등이 생길 수 있으며 경과 관찰 후 호전이 없을 경우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
사시 교정 수술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눈은 외부의 물체를 보고 그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눈이 두 개인 이유는 물체나 대상을 입체적으로 보고 거리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한 눈을 가리고 세상을 보면 시야가 좁아짐은 물론 거리감각이 없어져 불편함을 금방 느끼실 것입니다. 이와 같이 눈을 각각 사용하지 않고 하나인 것처럼 사용하는 능력을 양안시 기능이라고 하며 누구나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으나 사시가 있으면 그 기능이 발달되지 못합니다. 만일 사시가 2-5세 경에 발생한다면 각각의 눈이 서로 다른 물체를 보게 되고 전혀 다른 두 개의 상이 뇌로 전달되어 완전히 다른 물체가 겹쳐 보이는 시각혼란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하나의 상이 동시에 서로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복시 현상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환아는 시각혼란과 복시를 해소하기 위해 한 쪽에서 들어오는 상을 무시하게 되며, 따라서 물체를 입체적으로 느끼게 하는 양안시 기능을 포기하게 됩니다. 나아가 사시가 된 눈의 사용조차 포기하게 되어 약시까지 초래됩니다. 이를 방치하는 경우 성인이 되어서 안경을 쓰거나, 렌즈를 착용하거나 혹은 수술을 하더라도 시력이 교정되지 않으며, 한 눈으로만 보는 상태가 되어 입체적인 거리감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소아에서 사시가 있는 경우 이를 빨리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는 것은 시력과 삶의 질을 위해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수술의 성공 가능성은 간헐 외사시의 경우 1회 수술의 성공 가능성이 90% 이상입니다. 그러나 사시의 종류에 따라(매우 어린 나이에 발병한 사시, 오랜 기간 지속된 사시, 수직 사시가 합병된 복잡한 사시, 양안의 시력에 차이가 있는 경우 등) 2~3회의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사시 수술 후 조정술
간혹 사시 수술 후 수술을 추가적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시 수술은 국소 혹은 전신 마취 하에서 시행하기 때문에 마취가 풀린 후 눈 위치가 똑바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눈을 움직이는 근육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이를 교정하기 위해 사시 수술 후 조정술을 시행합니다. 조정술은 마취 후 깨어나서 눈의 위치를 보고 원하던 위치와 다를 경우 교정의 범위를 늘리거나 줄이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사시 수술의 성공률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수술은 따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시 수술 후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점안 마취 후 사시의 교정량을 재조정합니다. 한 번의 수술 과정으로 두 번의 교정 효과를 거둘 수 있어 효과적이며, 교정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 수술법입니다.
|
|
백내장 제거 및 인공 수정체 삽입 수술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백내장이란 수정체의 혼탁이 생긴 것으로,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해 시야가 뿌옇게 보이고 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은 혼탁이 있는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함으로써 시력 및 시기능을 개선시키며, 망막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는 어두운 상을 좀 더 밝게 할 수 있습니다.
|
|
백내장 제거 및 인공 수정체 삽입 수술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항응고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술 1-2주 전부터 약을 중지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수술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
|
백내장 제거 및 인공 수정체 삽입 수술의 적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사람의 눈 속에는 렌즈처럼 투명한 수정체가 들어있고 이 수정체에는 사물을 보는데 초점을 맞추어 주는 중요한 기능이 있습니다. 이 투명한 수정체가 나이가 들거나 눈 속에 염증이 생기거나 외상을 당하거나 혹은 선천적으로 뿌옇게 흐려질 수 있는데 이때는 마치 사진기의 렌즈에 흠집이 생기거나 먼지가 끼면 사진이 흐리게 찍히는 것처럼 사물이 안개가 끼인 것같이 흐려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백내장입니다. 백내장은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하기도 하고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때로는 수 개월 만에 현저하게 시력의 저하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백내장은 급하게 치료를 요하는 질환은 아니나 일상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로 진행된 경우에는 약물로 호전될 수 없고 수술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
|
백내장 제거 및 인공 수정체 삽입 수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국소 마취 또는 전신 마취를 시행합니다.
2. 각막 또는 공막 주변부(눈의 검은 자나 흰자)에 작은 절개창을 만들어 눈 속으로 기구들을 넣을 수 있게 만듭니다.
3. 초음파유화술기를 삽입하여 백내장이 생긴 수정체를 부수고 흡인하며 그 자리에 수정체와 유사하게 생긴 영구적인 인공 수정체를 삽입합니다. 이때 인공수정체는 수술 받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 가까운 곳 혹은 먼 곳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도수를 선택하여 눈 안에 삽입합니다. 소요시간은 1시간으로 추정되나 수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백내장 제거 및 인공 수정체 삽입 수술의 경과합병증은 무엇인가요?
|
1,000명 중 1-2명 꼴로 안내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내염 발생 시 항생제 치료를 하고 필요 시 부가적인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압이 상승할 수 있으며 약물 치료를 시행하고 조절되지 않을 경우에는 부가적인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적절한 진통제를 투약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안검하수와 복시가 생길 수 있으며 필요 시 2차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후발 백내장이 발생하면 레이저 치료가 필요합니다. 드물게 망막 박리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망막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포성 각막병증, 각막 부종, 각막기능부전, 각막혼탁 등의 예측하기 힘든 부작용이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백내장 제거 및 인공 수정체 삽입 수술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수술 후 2-4주 동안 항생제, 항염증제 등의 점안약을 사용합니다. 이 시기 동안 수술 부위가 아물고 시력을 회복하며, 약 4-6주 후에 새로운 눈에 맞는 안경을 착용하여 시력이 더욱 호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 후에 약 1~2주 간 물을 이용한 세안은 하시면 안되며, 심한 육체 노동, 운동, 눈에 먼지나 이물이 들어가기 쉬운 일은 삼가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TV, 책, 컴퓨터 등은 보아도 좋으며 수술 후 약 4주간은 취침 시 보호용 안대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
백내장 제거 및 인공 수정체 삽입 수술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수술 성공 가능성은 백내장의 심한 정도, 안구 조직의 안정도, 수술 전 시력 등에 의해 좌우되며 일반적으로 수술 성공률은 높은 편입니다. 환자의 눈에 백내장 이외에 당뇨망막증, 황반부 질환, 녹내장, 시신경 손상 등 다른 질환들이 동반된 경우는 시력 호전이 적고, 수술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 후 근시, 원시, 난시가 생길 수 있어 좀 더 나은 시력을 얻기 위해 안경을 착용할 수 있고 노안과 같이 조절 기능이 사라지므로 원거리와 근거의의 물체를 동시에 보기 어렵게 되어 근거리 작업 시에는 돋보기 안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점안 마취는 안구 내 마취제 투약으로 인한 통증이나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폐소공포증, 언어장애, 난청, 눈떨림 증상이 있는 환자와 협조가 잘 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수술이 복잡하거나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 약물에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전신마취를 고려해야 합니다. 점안 마취의 경우 특별한 부작용은 없으나 마취 약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상피성 각막염, 홍채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미한 경우 일시적인 자극감 및 작열감, 결막 충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라식을 이용한 근시 교정 수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각막 기질의 일부를 얇게 벗겨 절편을 만들고 젖힌 후 엑시머레이저로 각막 기질을 깎아내어 굴절력을 바꾸어 줌으로써 근시, 난시, 원시 등의 굴절 이상을 치료하는 수술을 말합니다. 기존의 엑시머레이저각막절제술보다 절편의 관리가 중요합니다. 라식은 수술 후 좋은 교정 효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엑시머레이저각막절제술보다 수술 후 통증이 경미하고 각막 혼탁이 덜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
라식을 이용한 근시 교정 수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1주, 하드 콘택트렌즈는 3주간 착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술, 담배, 머리 염색 등은 하셔도 무방합니다. 수술 당일에는 화장을 하지 마십시오. 눈에 종전의 상태에서 변화가 생기면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
|
라식을 이용한 근시 교정 수술의 적응증은 무엇인가요?
|
근시, 난시로 불편함이 있는 경우 시력 교정을 위해 시행합니다.
|
|
라식을 이용한 근시 교정 수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국소 마취(점안 마취)를 시행합니다.
2. 수술할 눈을 기구를 사용해 벌리고 양쪽 눈을 다 뜬 상태에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붉게 반짝이는 표적을 주시하고 눈을 움직이지 않아야 합니다. 초점이 맞아지면 붉은 표적이 커지고 환하게 되며 계속 주시하여야 합니다.
3. 눈 주변 소독 후 각막 기질의 일부를 얇게 벗겨 절편을 만듭니다. 수술 중 순간적으로 안보이고 약간의 통증을 느낄 수 있으나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4. 만들어진 절편을 들어 올린 후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각막을 레이저로 절제합니다. 이때 불꽃이 튀는 것처럼 ‘탁탁탁’ 하는 소리가 들리나 통증은 없으므로 계속 표적을 주시하면 됩니다.
5. 각막 절편을 다시 제 위치로 위치시키고 수술을 마무리합니다. 소요 시간은 약 30-40분으로 예상되며, 수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라식을 이용한 근시 교정 수술의 경과합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근시, 난시, 원시 등 원래의 굴절 이상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생활에 불편함이 생길 정도로 재발하면 재수술을 받거나 안경을 착용하여야 할 수도 있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야간에 불빛이 번져 보여서 운전 등의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빛 주변으로 달무리 현상이 있을 수 있으며 어두운 곳이나 희미한 불빛 아래서 사물이 희미하게 보입니다. 수개월이 지나면 대부분 호전되나 드물게 계속 불편한 경우도 있습니다. 드물게 부정 난시로 인해 교정시력이 저하되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보던 것보다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빛을 볼 때 눈부심 증상이 있고 눈의 이물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안압이 상승할 수 있고 눈물흘림, 각막 혼탁, 각막 전방 확장증 등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라식을 이용한 근시 교정 수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수술 직후에는 처방받은 항생제, 소염제 안약과 스테로이드 안약을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점안하십시오. 세수와 목욕은 수술 후 3일부터 하시되, 눈을 세게 비비면 안되며,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주의하십시오. 머리 염색시 염색약이 눈에 들어가면 각막에 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술, 담배는 하셔도 무관하나 술에 취하여 부딪히거나 넘어져서 눈을 다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수술 다음날,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간격으로 통원 치료를 받아야 하며 스테로이드 안약은 외래에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하시면 됩니다. 라식수술 후 다음날부터 사물을 볼 수 있으나 완전히 시력이 회복되는데 약 수개월이 소요됩니다. 가장 무서운 합병증은 감염으로 인한 각막염이므로 절대 더러운 손으로 눈을 만지거나 비비지 마십시오.
|
|
라식을 이용한 근시 교정 수술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수술 성공 가능성은 수술 과정 중의 시선의 주시 정도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성공률은 높은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시력은 0.8 전후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시가 심할수록 평균 나안 시력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각 환자에게 수술 후 정확히 어느 정도의 교정 시력이 나올 지 예측하기가 힘듭니다. 점안 마취는 안구 내 마취제 투약으로 인한 통증이나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점안 마취의 경우 특별한 부작용은 없으나 마취 약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상피성 각막염, 홍채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미한 경우 일시적인 자극감 및 작열감, 결막 충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누낭비강연결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눈물 배출계에 이상이 생기면 눈물이 고이게 되어 사물이 흐리게 보이고 심한 경우 눈물이 바깥으로 흘러내리고 눈곱이 자주 끼며 항상 수건을 들고 다니며 닦아야 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코눈물관 폐쇄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외상이나 염증에 의한 반흔 조직, 눈물주머니의 종양 또는 결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증상이 약물 치료 후 혹은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는 드뭅니다. 눈물주머니 코안 연결 수술은 코눈물관의 막힌 부위를 우회하여 새로운 눈물 통로를 만들어 눈물 배출을 정상화하는 것입니다.
|
|
누낭비강연결술의 적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코눈물관의 폐쇄로 인한 지속적인 눈물흘림증(유루증)으로 일상 생활에 불편이 큰 경우 시행합니다.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눈물이 고인 눈물주머니에 2차적으로 세균 감염이 되어 눈이 빨갛게 되면서 붓고 통증이 생기거나 고름이 나오는 급만성 누낭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누낭비강연결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피부 절개없이 코속에 내시경을 삽입하여 시행하거나 내측 눈구석 아래쪽 피부를 1cm 정도 절개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2. 눈물주머니 주위의 뼈를 뚫고 눈물주머니벽과 비강 점막을 열어주어 눈물주머니에서 코속으로 바로 눈물이 흘러내려가도록 새로운 통로를 만듭니다.
3. 새눈물길을 유지해주는 실리콘관은 위, 아래 눈물점에서 삽입하여 코속에 위치시켜놓고 몇 개월 정도 두었다가 눈물길이 잘 형성된 경우 간단하게 제거하게 됩니다.
4. 수술을 하는 동안 의사는 눈물 배출을 정상화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지만 누낭 비강 연결술의 일반적인 수술 성공률은 대략 90% 정도입니다.
|
|
누낭비강연결술의 경과합병증은 무엇인가요?
|
수술 후 약간의 통증이나 창상 세균 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약간의 비강 출혈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저절로 멈추니 코를 너무 세게 풀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만약 지속적이고 대량의 출혈이 있을 시에는 즉시 병원에 오셔야 합니다. 실리콘 관의 노출로 인한 각결막염에 의해 결막 충혈 및 눈물 흘림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개 시간이 지만면 거의 없어집니다.
코속 실리콘 관 때문에 수술 후 코 분비물이 많이 생기거나 이물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
누낭비강연결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새로 만든 눈물길은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 몸의 상처 치유 반응으로 인해 크기가 줄다가 안정화되는데 이시기에 눈물길이 다시 막혀서 눈물흘림증상이 재발하게 되는 경우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사용하는 안약과 코약을 정해진 횟수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내측 눈구석에 실리콘 관이 위치해 있어 간혹 간지럽고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는데 이때 심하게 비비거나 잡아당기면 눈밖으로 관이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조심하시고 관이 눈쪽으로 빠져나온 경우 잡아당기거나 자르지 마시고 가까운 이비인후과 등에서 코쪽으로 관을 당겨 원위치 시켜야합니다.
|
|
척수자극기 삽입술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척수자극기는 만성 난치성 통증의 조절을 위하여 삽입하며 경막외 공간에 삽입된 전기 자극기를 통하여 척수를 자극하여 약물 치료와 주사요법 등에 반응이 없거나 충분하지 못한 난치성 통증을 조절하게 됩니다.
|
|
척수자극기 삽입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6시간 시간 금식을 시행합니다.(수술을 시행하는 의료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
척수자극기 삽입술의 적응증은 무엇인가요?
|
만성 난치성 통증의 조절을 위하여 전기 자극기를 통하여 통증을 조절하게 됩니다.
|
|
척수자극기 삽입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엎드린 자세에서 국소 마취 하에 시행하게 됩니다. 이전 시험 삽입술 때 자극 단자를 피하 고정시킨 경우에 한해 전신 마취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2. 피부에 국소 마취를 한 후 자입 바늘을 삽입하여 경막 외 공간에 위치시킨 후 척수 자극 단자를 방사선 투시 영상하여 경막 외 공간으로 삽입합니다. 이때 척수 자극 단자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며 위치 확인을 위해 지속적으로 전기 자극을 가하게 됩니다. 환자분은 의료진과 환부에 자극이 적절히 오는지, 자극의 강도가 세거나 약하지 않은지 지속적으로 대화를 나누게 되며 환자의 협조가 매우 중요합니다. 최적의 위치가 확인되면 자극 단자를 피하 고정시킵니다.
3. 자세를 옆으로 누운 자세로 바꾼 후 복부 피하층에 전기자극기를 삽입합니다.
4. 국소 마취 하에 피부를 약 5cm 절개한 후 피하층에 전기자극기를 삽입한 후 고정시키며 등쪽의 카테터와 연결하기 위해 피하로 터널을 만들어 연결합니다.
5. 절개한 피부를 봉합합니다. 예상 소요 시간은 3시간 4시간 정도이며 수술 진행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
척수자극기 삽입술의 경과합병증은 무엇인가요?
|
드물게 삽입 기구에 의해 경막 외 감염, 피하 감염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경막 외 감염이 지주막을 통과하여 내분 신경계까지 진행된 경우 신경 손상과 그에 따른 후유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혈액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 경막외 혈종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혈종 제거술이 필요할 수 있고 경과에 따라 척수 신경의 압박으로 손상이 발생할 경우 후유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
척수자극기 삽입술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국소 마취 하에 시행되나 수술 중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진통제를 투여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성공 가능성은 환자에 따라 다릅니다. 시험을 위하여 자극 기계와 경막외 공간 낸 삽입된 자극 전극의 연결단자를 피부에 고정시켜 놓는데 경우에 따라 고정 부위가 끊어지거나 오염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기자극기의 사용 기간은 타입에 따라 다르고, 사용 빈도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사용 기간이 다 한 경우 교환을 위한 수술이 필요합니다. 경막 외 공간에 위치한 척수 자극기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거나 단자의 고장, 연결부위의 불량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척수강내 약물 주입 펌프 이식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척수강내 약물 펌프 삽입술은 조절되지 않는 통증의 관리를 위해 척수강 내에 몰핀과 같은 진통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
척수강내 약물 주입 펌프 이식술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수술을 시행하는 의료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시술 전 6시간 정도 금식이 필요합니다.
|
|
척수강내 약물 주입 펌프 이식술의 적응증은 무엇인가요?
|
암성 통증과 만성 난치성 통증의 조절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조절하게 됩니다.
|
|
척수강내 약물 주입 펌프 이식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엎드린 자세나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국소 마취 하에 시행하게 됩니다.
2. 피부에 국소 마취를 한 후 자입 바늘을 삽입하여 척수강 내에 위치시킨 후 뇌척수액을 확인하고 바늘을 통해 약물 주입용 관(카테터)을 거치시킵니다.
3. 필요 시 진통제의 적정 용량 설정을 위하여 시험주입을 시행합니다.
4. 엎드린 자세의 경우 옆으로 누운 자세로 바꾼 후 국소 마취 하에 피부를 약 5cm 절개한 후 복부 피하층에 약물 주입 펌프를 삽입합니다.
5. 피하층에 약물 주입 펌프를 삽입한 후 고정시키며 척수강내로 삽입된 카테터와 연결하기 위해 피하로 터널을 만들어 연결합니다.
6. 절개한 피부를 봉합합니다.
|
|
척수강내 약물 주입 펌프 이식술의 경과합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드물게 삽입 기구에 의해 경막 외 감염, 지주막하 감염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지주막하 감염이 있는 경우 신경 손상과 그에 따른 후유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혈액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 경막외 혈종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혈종 제거술이 필요할 수 있고 경과에 따라 척수 신경의 압박으로 손상이 발생할 경우 후유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
척수강내 약물 주입 펌프 이식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국소마취 하에 시행되나 수술 중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진통제를 투여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성공 가능성은 환자에 따라 다릅니다. 배터리의 수명은 약 5년 정도이며 교환을 위한 수술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 교환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지주막하 공간에 위치한 카테터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거나 약물 주입기의 고장, 연결부위의 불량, 카테터의 육아종 발생으로 인한 막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척수강내 약물 주입 펌프 이식술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통증은 활동 감소, 식욕저하, 수면 방해 등을 일으키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여 결국 삶의 질을 저하시키게 됩니다. 그러나 통증이 잘 조절된다면 즐겁게 생활할 수 있고 식욕이 좋아지며, 잠을 잘 잘 수 있고 배우자, 가족,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인 측면, 환자 측면, 제도적인 측면의 여러가지 요인으로 통증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대부분은 의료진과 환자의 노력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통증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암환자의 통증은 완화시키기 어렵다.
아닙니다. 암환자의 통증은 대부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중독의 위험때문에 가능하면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아닙니다. 통증 조절을 위해 사용하는 마약성 진통제로 중독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통증이 심해질 경우를 대비하여 진통제를 아껴두어야 한다.
아닙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통증이 조절될 때까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약을 아낄 필요가 없습니다. 통증이 심해질 때까지 참은 후에 약을 복용한다면 더 많은 양의 진통제가 필요하게 되므로 통증이 시작되기 전에 조절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진통제를 사용하면 항암치료에 방해가 된다
아닙니다. 적절한 진통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전신 상태가 좋아지면 오히려 암치료에 도움이 되므로 통증을 참을 필요가 없습니다.
|
|
수핵성형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수핵성형술은 통증을 유발하는 추간판을 제거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입니다. 피부를 통해 추간판 안쪽으로 가는 주사바늘을 삽입하고 고주파 등의 에너지를 이용해 수핵을 제거합니다. 튀어나온 수핵을 없애줌으로써 허리나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 시행하는 고주파는 이상이 있는 수핵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므로 정상적인 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
수핵성형술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아스피린, 플라빅스, 와파린 등의 혈액 응고 방지제 또는 혈소판 기능 저해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시술 5~7일 전에 복용을 중지합니다.
|
|
수핵성형술의 적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튀어나온 디스크로 인해 통증이 지속되나 다른 비수술적 치료에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시술을 시행합니다.
|
|
수핵성형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국소 마취한 후, x-ray를 보면서 목표 위치를 확인한 후 수핵 성형을 위한 기구를 이용하여 시행합니다
2. 바늘을 수핵 내 위치 시킨 후 전기 자극을 가해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지 확인 후 고주파 등을 이용하여 수핵을 제거합니다. 예상 소요 시간은 약 30분 정도이나 tl술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수핵성형술의 경과합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두통, 요통, 일시적인 시력 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 부위 통증 및 운동 신경의 마비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수일 간 수술 부위를 통해 뇌척수액이 흐를 수 있습니다. 경부 수핵 성형술의 경우 목 보호대를 일주일 가량 착용해야 합니다.
|
|
수핵성형술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우리 몸의 중심부인 허리. 흔히 요통이 발생하면 디스크 증상을 의심하여 병원을 찾는데 척추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가 아니라면 대부분 약한 허리가 원인입니다. 잠자기 전 10분간 아래의 운동을 꾸준히 한다면 요통을 예방하고 완화시키는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1~3번 운동은 10초씩 5~7회, 4번 운동은 10~15초씩 5회를 하면 좋습니다. 1. 무릎 세워 허리 지면 누르기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세운 후 어깨간격으로 다리를 벌린다.
골반을 뒤로 굴리면서 달걀이 허리 밑에 놓여있다 생각하고 누른다.
호흡을 참거나 어깨에 힘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2. 골반 들기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세운 후 어깨간격으로 다리를 벌린다.
엉덩이와 가슴을 들어 올린다.
과도하게 들어올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베개 받치고 엎드려 상체 들기
복부와 골반 밑에 베개를 받치고 엎드린다.
허리와 복부 힘을 준 후 베개 높이만큼만 상체를 들어올려 버틴다.
다리를 들지 않도록 주의한다.
4. 무릎 꿇고 엎드려 팔 다리 교차 들기
무릎을 대고 엎드린다.
배꼽을 당겨 허리를 조인 상태로 한쪽 팔과 반대편 다리를 등 높이까지만 들어올린다.
허리로 균형을 잡는다.
몸통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집중한다.
|
|
치핵절제술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치핵은 일반인들이 치질이라고 부르는 질환으로, 항문 및 직장에 존재하는 치핵조직이 항문 밖으로 빠져나오는 내치핵과 항문 밖의 치핵조직이 부풀어올라 덩어리처럼 만져지는 외치핵을 포함합니다. 탈출된 치질을 외과적 제거하는 것을 치핵 제거 수술이라고 합니다.
|
|
치핵절제술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수술을 시행하는 병원에 따라 준비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안내에 따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치핵절제술의 적응증은 무엇인가요?
|
보존적 치료 또는 증상 치료에 효과가 없고 치핵의 심한 탈항으로 손으로 밀어넣어야 할 정도로 진행한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에는 외과적인 수술을 해야 합니다.
|
|
치핵절제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하반신 또는 전신 마취를 시행합니다.
2. 엎드린 자세를 취합니다.
3. 튀어나온 치핵을 제거하고 봉합합니다.
4. 최근에는 자동문합기를 이용한 치핵절제술도 많이 시행되고 있고, 통증 및 증상 호전 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
치핵절제술의 경과합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수술 성공률은 100%에 이르지만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해 수술 부위와 다른 부위에 치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
치핵절제술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항문의 경우 혈관과 신경이 많은 부위로 치핵 제거 수술 후 수술 부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적절한 진통제를 투약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수술 부위 출혈이 있을 수 있으며 필요 시 지혈술을 할 수 있습니다. 5% 미만의 환자에서 합병증으로 항문 협착이나 변실금이 올 수 있습니다.
|
|
치핵절제술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변비나 설사 등으로 변기 위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 치핵이 생길 위험성이 커집니다. 규칙적이고 섬유소가 많은 식사를 통해 배변 습관을 통해 치핵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좌욕은 혈액순환을 돕고 통증을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대변을 본 후 좌욕을 해주면 좋고 적절한 압력의 온수 비데를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음주와 과로는 항문 혈관을 확장시켜 치핵을 더 악화시키고 출혈의 위험성을 키우므로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후반기가 되면 많은 임신부들이 치핵을 경험하게 되는데, 임신 시에 발생한 치핵은 출산 후 저절로 호전됩니다. 그러나 호전되지 않거나 혈전을 동반하는 경우 임신 중이나 분만 후에 치핵제거수술을 시행받아야 합니다.
|
|
충수절제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충수돌기란 맹장 끝에 달린 가느다란 관 모양의 기관입니다. 소아에게는 B림프구의 성숙을 돕는 면역 기관으로서 역할을 하나 성인들에게는 특별한 기능이 없습니다. 충수돌기에 염증이 생긴 경우에는 복강경이나 개복을 통해 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
충수절제술의 적응증은 무엇인가요?
|
충수돌기의 염증, 파열 시 충수돌기를 절제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
충수절제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복강경 또는 개복을 통하여 충수돌기를 제거합니다. 수술의 성공은 충수돌기의 절제를 의미하며 그 성공률은 거의 100%에 이르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은 있습니다. 충수돌기 기시부 염증이 심하거나 주위 장들과 한덩어리로 붙어있는 경우에는 장 절제 및 문합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충수염이 천공(구멍이 뚫림)되지 않았을 경우 5~10% , 천공된 경우 15~65% 에서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충수절제술의 경과합병증은 무엇인가요?
|
수술부위 주위 농양이나 창상 감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천공된 경우 복강내 농양 등의 합병증으로 장기간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충수절제술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만약 충수돌기염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염증이 진행되어 충수가 터지게 되는데, 이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합병증으로는 복막염, 복강 내 농양, 장 폐쇄가 있으며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 수술도 어렵고, 후유증이 남거나, 심하면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
|
충수절제술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우측 하복부를 눌렀을 때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압통)과 눌렀던 손을 띨 때 통증(반사통)이 생기면 충수돌기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통증과 함께 오심과 구토, 발열을 흔하며 이런 증상이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일시적인 우하복통이 경감되는 양상이면 충수돌기염의 가능성이 떨어집니다. 급성 염증이므로 혈액검사상 백혈구 증가가 증가하며, 초음파나 CT 검사에서 충수가 커져 있거나 터져 맹장 주위에 염증성 변화를 일으켰을 때 진단에 유용하고, 젊은 여성의 경우 여성생식기(난소, 난관, 자궁) 질환과 충수염을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급성 충수돌기염은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발병 후 48시간 이내)가 필수적입니다. 치료법은 수술에 의해 충수돌기를 제거하는 방법 뿐이며, 조기에 수술을 하면 대부분 합병증 없이 회복됩니다.
|
|
장루복원술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장루란 흔히 인공항문이라고 말하며 대장이나 소장에 발생한 건강문제 때문에 배 바깥쪽으로 장의 일부를 꺼내어 항문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암, 심한 염증 등으로 변이 정상 통로로 지나갈 수 없거나 지나가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일시적으로 장루를 만드는 경우에는 배 안쪽으로 분리해놓은 장과 장을 연결하는 수술을 시행하여 정상적이 배변 통로를 가지게 하는 것을 장루 복원 수술이라고 합니다.
|
|
장루복원술의 적응증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일시적으로 장루를 가진 경우 더 이상 장루가 필요하지 않을 때 배 안쪽으로 연결하는 복원 수술을 시행합니다.
|
|
장루복원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장루 주변 피부를 장루를 따라 절개합니다.
2. 기존의 장루를 박리합니다.
3. 장루로 사용되었던 부분을 절제합니다.
4. 장 문합을 시행합니다.
5. 피부를 봉합합니다.
|
|
장루복원술의 경과합병증은 무엇인가요?
|
수술 후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수술 부위 감염과 출혈, 쇼크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신 마취를 하기 때문에 수술 후 폐합병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장루복원술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장시간 수술, 환자의 건강 상태, 수술 체위 등에 따라 피부 통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수술 후 장의 협창이나 꼬임, 장마비로 인한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치료적으로 금식을 하거나 비위관을 삽입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장수술 후 장의 협창이나 꼬임, 장마비로 인한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치료적으로 금식을 하거나 비위관을 삽입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문합 부위 누출이 있는 경우 복막염과 같은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항생제를 투약하고 필요 시 임시장루수술이 다시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장루복원술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장루 복원 수술을 시행한 후 설사와 같은 변을 자주 보거나 변이 나도 모르게 새는 변실금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항문이 헐어 쓰라리고 발적이 생길 수 있으며 좌욕을 하면 통증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약해진 항문 근육을 강하게 하기 위해 항문 조이기 운동을 꾸준히 해주면 변실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
요 시험지 검사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요 시험지 검사란 가늘고 얇은 플라스틱 판에 검사시약이 포함된 패드가 붙어있는 검사 도구로 잠혈, 요빌리루빈, 유로빌리노겐, 요단백, 아질산염, 케톤체, 포도당, 요산도, 요비중, 백혈구 등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입니다. 요 시험지 검사법은 특정 질환을 진단하는데에 보다는 신장요로계통 또는 전신질환의 가능성을 단시간에 간편하게 알아내거나 이미 질환이 진단된 환자에서 추적검사용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요시험지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혈액검사, 영상검사, 조직 검사 등의 추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
요 시험지 검사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신장요로계통이나 전신질환의 가능성을 단시간에 간편하게 알아내거나 이미 질환이 진단된 환자에서 추적검사용으로 검사를 시행합니다.
|
|
요 시험지 검사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검사를 위한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요 시험지 검사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시험지에 소변이 충분히 젖도록 합니다.
2. 과다한 소변은 제거한 후 제조회사에서 지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색표와 대조시켜 반응 정도를 판정합니다. 육안으로 판정하거나 전용판독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판독 비색표와 비교하고 색조가 균일하지 않다면 가장 진한 색조로 판독합니다.
|
|
요 시험지 검사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정상범위 요비중: 1.005 ~ 1.030 요산도: 5.0 ~ 8.0 요잠혈, 백혈구, 요빌리루빈, 아질산염, 케톤체, 포도당: 음성 요단백, 유로빌리노겐: 음성 ~ 약양성(Trace) 요 pH 반응
소변의 산성, 알칼리성 정도를 보는 것으로 요로 감염으로 소변 속에 세균이 많거나 전신질환이 있으면 이상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요단백 (Urinary Protein)
소변 속의 단백질의 유무와 그 양을 조사합니다. 양성일 때는 신장이나 방광, 요도의 병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성신염이나 신증후군, 당뇨병성신증에서는 병이 진행될수록 소변 속의 단백량이 증가합니다.그러나 신장이나 요로에 이상이 없어도, 장기간 서서 일을 한뒤나 운동한 뒤에는 일시적으로 양성이 나타날 수도 있기때문에(기립성 단백뇨), 양성인 경우에는 기상 직후의 소변으로 재검사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요당 (Urinary Sugar)
보통 이른 아침의 공복시에서 실시한 소변검사에서 당이 나오면 당뇨병이나 신성 당뇨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신장은 혈액 속의 당(혈당)을 소변으로 내보내지 않도록 작용하지만 혈당이 한도(170mg/dl 전후)를 넘게되면 소변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혈당이 정상이라도 체질적으로 신장에서 당이 새어나오는 사람이 있는데(신성 당뇨) 이는 병이 아닙니다. 또 당뇨병환자라도 당뇨병이 잘 조절되어 혈당치가 높지 않을 때 요당은 음성이 됩니다. 따라서 당뇨병과 신성당뇨의 감별은 소변검사만으로는 부족하기에 혈당 검사와 같이 시행해야합니다. 잠혈반응 (Urine Occult Blood Test)
소변 속에 적혈구가 섞여 있는가를 조사 합니다. 대량으로 섞여 있으면 육안 상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며 이는 출혈성 방광염이나 요로 결석 등의 경우에 볼 수 있습니다. 양성인 경우에는 신염, 방광염, 요로 결석 외 신장이나 방광의 종양이 우려되지만, 서 있거나 오래 걸은 뒤에도 일시적으로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생리 중에는 흔히 양성일 수 있기 때문에 생리 종료 후 2-3일내의 검사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로빌리노겐(Urobilinogen)
담즙으로 장에 배설된 빌리루빈(담즙색소)은 장에서 다시 혈액으로 흡수되어 간에서 재이용되지만 이 과정에서 유로빌리노겐이 되어 소변 속에 일부가 배설됩니다. 간기능장애나 용혈성 빈혈에서는 양성(+)이 되지만, 건강한 사람이라도 운동, 과로, 음주 뒤에는 일시적으로 양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요빌리루빈(Urinary Bilirubin)
빌리루빈이란 적혈구가 간에서 분해될 때 만들어지는 담즙색소를 말합니다. 보통 간에서 담즙이 되어 장내로 배설되지만, 간염이나 담도폐색 등으로 인해 담즙의 유출 장애가 일어나면 혈액 속의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황달을 초래합니다. 황달의 발현보다 빌리루빈이 소변 속에 배설되는 것이 빠르기 때문에 요시험지 검사는 황달이나 간기능 장애의 조기 발견에 유용하게 쓰입니다.
|
|
요 시험지 검사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요시험지법은 비타민 C를 다량 복용한 경우 요당이나 잠혈의 반응이 부정확해지는 일이 있기 때문에 검사 전에는 복용을 피하는 것이 정확한 검사를 위해 좋습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채뇨시 질 분비물의 혼입으로 정확한 판정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처음과 끝의 소변은 버리고, 중간의 소변을 채뇨하여 검사해야 합니다. 시험지가 보관된 용기는 직사광선과 열을 피하고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하여 보관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나거나 보관상태가 불량한 시험지봉은 정확한 결과를 산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
요 시험지 검사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요 시험지 검사는 가격이 저렴하며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신장, 요로계 질환, 간담도계 질환, 당뇨병 등의 진단에도 도움을 주는 유용한 검사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가 복용한 약물이나 식사 패턴 등에 의해 간섭을 받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따라서 요 시험지 검사는 선별검사로서 의미를 두어야 하며, 이상 소견이 발견될 때에는 추가 검사와 함께 전문의의 진료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
|
광역동 치료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광역동 치료술은 광과민성 물질이 암세포에 오랫동안 축적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광과민성 물질 투여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암 치료법입니다. 약물 누적에 대한 독성이 없고 합병증이 적어 여러 환자에게 안전하며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암환자에게 특정 파장의 빛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광과민성’ 약물을 주사하면, 처음에는 이 물질이 체내 모든 세포에 흡수되나 이틀 정도 지나면, 정상 세포에 흡수됐던 약물은 대사되어 사라지고, 암세포에만 약물이 남게됩니다. 이 상태에서 암덩어리에 직접 레이저를 쏘이거나 내시경을 통해 12~15분간 쏘면, 광과민성 약물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타버리면서 암세포도 같이 죽게되는 것입니다.
|
|
광역동 치료술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연령이나 신체적 제한으로 수술을 못하는 조기 암이나 종양으로 인해 폐쇄가 있는 경우 증상 완화를 위해 시행합니다.
|
|
광역동 치료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혈관으로 광과민제를 주사하여 광과민제가 종양 세포에 모여들 때까지 일정한 시간 동안 기다립니다.
2. 약 종류에 따라 주사 후 4시간 또는 약 48시간(2일) 후 내시경을 이용하거나 직접 종양에 레이저를 광선을 조사합니다.
3. 1~2일 후 다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하여 괴사된 종양을 제거하고 필요하면 추가로 레이저를 조사합니다.
▶소요시간은 약 1시간으로 예상되나 시술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광역동 치료술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성공 가능성은 약 90% 정도입니다.
|
|
광역동 치료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사용한 약 종류에 따라 일주일에서 한달 정도 빛을 피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치료를 한 종양이 있었던 자리에 부종이나 염증이 생기거나 경미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외 현기증 또는 어지러움, 피로, 식욕부진, 수면장에, 호흡곤란, 기침, 폐렴, 기관지염, 기도 폐색, 부종, 협착, 치명적 객혈, 폐동맥 색전, 폐색전증, 폐농양, 심부전, 패혈증, 뇌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나 드뭅니다. 상기 합병증들이 발생하게 되면 적절한 응급 처치 및 치료가 이루어지며 대부분은 회복됩니다.
|
|
광역동 치료술의 헬스팁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피부가 빛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광과민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광과민증으로 인한 피부 손상(발적, 부종, 가려움, 작열감, 뜨거운 느낌, 수포)을 최소화하기 위해 약 종류에 따라 약물 투여 후 1주 또는 4~6주 동안은 직사광선, 백열등 그리고 강한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하지만 형광등이나 TV 시청 등은 큰 문제가 없습니다. 특별히 피해야할 음식은 없으나 클로렐라가 들어가 있는 건강식품이나 음식물은 피해야 합니다. 광역동 치료 후 개인에 따라 열이 나거나 오심, 변비 등을 호소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경미합니다.
|
|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당뇨병이나 내당능장애를 진단하며,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공복 혈당 측정 및 헤모글로빈 A1c (당화혈색소) 보다는 당뇨병의 진단에 예민하지만 검사 과정의 번거로움 때문에 일상적인 검사로 진행하지는 않습니다.
|
|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의 검사시기은 무엇인가요?
|
공복시의 혈당치가 126mg/dL 또는 당화혈색소가 6.5%를 넘어 당뇨병이 의심될 때 확정 진단을 위해 실시합니다. 또한 당뇨병 발생의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
|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검사 전 최소 8시간 동안 금식해야 합니다. 검사 3일 전까지 일상적인 식사 섭취를 유지한 상태에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무엇인가요?
|
1. 75g 포도당을 250-300mL의 물에 용해시켜 5분에 걸쳐 마십니다. 소아의 경우 당부하량을 1.75g/kg으로 계산하며, 최대 75g까지 투여 가능합니다.
2. 포도당 복용 전과 포도당 복용 후 120분에 채혈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측정합니다.
|
|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정상: 검사 전의 공복 혈당치가 100mg/dL 미만이면서 검사 2시간 후 혈당치가 140mg/dL 미만일 때는 정상범위로 판단합니다. 당뇨병: 공복 혈당치가 126mg/dL 이상 또는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치가 200mg/dL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다른 날 동일한 검사를 반복해 확인을 거쳐 당뇨병을 진단받습니다. 전당뇨병 (당뇨병 발생 고위험군): 공복 혈당치가 100~125mg/dL 또는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치가 140~199mg/dL이면 전당뇨병으로 판단합니다.
|
|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섭취하는 포도당용액이 너무 차면 장 운동이 촉진되어 복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온으로 유지하여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성질환이 발생한 경우 2주정도 지난 후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 전날 가급적 알코올은 섭취하지 말아야 합니다. 검사 직전이나 검사 도중 흡연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
|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의 헬스팁은 무엇인가요?
|
당뇨병의 진단은 공복혈당이나 경구포도당부하검사 결과가 진단 기준 이상이 나오게 되면, 일정 시일이 지난 후 다시 한 번 검사를 진행하여 확진하게 됩니다.
|
|
고주파 열 응고술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고주파 열 응고술은 고주파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신경 조직을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가능한 운동 신경의 응고는 피하면서 통증을 전달하는 감각신경만을 선택적으로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전류가 탐색자를 통해서 지나갈 때 탐색자 자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아니며 전류에 의해서 조직의 전해질인 이온들이 운동함에 따라 주위 조직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열 응고를 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증상을 일으키는 신경을 제거하게 되는 시술입니다.
|
|
고주파 열 응고술의 검사시기은 무엇인가요?
|
고주파 열 응고술을 이용하여 척추 후근 신경절의 열 응고, 척수 신경 후지의 열 응고, 삼차 신경절의 열 응고, 성상 신결절의 열 응고, 경피적 경수 척수 신경로 절단술 등 다양한 시술이 가능합니다.
|
|
고주파 열 응고술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고주파 열 응고술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부위 및 방법에 따라 침습 정도는 달라질 수 있으며, X-ray나 CT를 보면서 시행합니다.
2. 목표로 한 신경 주변으로 고주파 시술용 바늘을 위치시킵니다.
3. 바늘을 통해 고주파를 발생시켜 신경을 응고시킵니다. 소요시간은 약 30분에서 한시간 정도로 예상 되나 시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고주파 열 응고술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성공 가능성은 환자에 따라 다르며, 부득이 시술 중 방법이 변경되거나 범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6~12개월 사이에 재발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
고주파 열 응고술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국소 마취하에 시행하게 되나 시술 중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정확한 위치에 고주파 자극 바늘이 위치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바늘을 삽입할 때, 시술 중 통증이 유발될 수 있고 고주파 열 응고를 시행할 때 열에 의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술 부위 출혈이나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막 천자 시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술 후 일시적인 근력 약화나 감각 저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시술 부위를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목표로 한 시술을 하지 못하고 약물만 투여한 후 시술이 종료될 수 있습니다.
|
|
전신 조사의 정의은 무엇인가요?
|
전신 조사란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을 치료하기 위해 전신에 방사선을 쏘여 종양세포를 없애는 방사선 치료 방법으로 골수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이식 전 시행합니다. 전신 조사는 몸 전체에 균등하게 방사선을 쏘이는 것으로 다른 방사선 치료와는 다르며 병든 세포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면역력을 일시적으로 감소시켜 다른 사람의 골수가 잘 생착되도록 돕습니다.
골수 이식 시 전신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고용량의 항암제로만 전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
전신 조사의 검사시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조혈모세포 이식 전 병든 암세포를 제거하고 이식받을 골수의 거부반응을 줄이기 위해 시행합니다.
|
|
전신 조사의 준비사항은 무엇인가요?
|
전신 방사선 조사를 위한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
전신 조사의 검사/시술/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1. 환자의 전신에 방사선이 쪼일 수 있도록 방사선 발생 위치로부터 4m 거리에 환자를 눕힙니다.
2. 전신에 걸쳐 방사선을 쏘입니다. 치료 중 아프거나 열감이 있지는 않습니다.
3. 일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위에는 납으로 차폐하여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
|
전신 조사의 검사결과은 무엇인가요?
|
정상 백혈구 수치는 5,000~10,000개/mm³ 입니다. 백혈병의 경우 골수에서 미성숙한 형태의 백혈구가 10배, 100배로 과다하게 증가하게 됩니다. 전신 방사선 조사 후 혈액 검사를 통해 감소된 암세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전신 조사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전신 조사 직후에는 오심, 구토 등 멀미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후 장염, 구내염, 탈모, 피로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장기적인 부작용으로는 폐렴, 갑상선기능저하, 백내장, 불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신 조사 후 면역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주변 환경의 소독을 철저히 하고 의료진과 주보호자 외 출입이 제한합니다. 환자는 마스크를 쓰고 이동식 격리장치 안에서 생활합니다.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